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운규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영화인 (1902–1937)

나운규(羅雲奎, 1902년 10월 17일 ~ 1937년 8월 9일)는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이자 영화인으로, 한국 영화의 선구자로 알려져 있다. 본관은 나주(羅州)이며, 호는 춘사(春史)이다.

나운규
羅雲奎
출생1902년 10월 17일(1902-10-17)
대한제국 함경북도 회령
사망1937년 8월 9일(1937-08-09)(35세)
일본 제국령 조선 경성부
국적대한제국
다른 이름호(號)는 춘사(春史)
직업영화인
영화배우
영화감독
영화제작자
독립운동가
영화 기획가
영화연출가
영화 각본가
영화 편집감독
영화 각색가
활동 기간1924년 ~ 1937년
종교유교(성리학) → 개신교(장로회)
학력중국 만저우 지방 지린성 룽징 명동중학교 중퇴
부모나형권(부)
형제자매누나 3명
형 2명
둘째형 나시규(연희전문학교 중퇴)
배우자조정옥 여사
자녀나종익(장남)
나신자(딸)
나봉한(차남)
수상1993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학력 편집

생애 편집

함경북도 회령에서 출생했다. 회령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신흥학교 고등과로 진학, 1918년에는 만주 간도에 있는 명동중학에 들어갔으나, 일제의 탄압으로 학교가 폐교되는 바람에 1여 년 동안 북간도와 만주지방을 유랑했다. 이때 독립군 단체와 관련을 맺으면서 독립운동을 하다가 ‘청회선터널 폭파 미수 사건’의 피의자로 체포되어 청진교도소에서 1년 6개월 동안 복역하고 1923년에 출소한 후 만주로 도피하여 마적단에게 첩자로 몰려 체포되어 온갖 고초를 겪다가 마적단들이 술에 취해서 잠든 틈을 타서 같은 조선사람의 도움으로 풀려나게 된다.[1] 1920년에는 독립군 지도자 중 한 명인 홍범도 장군 산하의 부대에서 활동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2]

1924년 일본인이 관리하는 ‘조선 키네마사’에 연구생으로 입사, 윤백남 감독의 《운영전》에서 가마꾼으로 출연하였다. 《농중조》에 출연하며 배우로도 명성을 떨쳤다. 1926년에는 무성 영화인 《아리랑》을 제작함으로써 대한민국 영화계의 선구자로 강행군을 하였다. 이 작품은 나운규 자신이 각본을 쓰고 감독과 주연까지 겸하여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였다.

종로 단성사에서 상영한 이 작품은 대한민국 영화계에 큰 획을 그었다. 이후 영화계의 중심이 되어 많은 작품을 내고, 대한민국 영화계에서 새로운 개혁을 시도했다. 작품으로 《금붕어》, 《들쥐》, 《벙어리 삼룡》, 《오몽녀》, 《임자 없는 나룻배》 등이 있다.

안타깝게도 그가 제작한 영화 필름들은 대일본제국을 조롱했다는 사유로 일본 순사들에 의해 강제 소각, 폐기 조치되고 말았다. 그 이후로 관객들도 나운규의 영화를 더 이상 보지 않게 되면서 나운규는 연일 계속 이어지는 흥행 실패에다 관객 감소로 자포자기 심정의 나날을 보내야만 했다. 자신이 설립한 "나운규 프로덕션"도 오래 가지 못했다.

게다가 설상가상으로 일본 순사들과 총독부의 감시망까지 강화되면서, 당시 한창 청춘이었던 나운규에게는 그야말로 엎친 데 덮친 격이었다.

1937년 8월 9일, 안타깝게도 36세라는 한창 젊은 나이에 폐결핵으로 요절하고 말았다. 그의 차남 나봉한도 역시 아버지의 뒤를 이어 감독으로 활동했던 바가 있다.

1993년 8월 대한민국 정부는 동갑내기 영화인 윤봉춘과 함께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가족 관계 편집

  • 아버지 : 나형권(羅衡權)
    • 둘째형 : 나시규(羅始奎)
    • 부인 : 조정옥(趙貞玉) (1898~1968)

주요 작품 편집

감독 작품 편집

  • 아리랑》(1926년)
    • 《철인도》(鐵人都, 1930년) - 《아리랑》 후편
    • 《오몽녀》(五夢女, 1936년) - 《아리랑》 3편(유성영화)[3]
  • 《풍운아》(風雲兒, 1926년)
  • 《옥녀》(玉女, 1928년)
  • 《벙어리 삼룡이》(1929년)
  • 《개화당 이문》(開化黨 異聞, 1932년)
  • 《칠번통 소사건》(七番通 小事件, 1934년)
  • 《무화과》(無花果, 1935년)

출연 작품 편집

  • 《아리랑》(1926년) - 원작, 감독, 주연
  • 임자 없는 나룻배》(1932년)
  • 《심청전》- 주연
  • 《개척자》- 주연
  • 《장한몽(長恨夢)》- 주연

나운규가 등장한 작품 편집

상훈 편집

각주 편집

  1. “나운규(羅雲奎)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18년 4월 13일에 확인함. 
  2. 강현식 (2003년 5월 27일). “<아리랑> 지워지지 않는 '춘사'의 기억”. 오마이뉴스. 
  3. 나윤규[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4. “나운규의 삶과 예술 드라마로 제작”. 동아일보. 1991년 7월 5일. 2017년 6월 1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