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는 1998년 6월 4일 목요일 대한민국 전국에서 실시된 지방의회 의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을 뽑는 선거이다.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선출의석: 광역단체장 16명, 광역의원 690명 기초단체장 232명, 기초의원 3,490명
투표율
52.7%( 15.7%p)
제1당
제2당
제3당
지도자
김대중 총재
조순 총재
김종필 총재
정당
새정치국민회의
한나라당
자유민주연합
광역단체장
6석 6 5,768,126 34.5%
6석 3 6,784,348 40.6%
4석 0 2,549,537 15.3%
기초단체장
84석 84 5,342,488 32.1%
74석 80 5,462,402 32.8%
29석 6 2,150,447 12.9%
광역의원
303석 303 5,556,823 35.6%
253석 372 5,550,348 35.6%
95석 1 2,182.496 14.0%
광역자치단체장 정당별 분포■ 새정치국민회의 , ■ 한나라당 , ■ 자유민주연합
기초자치단체장 정당별 분포■ 새정치국민회의 , ■ 한나라당 , ■ 자유민주연합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고건
새정치국민회의
1,838,348
53.5%
2
1
최병렬
한나라당
1,512,854
44%
3
3
이병호
무소속
87,495
2.5%
투표율
47.13%
합계
3,438,697
유효율
무효
38,408
기권
3,900,646
98.9%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최기선
자유민주연합
375,051
53.5%
2
1
안상수
한나라당
238,708
34%
3
3
김용모
국민신당
87,327
12.5%
투표율
43.2%
합계
701,086
유효율
무효
15,837
기권
943,054
97.79%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임창열
새정치국민회의
1,549,189
54.3%
2
1
손학규
한나라당
1,303,340
45.7%
투표율
50%
합계
2,852,529
유효율
무효
47,673
기권
2,900,223
98.4%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김진선
한나라당
268,559
39.3%
2
2
한호선
자유민주연합
231,376
33.8%
3
3
이상룡
무소속
183,775
26.9%
투표율
64.27%
합계
683,710
유효율
무효
14,995
기권
388,408
97.85%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홍선기
자유민주연합
286,255
73.7%
2
2
송천영
국민신당
70,414
18.1%
3
3
조명현
무소속
31,796
8.2%
투표율
44.4%
합계
388,465
유효율
무효
6,659
기권
493,844
43.7%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심대평
자유민주연합
656,795
84.6%
2
1
한청수
한나라당
119,216
15.4%
투표율
59.49%
합계
776,011
유효율
무효
23,303
기권
544,319
55.52%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이원종
자유민주연합
451,533
74.1%
2
1
주병덕
한나라당
157,459
25.9%
투표율
60.9%
합계
608,992
유효율
무효
15,306
기권
400,724
97.55%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고재유
새정치국민회의
261,578
67.2%
2
2
이승채
무소속
127,626
32.8%
투표율
45.07%
합계
389,204
유효율
무효
6,425
기권
482,239
98.38%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허경만
새정치국민회의
918,300
100%
투표율
68.22%
합계
918,300
유효율
무효
123,705
기권
485,484
88.13%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유종근
새정치국민회의
758,141
100%
투표율
57.78%
합계
758,141
유효율
무효
51,026
기권
591,252
93.69%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안상영
한나라당
558,909
45.1%
2
3
김기재
무소속
537,983
43.5%
3
2
하일민
새정치국민회의
137,983
11.4%
투표율
46.66%
합계
1,238,064
유효율
무효
21,413
기권
1,440,022
98.3%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심완구
한나라당
160,491
42.7%
2
4
송철호
무소속
148,126
39.4%
3
3
강정호
국민신당
37,139
9.9%
4
2
