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프
T
{\displaystyle T}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 이며,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그래프
T
{\displaystyle T}
를 숲 그래프 (영어 : forest graph 포리스트 그래프[* ] )이라고 한다.
T
{\displaystyle T}
는 (길이 3 이상의) 순환 을 갖지 않는다.
임의의 두 꼭짓점
v
1
,
v
2
∈
V
(
T
)
{\displaystyle v_{1},v_{2}\in \operatorname {V} (T)}
에 대하여,
v
1
{\displaystyle v_{1}}
과
v
2
{\displaystyle v_{2}}
사이의 경로 의 수는 1 이하이다.
T
{\displaystyle T}
는 완전 그래프
K
3
{\displaystyle K_{3}}
를 마이너 로 갖지 않는다.
T
{\displaystyle T}
는 단일 연결 공간 이다. (즉, 임의의 밑점
v
∈
V
(
T
)
{\displaystyle v\in \operatorname {V} (T)}
에 대하여, 1차 세포 호몰로지
H
1
(
T
,
v
)
{\displaystyle \operatorname {H} _{1}(T,v)}
가 자명군 이다. 그러나 연결 공간 이 아닐 수 있다.)
그래프
T
{\displaystyle T}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 이며,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그래프
T
{\displaystyle T}
를 나무 그래프 라고 한다.
T
{\displaystyle T}
는 숲 그래프이며, 연결 그래프 이다 (즉, 정확히 1개의 연결 성분 을 갖는다).
임의의 두 꼭짓점
v
1
,
v
2
∈
V
(
T
)
{\displaystyle v_{1},v_{2}\in V(T)}
에 대하여,
v
1
{\displaystyle v_{1}}
과
v
2
{\displaystyle v_{2}}
사이의 경로 가 정확히 하나 존재한다.
T
{\displaystyle T}
는 (1차원 세포 복합체 로서) 연결 단일 연결 공간 이다. (특히, 공집합 이 아니다.)
하나 이상의 꼭짓점을 가지며, 임의의 변
e
∈
E
(
T
)
{\displaystyle e\in \operatorname {E} (T)}
을 지운 그래프
T
−
e
{\displaystyle T-e}
는 연결 그래프 가 아니다.
나무 그래프
T
{\displaystyle T}
의 잎 꼭짓점 (영어 : leaf vertex 리프 버텍스[* ] )은 차수가 1인 꼭짓점이며, 내부 꼭짓점 (영어 : internal vertex )은 차수가 2 이상인 꼭짓점이다.
숲 그래프
T
{\displaystyle T}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V
(
T
)
|
=
|
E
(
T
)
|
+
|
Conn
(
T
)
|
{\displaystyle |\operatorname {V} (T)|=|\operatorname {E} (T)|+|\operatorname {Conn} (T)|}
여기서
|
V
(
T
)
|
{\displaystyle |\operatorname {V} (T)|}
는
T
{\displaystyle T}
의 꼭짓점의 수이다.
|
E
(
T
)
|
{\displaystyle |\operatorname {E} (T)|}
는
T
{\displaystyle T}
의 변의 수이다.
|
C
o
n
n
(
T
)
|
{\displaystyle |\operatorname {C} onn(T)|}
는
T
{\displaystyle T}
의 연결 성분의 수이다.
특히, 나무 그래프의 경우 하나의 연결 성분을 가지므로,
|
V
(
T
)
|
=
|
E
(
T
)
|
+
1
{\displaystyle |\operatorname {V} (T)|=|\operatorname {E} (T)|+1}
이다.
모든 숲 그래프는 이분 그래프 이자 평면 그래프 이다.
n
{\displaystyle n}
개의 꼭짓점을 갖는 나무 그래프의 동형류 의 수는 다음과 같다 (
n
=
0
,
1
,
2
,
…
{\displaystyle n=0,1,2,\dots }
).
1, 1, 1, 1, 2, 3, 6, 11, 23, 47, 106, 235, 551, 1301, 3159, … (OEIS 의 수열 A000055 )
n
{\displaystyle n}
개의 꼭짓점을 갖는 숲 그래프의 동형류 의 수는 다음과 같다 (
n
=
0
,
1
,
2
,
…
{\displaystyle n=0,1,2,\dots }
).
