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구 을
서울 관악구 을은 대한민국 국회의 국회의원이 대표하는 지역구로, 서울특별시 관악구 일부 지역을 관할한다. 현 지역구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의 정태호 (초선, 2020년~)이다.
관악구 을 | |
---|---|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 | |
현 선거구 | |
신설연도 | 1988년 |
국회의원 | 정태호 (더불어민주당) |
의원 수 | 1인 |
이전 선거구 | 관악구 |
중복되는 선거구 |
역사편집
선거구편집
1988년 제13대 총선부터 신설되었으며, 그 이전에는 관악구 (제12선거구)의 일부였다.
1973년 7월 1일, 영등포구 노량진동·상도동·상도동·봉천동·본동·흑석동·동작동·사당동·방배동·신림동·대방동·신대방동 지역이 관악구로 독립 설치되었다. 하지만 같은 해 4월에 이미 총선이 치러진 직후였으므로 이들 지역은 여전히 영등포구 갑과 영등포구 을에 속하였다. 다음 총선인 1978년 제10대 총선에 이르러서야 영등포구 일대를 포괄하는 '영등포구' 지역구가 신설되었으며, 중선거구제 실시로 국회의원 2인을 선출하였다.
이듬해 1980년 4월 1일 관악구의 일부가 분리되어 동작구로 독립 설치되고, 방배동이 강남구로 편입되는 등의 행정구역 개편이 단행되면서, 다음 총선인 1981년 제11대 총선에서도 지역구 경계 조정이 이뤄졌다. 이에 따라 해당 지역들은 동작구 (제11선거구)와 강남구 (제13선거구)로 흡수되었으며, 지역구의 순번도 제12선거구로 조정되었다.
소선거구제로 회귀한 1988년 제13대 총선부터 관악구 선거구도 갑을 선거구로 나뉘었다. 분리 당시 신림동 일대가 관악구 을로 묶였고, 나머지 봉천동과 남현동은 관악구 갑으로 묶였다. 이후 2012년 제19대 총선부터 신림동의 각 동에 이름이 붙여져 신사동, 조원동, 미성동, 난곡동, 난향동, 서원동, 신원동, 서림동, 삼성동, 대학동으로 바뀌고 큰 변화 없이 유지되고 있다.
관할 구역편집
대수 | 관할 구역 |
---|---|
13대 | 관악구 신림본동, 신림1동, 신림2동, 신림3동, 신림4동, 신림5동, 신림6동, 신림7동, 신림8동, 신림9동, 신림10동, 신림11동 |
14대 | 관악구 신림본동, 신림1동, 신림2동, 신림3동, 신림4동, 신림5동, 신림6동, 신림7동, 신림8동, 신림9동, 신림10동, 신림11동, 신림12동 |
15대 ~ 18대 | 관악구 신림본동, 신림1동, 신림2동, 신림3동, 신림4동, 신림6동, 신림7동, 신림8동, 신림9동, 신림10동, 신림11동, 신림12동, 신림13동 |
19대 ~ 현재 | 관악구 신사동, 조원동, 미성동, 난곡동, 난향동, 서원동, 신원동, 서림동, 삼성동, 대학동 |
역대 국회의원편집
1988년 이전에 당선된 국회의원은 서울 관악구의 국회의원을 참고하라.
