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환
생애편집
고려(高麗)의 불교(佛敎) 승려(僧侶) 일연(一然)이 지은《삼국유사(三國遺事)》에서는 "능환(能奐)이 후백제(後百濟)의 관리였고, 벼슬이 이찬(伊飡)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따르면 935년에 후백제(後百濟)의 왕(王) 견훤(甄萱)이 평소에 총애하던 아들인 견금강(甄金剛)을 왕태자(王太子)로 삼으려고 하자 이에 반발한 견훤(甄萱)의 첫째 아들인 견신검(甄神劍)과 함께 반란(叛亂)을 일으켰다. 결국 견신검(甄神劍)은 아버지인 견훤(甄萱)을 폐위시켜서 금산사(金山寺)에 감금하였으며 견금강(甄金剛)을 암살(暗殺)하고 후백제(後百濟)의 왕이 되었다.
936년에 고려(高麗)의 왕(王) 태조 왕건(太祖 王建)이 견훤(甄萱)과 함께 10만 대군을 이끌고 후백제(後百濟)를 공격해왔다. 결국 마지막 싸움이었던 황산 전투(荒山 戰鬪)에서 견신검(甄神劍)과 함께 태조 왕건(太祖 王建)에게 투항했다. 투항 직전에 견신검(甄神劍)과 더불어 반란(叛亂)을 모의했던 혐의가 드러났고, 결국 고려(高麗)군에 의하여 처형당했다.
능환이 등장한 작품편집
이 글은 한국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이 글은 군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