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우아포오우어

니우아포오우어(Niuafoʻou)는 통가의 최북단 섬인 니우아포오우섬의 언어이다. 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한다.

니우아포오우어
사용 지역 통가
언어 인구 500명 (2015년)
언어 계통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오세아니아어군
   폴리네시아어군
    니우아포오우어
언어 부호
ISO 639-3 num 니우아포오우어
글로톨로그 niua1240[1]
니우아포오우어로 말하는 영상

전통적으로 니우아포오우어는 왈리스어(동우베아어)와 가장 가까운 관계이며 핵심 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한다고 여겨져 왔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통가어와 가장 가까운 관계로서 통가어군에 속할 가능성도 있다.[2] 니우아포오우어는 지금도 통가의 공용어인 통가어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고 있으며, 통가어 및 왈리스어와 상당 부분 상호 의사 소통이 가능하다.

1946년 니우아포오우섬의 화산 분화로 인해 1300명 인구 전체가 에우아섬으로 대피한 일이 있었다. 이 가운데 약 절반 정도가 니우아포오우섬으로 돌아왔고 나머지는 에우아섬에 정착했다.

음운론

편집

니우아포오우어의 음소 목록은 이웃 언어인 통가어서우베아어와 같다.

니우아포오우어 자음[3]
순음 치경음 연구개음 성문음
비음 m n ŋ
파열음 p t k ʔ
마찰음 f v s h
설측음 l
니우아포오우어 모음[3]
전설 중설 후설
고모음 i u
중모음 e o
저모음 a

강세 없는 모음은 중설중모음화되는 경향이 있다. /i//u/는 특정 환경에서 무성음화된다.[3] 음소 /t/는 설첨 치경 탄음 /ɾ/로 소리나기도 한다. /h/는 어두에서만 [h]로 소리나고, 어중에서는 [ɦ] 또는 [x]로 소리난다.[3]

니우아포오우어의 음절구조는 (C)V이다. 그러나 다른 언어의 영향 및 모음 무성음화로 인해 자음군을 허용하는 쪽으로 변하고 있다.[3]

강세는 단어의 뒤에서 두 번째 음절에 온다. 단음절어는 혼자서 음운론적 단어를 이루지 못하며, 이웃한 단어에 붙어 음운론적 단어를 이룬다. 또한 통가어와 같이, 한정 명사구의 마지막 단어의 강세는 마지막 음절로 이동한다. 이를 한정 강세(definitive stress)라 부른다.

  • fale ; falé (그) 집
  • tangata lahi 큰 사람; tangata lahí (그) 큰 사람

니우아포오우어 표기법은 통가어와 비슷하다. /ŋ/은 ‹ng›로 적고 /ʔ/는 ‹ʻ›로 적는다(오키나 참고). 한정 강세를 받는 모음은 양음 부호(á é í ó ú)로 표시한다.

각주

편집
  1.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Niuafo'ou〉.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 Marck, Jeff (2000), Topics in Polynesian languages and culture history. Canberra: Pacific Linguistics.
  3. Tsukamoto (1988).

참고 문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