선거 | 의원 | 정당 | 비고 | |
---|---|---|---|---|
1988 | 이해찬 | 평화민주당 | 제38대 교육부 장관 제36대 국무총리 | |
1992 | 민주당 | |||
1996 | 새정치국민회의 | |||
2000 | 새천년민주당 | |||
2004 | 열린우리당 | |||
2008 | 김희철 | 통합민주당 | ||
2012 | 이상규 | 통합진보당 | ||
2015 | 오신환 | 새누리당 | ||
2016 | ||||
2020 | 정태호 | 더불어민주당 |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 | 선거 결과 | 후보 | 정당 | 득표 | % | ±% | ||
---|---|---|---|---|---|---|---|---|
1988년 제13대 총선 유권자수: 186,625 투표수: 129,148 | 평화민주당 승리 | 이해찬 | 평화민주당 | 39,950 | 31.18 | |||
김종인 | 민주정의당 | 34,752 | 27.12 | |||||
김수한 | 통일민주당 | 31,017 | 24.21 | |||||
권태오 | 신민주공화당 | 18,664 | 14.56 | |||||
엄정남 | 민중당 | 3,731 | 2.91 | |||||
1992년 제14대 총선 유권자수: 210,879 투표수: 144,548 | 민주당 승리 | 이해찬 | 민주당 | 64,035 | 44.69 | |||
김수한 | 민주자유당 | 44,413 | 30.99 | |||||
권태오 | 통일국민당 | 22,359 | 15.60 | |||||
이길범 | 무소속 | 5,115 | 3.56 | |||||
류민용 | 민중당 | 3,690 | 2.57 | |||||
이상열 | 신정치개혁당 | 1,959 | 1.36 | |||||
박장식 | 무소속 | 1,712 | 1.19 | |||||
1996년 제15대 총선 유권자수: 208,103 투표수: 122,540 | 새정치국민회의 승리 | 이해찬 | 새정치국민회의 | 54,049 | 44.74 | |||
박홍석 | 신한국당 | 39,855 | 32.99 | |||||
김재호 | 자유민주연합 | 13,244 | 10.96 | |||||
이상호 | 민주당 | 9,827 | 8.13 | |||||
권태오 | 무소속 | 3,808 | 3.15 | |||||
2000년 제16대 총선 유권자수: 204,912 투표수: 103,579 | 새천년민주당 승리 | 이해찬 | 새천년민주당 | 48,751 | 47.48 | |||
권태엽 | 한나라당 | 34,732 | 33.82 | |||||
신장식 | 민주노동당 | 8,635 | 8.41 | |||||
오란택 | 자유민주연합 | 4,819 | 4.69 | |||||
이순철 | 무소속 | 3,171 | 3.08 | |||||
류진기 | 청년진보당 | 2,564 | 2.49 | |||||
2004년 제17대 총선 유권자수: 200,208 투표수: 121,806 | 열린우리당 승리 | 이해찬 | 열린우리당 | 49,673 | 41.11 | |||
김철수 | 한나라당 | 40,255 | 33.32 | |||||
유종필 | 새천년민주당 | 16,170 | 13.38 | |||||
신장식 | 민주노동당 | 13,699 | 11.33 | |||||
오란택 | 자유민주연합 | 1,010 | 0.83 | |||||
2008년 제18대 총선 유권자수: 211,333 투표수: 93,731 | 통합민주당 승리 | 김희철 | 통합민주당 | 43,235 | 46.50 | |||
김철수 | 한나라당 | 38,618 | 41.53 | |||||
신장식 | 진보신당 | 7,247 | 7.79 | |||||
엄윤섭 | 민주노동당 | 2,264 | 2.43 | |||||
임충섭 | 무소속 | 1,014 | 1.09 | |||||
오영재 | 평화통일가정당 | 595 | 0.63 | |||||
2012년 제19대 총선 유권자수: 179,331 투표수: 100,859 (56.2%) | 통합진보당 승리 | 이상규 | 통합진보당 | 43,158 | 38.2 | |||
오신환 | 새누리당 | 37,559 | 33.2 | |||||
김희철 | 무소속 | 32,127 | 28.5 | |||||
2015년 재보궐선거 유권자수: 210,381 투표수: 77,571 (36.9%) | 새누리당 승리 | 오신환 | 새누리당 | 33,913 | 43.9 | |||
정태호 | 새정치민주연합 | 26,427 | 34.2 | |||||
정동영 | 무소속 | 15,569 | 20.2 | |||||
송광호 | 무소속 | 704 | 0.9 | |||||
변희재 | 무소속 | 578 | 0.7 | |||||
신종열 | 공화당 | 71 | 0.1 | |||||
2016년 제20대 총선 유권자수: 211,095 투표수: 124,178 (58.8%) | 새누리당 승리 | 오신환 | 새누리당 | 45,454 | 37.1 | |||
정태호 | 더불어민주당 | 44,593 | 36.4 | |||||
이행자 | 국민의당 | 28,801 | 23.5 | |||||
이형규 | 민중연합당 | 2,354 | 1.9 | |||||
송광호 | 민주당 | 1,474 | 1.2 | |||||
2020년 제21대 총선 유권자수: 209,866 투표수: 136,344 | 더불어민주당 승리 | 정태호 | 더불어민주당 | 72,531 | 53.90 | |||
오신환 | 미래통합당 | 56,130 | 41.71 | |||||
한인수 | 민생당 | 2,143 | 1.59 | |||||
김한영 | 민중당 | 1,483 | 1.10 | |||||
류현선 | 무소속 | 1,066 | 0.79 | |||||
서희성 | 국가혁명배당금당 | 621 | 0.46 | |||||
박현성 | 우리공화당 | 589 | 0.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