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87년: 평화민주당 창당발기인, 서울특별시 지부 관악구 갑 지구당 사무국장
- 1988년~1996년: 한광옥 국회의원 보좌관
- 1997년~1998년: 김홍일 국회의원 보좌관
- 1997년: 새정치국민회의 서울특별시 지부 관악구 갑 지구당 지방자치위원장, 새정치국민회의 중앙당 지역발전특위 부위원장
-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대통령 후보 선거대책본부 비서실장
- 1998년 6월 4일: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당선(민선 2기, 서울특별시 관악구청장, 새정치국민회의, 초선)
- 1998년 7월~2002년 6월: 제20대 서울특별시 관악구청장(민선 2기, 새정치국민회의→새천년민주당, 초선)
- 2002년 6월 13일: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당선(민선 3기, 서울특별시 관악구청장, 새천년민주당, 재선)
- 2002년 7월~2006년 6월: 제21대 서울특별시 관악구청장(민선 3기, 새천년민주당→민주당, 재선)
- 1999년~2000년: 새정치국민회의 서울특별시 지부 관악구 갑 지구당위원장 직무대행
- 2000년: 중국 내몽골 자치구 후허하오터 시 후허하오터 교육대학 객원교수
- 2001년: 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사무총장
- 2005년: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겸임교수
- 2006년: 열린우리당 상임고문 겸 당무위원
- 2007년: 대통합민주신당 상임고문 겸 당무위원
- 2008년 4월 9일: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서울 관악구 을, 통합민주당, 초선)
- 2008년 5월~2012년 5월: 제18대 국회의원(서울 관악구 을, 통합민주당→민주당→민주통합당→무소속, 초선)
- 2008년: 제18대 민주당 국회의원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위원
- 2008년~2011년: 민주당 서울특별시당 관악구 을 지역위원회 위원장
- 2011년~2012년: 민주통합당 서울특별시당 관악구 을 지역위원회 위원장
- 2011년: 민주통합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위원
- 2015년 4월: 2015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서울 관악구 을 새정치민주연합 예비후보
- 2016년 2월~2016년 3월: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관악구 을 국민의당 국회의원 예비후보
- 2025년 5월~ : 대한민국헌정회 국토교통위원회 위원장
- 2008년 5월~2012년 5월: 제18대 국회의원(서울 관악구 을, 통합민주당→민주당→민주통합당→무소속, 초선)
- 대한민국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위원
- 대한민국 국회 저출산고령화대책특별위원회 위원
- 민주당 서울 관악을 당협위원장
- 대한민국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위원
19대 총선을 앞두고 관악을이 야권연대 경선지역으로 선정되었다. 관악을 현역 의원이었던 김희철 예비후보는 이해찬의 비서관 출신이었던 정태호 예비후보를 민주당 당내경선에서 이기고,[1] 이정희 통합진보당 후보와 야권단일후보를 결정하는 전화 여론조사 경선[2]에서 패배한다.[3] 그러나 여론조사의 공정성에 의문을 제기한 김희철 의원은 무소속 출마를 강행하였다.[4] 이후 이정희 측에서 여론조사 조작내용이 드러나고 사퇴압력이 거세지자 이정희 후보는 사퇴하고,[5] 이상규 통합진보당 은평을 예비후보를 관악을 지역 야권단일후보로 추대[6]하여 19대 총선에서 맞붙은 결과, 야권연대 후보인 통합진보당 이상규 후보, 새누리당 오신환 후보에 이어 득표율 3위로 김희철 의원은 낙선하게 된다. 두 번째는 2015년 4월 재보선 관악을 지역에 새정치민주연합 후보자리를 놓고 새정치민주연합 관악을 당협위원장인 정태호 예비후보와 경선을 치른 결과, 권리당원 투표에서는 51%로 김희철 예비후보가 이겼으나(정태호 49%) 여론조사에서 정태호 후보가 51.6%로 뒤집어(김희철 48.4%)[7] 김희철 예비후보는 고배를 마시게 된다. 경선 이후 김희철 전 의원은 "정태호 후보는 여론조작을 통해 후보가 됐으며 여론조사와 관련한 질문 등 관련 자료 공개를 거부하고 있다"[8]고 말하면서 정태호 후보의 관악을 선거유세 지원을 절대 안 할 것이라고 공식 선언하였다.[9]
- 2001년: 《새벽을 여는 마음》
- 2003년: 《첫마음》
- 2005년: 《주택 재개발 사업의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