1, 1, 2, 3, 6, 10, 20, 37, 76, 153, 329, 710, 1601, 3658, … (OEIS 의 수열 A005195 )
유한 나무 그래프
T
{\displaystyle T}
의 꼭짓점 집합
V
(
T
)
{\displaystyle \operatorname {V} (T)}
에 임의의 정렬 순서 를 주고, 그 순서형 을
n
∈
Ord
{\displaystyle n\in \operatorname {Ord} }
이라고 하자.
T
{\displaystyle T}
에 대하여, 꼭짓점 열
x
0
,
x
1
,
…
{\displaystyle x_{0},x_{1},\dotsc }
을 다음과 같이 재귀적으로 정의하자.
x
i
=
min
{
v
∈
V
(
T
)
∖
{
x
j
}
j
<
i
:
deg
T
∖
{
x
j
}
j
<
i
v
=
1
}
{\displaystyle x_{i}=\min\{v\in \operatorname {V} (T)\setminus \{x_{j}\}_{j<i}\colon \deg _{T\setminus \{x_{j}\}_{j<i}}v=1\}}
즉, 다음과 같다.
임의의 순서수
i
<
|
V
(
T
)
|
{\displaystyle i<|\operatorname {V} (T)|}
에 대하여,
x
i
∈
V
(
T
)
{\displaystyle x_{i}\in \operatorname {V} (T)}
은
T
∖
{
x
j
}
j
<
i
{\displaystyle T\setminus \{x_{j}\}_{j<i}}
의 잎 꼭짓점 가운데, 정렬 순서 에 대하여 최소 원소 이다.
유한 나무 그래프의 경우, 이 열은
T
{\displaystyle T}
의 모든 꼭짓점을 한 번씩 포함한다. 즉,
T
{\displaystyle T}
의 꼭짓점 집합
V
(
T
)
{\displaystyle \operatorname {V} (T)}
위의 또다른 정렬 순서 를 정의한다. (반면, 무한 나무 그래프의 경우 이는 그렇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다음과 같은 꼭짓점 열
y
0
,
y
1
,
…
{\displaystyle y_{0},y_{1},\dotsc }
을
(
x
i
)
i
<
|
V
(
T
)
|
{\displaystyle (x_{i})_{i<|\operatorname {V} (T)|}}
로부터 정의할 수 있다.
(
x
i
,
y
i
)
∈
E
(
T
∖
{
x
j
}
j
<
i
)
{\displaystyle (x_{i},y_{i})\in \operatorname {E} (T\setminus \{x_{j}\}_{j<i})}
즉,
y
i
{\displaystyle y_{i}}
는
T
∖
{
v
j
}
j
<
i
{\displaystyle T\setminus \{v_{j}\}_{j<i}}
에서
x
i
{\displaystyle x_{i}}
와 인접한 유일한 내부 꼭짓점이다. (만약 이러한 꼭짓점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이 열은 끝나게 된다.)
유한 나무 그래프의 경우, 꼭짓점 열
y
i
{\displaystyle y_{i}}
의 길이는
n
−
1
{\displaystyle n-1}
인데, 이는 맨 “마지막”의 경우 꼭짓점이 하나 밖에 남지 않기 때문이다.
(
y
i
)
{\displaystyle (y_{i})}
를
T
{\displaystyle T}
의 프뤼퍼 열 (Prüfer列, 영어 : Prüfer sequence )이라고 한다.
또한, 프뤼퍼 열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유한 나무 그래프
프뤼퍼 열
꼭짓점의 수
프뤼퍼 열의 길이 + 2
변의 수
프뤼퍼 열의 길이 + 1
잎 꼭짓점
프뤼퍼 열에 등장하지 않는 꼭짓점
내부 꼭짓점
프뤼퍼 열에 등장하는 꼭짓점
꼭짓점의 차수
프뤼퍼 열에 등장하는 수 + 1
모든 유한 나무 그래프는 그 프뤼퍼 열로부터 재구성될 수 있다. 이 알고리즘은 대략 다음과 같다.
우선, 각 꼭짓점
v
{\displaystyle v}
에 대하여 양의 정수 값의 변수
d
v
{\displaystyle {\mathtt {d}}_{v}}
를,
v
i
{\displaystyle v_{i}}
가 프뤼퍼 열에 등장하는 수 + 1로 놓는다.