차화준
자유민주연합
29,725
7.9%
투표율
57.58%
합계
375,481
유효율
무효
4,538
기권
279,946
98.8%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김혁규
한나라당
939,358
72.6%
2
2
강신화
새정치국민회의
161,703
12.8%
3
3
허문도
무소속
157,337
12.5%
투표율
61.08%
합계
1,258,398
유효율
무효
29,773
기권
820,887
97.69%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문희갑
한나라당
570,167
72%
2
2
이의익
자유민주연합
163,653
20.7%
3
3
유성환
국민신당
58,243
7.4%
투표율
46.81%
합계
792,063
유효율
무효
11,300
기권
912,949
98.59%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1
이의근
한나라당
911,728
72%
2
2
이판석
자유민주연합
355,149
28%
투표율
64.88%
합계
1,266,877
유효율
무효
30,214
기권
702,104
97.67%
순위
기호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
2
우근민
새정치국민회의
139,695
52.8%
당선
2
3
신구범
무소속
81,491
30.8%
3
1
현임종
한나라당
43,559
16.5%
투표율
73.67%
합계
264,745
유효율
무효
4,239
기권
96,137
98.42%
지역별
지역
한나라당
새정치국민회의
자유민주연합
국민신당
무소속
합계
서울특별시
5
19
1
0
0
25
부산광역시
11
0
0
0
5
16
대구광역시
7
0
0
0
1
8
인천광역시
0
9
1
0
0
10
광주광역시
0
5
0
0
0
5
대전광역시
0
1
4
0
0
5
울산광역시
3
0
0
0
2
5
경기도
6
20
2
0
3
31
강원도
13
1
2
0
2
18
충청북도
0
2
6
0
3
11
충청남도
0
0
11
1
3
15
전라북도
0
9
0
0
5
14
전라남도
0
15
0
0
7
22
경상북도
14
1
2
0
6
23
경상남도
14
0
0
0
6
20
제주도
1
2
0
0
1
4
합계
74
84
29
1
44
232
지역별
지역
한나라당
새정치국민회의
자유민주연합
무소속
계
서울특별시
20
83
1
104
인천광역시
5
21
2
1
29
경기도
21
66
10
97
강원도
23
14
4
6
47
대전광역시
1
16
17
충청남도
3
32
1
36
충청북도
4
19
4
27
광주광역시
16
1
17
전라남도
2
45
1
7
55
전라북도
1
34
1
2
38
부산광역시
46
2
1
49
대구광역시
28
1
29
울산광역시
11
1
5
17
경상남도
44
2
5
51
경상북도
48
1
6
5
60
제주도
4
10
3
17
합계
253
303
95
39
690
제3회 지방선거까지는 기초의원에 대해 정당공천제를 실시하지 않았다.
이 선거는 국민의 정부 출범 100일째 되던 날에 치러진 선거로, 김대중 대통령의 허니문의 영향으로 여당인 새정치국민회의 와 자유민주연합 은 압승한 반면 한나라당 은 패배했다. 새정치국민회의와 자유민주연합은 수도권 , 충청도 , 전라도 전역과 제주도 를 모두 휩쓸며 총합 10석을 챙겨간 반면 조순 의 한나라당은 6석을 얻는 데 그쳤다. 이 6석 역시 영남 지역을 수성한 것에 불과해 사실상 강원도 수복 외에는 아무런 성과가 없었다. 득표율 역시 (대선을 제외하면) 1979년 총선 이후 역사상 처음으로 민주당계 정당이 보수정당을 앞지르는 이변이 발생하며 한나라당이 궤멸되었다. 여당의 득표율은 과반에 근접한 49.7%였다.
한나라당은 지역 수성조차 하지 못한 채 대다수의 지역에서 연전연패를 거듭했다. 수도권과 충청권을 되찾겠다는 조순 총재의 호언장담과는 달리, 한나라당은 충청도와 전라도에서 단 한명의 기초단체장도 건지지 못하였다. 경상북도와 경상남도에서도 무소속의 돌풍으로 1/3 가량을 잃었다. 전라남도 와 전라북도 에서는 여당의 위세로 인해 아예 공천을 못하는 일까지 일어났다. 이른바 소산(小山)이라 불리던 실세 김현철 사건과, 성수대교 붕괴 사고 등 각종 안전사고, 거기다 외환위기 까지 겹치는 악재가 생겨 국민들이 김영삼 시절 여당이었던 한나라당 에 신뢰감을 잃은 것이다.
이인제의 국민신당 은 기존 예측과는 달리 충청도에서 기초단체장 1명을 얻는 데 그쳤다. 작년 대선에서 19%에 달하던 득표율도 2% 가량으로 줄었다. 이로 인해 이인제 는 국민신당을 해체하고 새정치국민회의 에 입당한다.
울진군 에서 새정치국민회의 출신의 신정 이 한나라당의 전광순 후보를 크게 앞지르며 당선되었다.[ 1] 신정은 2번째 여권 성향이 강한 경상북도 의 민주당계 정당 기초자치 단체장이었으며, 이로써 한나라당은 경상북도에 대한 통제력 또한 상실했음이 드러났다. 그러나 이후 2018년 지방선거에서 구미시장 장세용 까지 경상북도에서 민주당계 출신의 후보가 당선되는 일은 없었다. 또한 2018년까지 지방선거에서 민주당계 정당이 득표율로 보수정당을 앞지르는 일 또한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