김선수

김선수(金善洙, 1961년 4월 23일 ~ )는 대한민국의 대법관이다.
김선수
| |
---|---|
대한민국 대법원 대법관 | |
임기 | 2018년 8월 2일 ~ |
대통령 | 문재인 |
신상정보 | |
출생일 | 1961년 4월 23일 | (56세)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서울대학교 |
경력 | 법무법인 시민종합법률사무소 변호사, 참여정부 사법개혁위원회 위원, 참여정부 대통령비서실 사법개혁비서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회장, 법무법인 시민 대표변호사 |
정당 | 무소속 |
본관 | 광산 |
상훈 |
생애편집
서울대학교 법학과 재학 중 사법시험을 준비하였고 제27회 사법시험에 수석 합격하였다. 노동운동가 전태일의 삶을 생각하며 사법시험을 쳤기 때문에 사법연수원 수료 후 바로 인권변호사 조영래의 변호사 사무실에서 변호사 일을 시작했다. 그는 스스로 "법정 밖에서는 가치 있는 사건을 발굴하고, 법정 안에서는 정교한 법리로 판사를 설득하셨던 조영래를 법률가의 모범으로 삼고 있다"고 밝혔다.[1]
그때 이래 계속 노동 분야 인권변호사의 길을 걸었다. 1988년부터 약 30년간 변호사로 활동하면서 인간과 사회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일관되게 소수자 및 사회적 약자의 인권 신장을 위한 활동에 매진했으며, 다양한 헌법·노동법 등 관련 사건에서의 변론 활동을 통해 자유·평등을 비롯한 민주사회의 가치 향상을 위해 노력하였다. 2018년 대법관 후보로 지명되어, 7월 26일 임명동의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다.[2] 김선수 대법관은 사상 첫 변호사 출신 대법관으로 꼽힌다.[3]
논란편집
정치적 편향성편집
청문회에서 정치적 편향성에 대해서 여야 간에 공방이 발생했다. 야당은 김 후보자의 광우병 선동 등 민변 활동과 참여정부 때 청와대 사법개혁비서관으로 근무한 경력 등을 지적했다. 청와대에 근무할 당시 비서실장은 문재인 현 대통령이었다. 여당 의원들은 민변 회원이라고 모두 편향은 아니라고 반박했다. 김 후보자는 이미 민변에서 탈퇴했고, 문 대통령과는 특수한 관계가 아니라고 해명했으며, 사법개혁비서관으로 근무할 당시 "정무적 업무는 전혀 담당하지 않고 오로지 사법개혁업무만 수행했다"고 밝혔다.[4]
각주편집
- ↑ 김선수 "제 대법관 삶은 민변과의 단절에서 출발"
- ↑ 김남일. 노동변론 30년 외길…대법원 ‘벽’을 넘다. 한겨레. 2018년 7월 3일.
- ↑ 전형우 (2018년 7월 3일). “[취재파일] '30년 노동 변호사' 김선수 대법관 후보에게 듣다”.
- ↑ “김선수 “대법관의 삶, 민변과의 단절로 출발””. 2018년 7월 2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