프뤼퍼 열의 첫째 꼭짓점
y
0
{\displaystyle y_{0}}
에 대하여,
d
v
=
1
{\displaystyle {\mathsf {d}}_{v}=1}
인 최소의 꼭짓점을
v
{\displaystyle v}
라고 하면,
변
(
v
,
a
v
)
{\displaystyle (v,a_{v})}
를 그래프 에 추가하며,
d
y
0
{\displaystyle {\mathtt {d}}_{y_{0}}}
과
d
v
{\displaystyle {\mathtt {d}}_{v}}
를 각각 1만큼 감소시킨다.
위 단계를 프뤼퍼 열의 둘째, 셋째 등등 꼭짓점에 대하여 반복한다.
이 과정이 끝나면,
d
v
=
1
{\displaystyle {\mathtt {d}}_{v}=1}
인 꼭짓점이 두 개 남는다. 이들 사이에 변을 추가한다.
알고리즘 종료.
(반면, 무한 나무 그래프의 경우 이는 일반적으로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양쪽 무한 경로 그래프 는 나무 그래프이지만, 잎 꼭짓점을 갖지 않아, 프뤼퍼 열이 자명하다.)
임의의 크기
n
{\displaystyle n}
의 유한 집합
V
{\displaystyle V}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V
{\displaystyle V}
를 꼭짓점으로 하는 나무 그래프의 수를
T
n
{\displaystyle T_{n}}
이라고 하자. (이 경우, 꼭짓점들이 서로 구별되므로, 이는 나무 그래프의 동형류의 수와 다르다.) 케일리 공식 (영어 : Cayley’s formula )에 따르면, 이는 다음과 같다.[ 1]
T
n
=
n
n
−
2
{\displaystyle T_{n}=n^{n-2}}
증명 :
꼭짓점 집합
V
{\displaystyle V}
에 임의의 정렬 순서 를 주자. 그렇다면,
V
{\displaystyle V}
위의 임의의 나무 그래프는 프뤼퍼 열에 유일하게 대응하며, 반대로 모든 프뤼퍼 열은 나무 그래프에 유일하게 대응된다. 프뤼퍼 열의 수는
n
n
−
2
{\displaystyle n^{n-2}}
이다.
크기
n
{\displaystyle n}
의 유한 집합 위의 숲 그래프의 수는 다음과 같다. (
n
=
0
,
1
,
2
,
…
{\displaystyle n=0,1,2,\dotsc }
)
1, 1, 2, 7, 38, 291, 2932, 36961, 561948, 10026505, 205608536, 4767440679, 123373203208, 3525630110107, 110284283006640, 3748357699560961, 137557910094840848, 5421179050350334929, 228359487335194570528, 10239206473040881277575, 486909744862576654283616, … (OEIS 의 수열 A1858 )
이 자연수열을
c
i
{\displaystyle c_{i}}
라고 표기하면, 그 생성 함수 는
∑
i
=
0
∞
1
i
!
c
i
x
i
=
exp
(
∑
n
=
1
∞
n
n
−
2
1
n
!
x
n
)
=
1
+
x
+
1
2
(
2
x
2
)
+
1
6
(
7
x
3
)
+
⋯
{\displaystyle \sum _{i=0}^{\infty }{\frac {1}{i!}}c_{i}x^{i}=\exp \left(\sum _{n=1}^{\infty }n^{n-2}{\frac {1}{n!}}x^{n}\right)=1+x+{\frac {1}{2}}(2x^{2})+{\frac {1}{6}}(7x^{3})+\dotsb }
이다.
증명 :
크기
N
{\displaystyle N}
의 집합의 분할 에서, 크기
n
{\displaystyle n}
의 성분의 수가
k
n
{\displaystyle k_{n}}
이라고 하자. 즉,
∑
n
=
1
∞
n
k
n
=
N
{\displaystyle \sum _{n=1}^{\infty }nk_{n}=N}
이다.
이 경우, 주어진 분할을 연결 성분 분할로 갖는 숲 그래프의 수는
∏
n
=
1
∞
(
T
n
)
k
n
{\displaystyle \prod _{n=1}^{\infty }(T_{n})^{k_{n}}}
이다.
크기
N
{\displaystyle N}
의 집합의 경우, 이러한 분할 의 수는
(
N
!
∏
n
=
1
∞
(
n
!
)
k
n
k
n
!
)
{\displaystyle {\binom {N!}{\prod _{n=1}^{\infty }(n!)^{k_{n}}k_{n}!}}}
이다.
따라서, 생성 함수
f
(
x
)
{\displaystyle f(x)}
는 다음과 같은 유한 중복집합 에 대한 합으로 나타내어진다.
f
(
x
)
=
∑
k
∈
M
x
|
k
|
|
k
|
!
|
k
|
!
∏
n
=
1
∞
(
n
!
)
k
n
k
n
!
∏
n
=
1
∞
(
T
n
)
k
n
=
∑
k
∈
M
|
k
|
!
|
k
|
!
x
|
k
|
∏
n
=
1
∞
(
T
n
)
k
n
∏
n
=
1
∞
(
n
!
)
k
n
k
n
!
=
∑
k
∈
M
x
|
k
|
∏
n
=
1
∞
(
T
n
n
!
)
k
n
1
k
n
!
=
∑
k
∈
M
x
∑
n
=
1
∞
n
k
n
∏
n
=
1
∞
(
T
n
n
!
)
k
n
1
k
n
!
=
∑
k
∈
M
∏
n
=
1
∞
x
n
k
n
∏
n
=
1
∞
(
T
n
n
!
)
k
n
1
k
n
!
=
∑
k
∈
M
∏
n
=
1
∞
(
T
n
x
n
n
!
)
k
n
1
k
n
!
=
∏
n
=
1
∞
∑
k
n
=
0
∞
(
T
n
x
n
n
!
)
k
n
1
k
n
!
=
∏
n
=
1
∞
exp
(
T
n
x
n
n
!
)
=
exp
(
∑
n
=
1
∞
T
n
x
n
n
!
)
=
exp
(
∑
n
=
1
∞
T
n
1
n
!
x
n
)
{\displaystyle {\begin{aligned}f(x)&=\sum _{k\in M}{{x^{|k|}} \over {|k|!}}{{|k|!} \over {\prod _{n=1}^{\infty }(n!)^{k_{n}}k_{n}!}}\prod _{n=1}^{\infty }(T_{n})^{k_{n}}\\&=\sum _{k\in M}{{|k|!} \over {|k|!}}{{x^{|k|}{\prod _{n=1}^{\infty }(T_{n})^{k_{n}}}} \over {\prod _{n=1}^{\infty }(n!)^{k_{n}}{k_{n}!}}}\\&=\sum _{k\in M}{x^{|k|}}\prod _{n=1}^{\infty }\left({{T_{n}} \over {n!}}\right)^{k_{n}}{{1} \over {k_{n}!}}\\&=\sum _{k\in M}{x^{\sum _{n=1}^{\infty }nk_{n}}}\prod _{n=1}^{\infty }\left({{T_{n}} \over {n!}}\right)^{k_{n}}{{1} \over {k_{n}!}}\\&=\sum _{k\in M}\prod _{n=1}^{\infty }{x_{n}^{k_{n}}}\prod _{n=1}^{\infty }\left({{T_{n}} \over {n!}}\right)^{k_{n}}{{1} \over {k_{n}!}}\\&=\sum _{k\in M}\prod _{n=1}^{\infty }\left({{T_{n}x_{n}} \over {n!}}\right)^{k_{n}}{{1} \over {k_{n}!}}\\&=\prod _{n=1}^{\infty }\sum _{k_{n}=0}^{\infty }\left({{T_{n}x_{n}} \over {n!}}\right)^{k_{n}}{{1} \over {k_{n}!}}\\&=\prod _{n=1}^{\infty }\exp \left({{T_{n}x^{n}} \over {n!}}\right)\\&=\exp \left(\sum _{n=1}^{\infty }{{T_{n}x^{n}} \over {n!}}\right)\\&=\exp \left(\sum _{n=1}^{\infty }T_{n}{{1} \over {n!}}x^{n}\right)\end{aligned}}}
여기서
M
{\displaystyle M}
는 유한 중복집합 들, 즉 함수
k
:
Z
+
→
N
{\displaystyle k\colon \mathbb {Z} ^{+}\to \mathbb {N} }
k
:
n
↦
k
n
{\displaystyle k\colon n\mapsto k_{n}}
가운데
∑
n
=
1
∞
n
k
n
<
∞
{\displaystyle \sum _{n=1}^{\infty }nk_{n}<\infty }
인 것들의 족이며,
|
k
|
=
∑
n
=
1
∞
n
k
n
{\displaystyle |k|=\sum _{n=1}^{\infty }nk_{n}}
이고,
T
n
=
n
n
−
2
{\displaystyle T_{n}=n^{n-2}}
이다.
정의에 따라, 모든 무변 그래프 는 숲 그래프이며, 특히 한원소 그래프
K
1
{\displaystyle K_{1}}
은 나무 그래프이다.
임의의 양의 정수
n
{\displaystyle n}
에 대하여, 경로 그래프
P
n
{\displaystyle P_{n}}
은 나무 그래프이다. 또한, 양쪽 무한 경로 그래프
P
∞
{\displaystyle P_{\infty }}
및 한쪽 무한 경로 그래프
P
∞
+
{\displaystyle P_{\infty }^{+}}
역시 둘 다 나무 그래프이다.
다음과 같은 유한 나무 그래프
T
{\displaystyle T}
를 생각하자.
이 경우,
잎 꼭짓점들은
{
1
,
2
,
3
,
6
}
{\displaystyle \{1,2,3,6\}}
이며, 이 가운데 최솟값은 1이다. 이는 꼭짓점 4에 연결되어 있다. 즉,
x
0
=
1
{\displaystyle x_{0}=1}
이며
y
0
=
4
{\displaystyle y_{0}=4}
이다. 이제, 꼭짓점 1을 제거하자.
T
∖
{
1
}
{\displaystyle T\setminus \{1\}}
에서, 잎 꼭짓점들은
{
2
,
3
,
6
}
{\displaystyle \{2,3,6\}}
이며, 이 가운데 최솟값은 2이다. 이는 꼭짓점 4에 연결되어 있다. 즉,
x
1
=
2
{\displaystyle x_{1}=2}
이며
y
1
=
4
{\displaystyle y_{1}=4}
이다. 이제, 꼭짓점 2를 제거하자.
T
∖
{
1
,
2
}
{\displaystyle T\setminus \{1,2\}}
에서, 잎 꼭짓점들은
{
3
,
6
}
{\displaystyle \{3,6\}}
이며, 이 가운데 최솟값은 3이다. 이는 꼭짓점 4에 연결되어 있다. 즉,
x
2
=
3
{\displaystyle x_{2}=3}
이며
y
2
=
4
{\displaystyle y_{2}=4}
이다. 이제, 꼭짓점 3을 제거하자.
T
∖
{
1
,
2
,
3
}
{\displaystyle T\setminus \{1,2,3\}}
에서, 잎 꼭짓점들은
{
4
,
6
}
{\displaystyle \{4,6\}}
이며, 이 가운데 최솟값은 4이다. 이는 꼭짓점 5에 연결되어 있다. 즉,
x
3
=
4
{\displaystyle x_{3}=4}
이며
y
2
=
5
{\displaystyle y_{2}=5}
이다. 이제, 꼭짓점 4를 제거하자.
T
∖
{
1
,
2
,
3
,
4
}
{\displaystyle T\setminus \{1,2,3,4\}}
에서, 잎 꼭짓점들은
{
5
,
6
}
{\displaystyle \{5,6\}}
이며, 이 가운데 최솟값은 5이다. 즉,
x
4
=
5
{\displaystyle x_{4}=5}
이다. 이는 꼭짓점 6에 연결되어 있으나, 이 역시 잎 꼭짓점이므로, 프뤼퍼 열은 끝난다.
즉,
(
y
0
,
…
,
y
4
)
=
(
4
,
4
,
4
,
5
)
{\displaystyle (y_{0},\dotsc ,y_{4})=(4,4,4,5)}
이다.
케일리 공식은 1860년에 카를 빌헬름 보르하르트(독일어 : Carl Wilhelm Borchardt , 1817~1880)가 최초로 증명하였다.[ 2] 이후 1889년에 아서 케일리 가 같은 정리의 새 증명을 발표하였다.[ 3] 케일리는 보르하르트의 논문을 인용하였지만, 이 공식은 더 유명한 케일리의 이름을 따 불리게 되었다.
에른스트 파울 하인츠 프뤼퍼(독일어 : Ernst Paul Heinz Prüfer , 1896~1934)는 1918년에 프뤼퍼 열을 도입하였으며, 이를 사용하여 이에 대한 다른 증명을 제시하였다.[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