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카바진
흑색종과 호지킨 림프종의 치료에 사용되는 화학요법 약물
다카바진(dacarbazine) 또는 상표명 DTIC돔(DTIC-Dome)은 흑색종과 호지킨 림프종의 치료에 사용되는 화학요법 약물이다. 정맥 주사로 투여되며 항신생물제이다.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5-(3,3-다이메틸-1-트라이제닐)이미다졸-4-카복사마이드 |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4342-03-4 |
ATC 코드 | L01AX04 |
PubChem | 2942 |
드러그뱅크 | DB00851 |
ChemSpider | 10481959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C6H10N6O |
분자량 | 182.187 g/mol |
SMILES | eMolecules & PubChem |
약동학 정보 | |
생체적합성 | 100% (IV) |
동등생물의약품 | ? |
약물 대사 | 신속 |
생물학적 반감기 | 5시간 |
배출 | 콩팥 (변환되지 않은 상태의 다카바진 40%) |
처방 주의사항 | |
임부투여안전성 | C(미국) |
법적 상태 |
|
투여 방법 | IV |
1975년에 미국에서 사용이 승인되었다.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기재되어 있다.[1]
의학적 사용
편집전이성 흑색종 치료의 경우 단일약제로,[2] 호지킨 림프종 치료의 경우 ABVD 화학요법의 일부로,[3] 육종의 경우 MAID 요법에 사용된다.[4] 프로카바진만큼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5]
작용 기전
편집간 효소에 의해 활성화되어 알킬화 화합물인 5-(3-모노메틸-1-트라이아제닐)-1H-이미다졸-4-카복사마이드(MTIC)를 형성한다.[6] 이는 DNA의 메틸화, 변형, 교차결합을 유발해 DNA, RNA, 단백질 합성을 억제한다.[7]
부작용
편집일반적인 부작용으로 식욕 감퇴, 백혈구 감소, 혈소판 감소가 있다. 특히 메스꺼움과 구토를 유발해 환자들은 5-HT3 길항제와 덱사메타손을 복용하기도 한다.[8] 다른 부작용으로 간독성 및 과민증이 있고, 임신 중 사용이 아기에게 안전한지는 불분명하다.[9] 스웨덴 보건복지위원회는 간 손상 때문에 다카바진을 피할 것을 제안했다.[10]
합성
편집5-아미노이미다졸-4-카복사마이드에 아질산을 첨가하면 5-다이아조이미다졸-4-카복사마이드가 생성된다. 이를 다이메틸아민과 반응시키면 다카바진이 생성된다.[11]
역사
편집1959년에 서던 리서치에서 처음 합성되었다.[12]
각주
편집- ↑ 세계보건기구 (2023). 《The selection and use of essential medicines 2023: web annex A: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3rd list (2023)》. 세계보건기구. hdl:10665/371090.
- ↑ Serrone L, Zeuli M, Sega FM, Cognetti F (2000). “Dacarbazine-based chemotherapy for metastatic melanoma: thirty-year experience overview”. 《Journal of Experimental & Clinical Cancer Research》 19 (1): 21–34. PMID 10840932.
- ↑ Rueda Domínguez A, Márquez A, Gumá J, Llanos M, Herrero J, de Las Nieves MA, Miramón J, Alba E (2004). “Treatment of stage I and II Hodgkin's lymphoma with ABVD chemotherapy: results after 7 years of a prospective study”. 《Annals of Oncology》 15 (12): 1798–1804. doi:10.1093/annonc/mdh465. PMID 15550585.
- ↑ Elias A, Ryan L, Aisner J, Antman KH (1990). “Mesna, doxorubicin, ifosfamide, dacarbazine (MAID) regimen for adults with advanced sarcoma”. 《Seminars in Oncology》 17 (2 Suppl 4): 41–49. PMID 2110385.
- ↑ Jelić S, Babovic N, Kovcin V, Milicevic N, Milanovic N, Popov I, Radosavljevic D (2002). “Comparison of the efficacy of two different dosage dacarbazine-based regimens and two regimens without dacarbazine in metastatic melanoma: a single-centre randomized four-arm study”. 《Melanoma Research》 12 (1): 91–98. doi:10.1097/00008390-200202000-00013. PMID 11828263. S2CID 32031568.
- ↑ Kewitz S, Stiefel M, Kramm CM, Staege MS (2014). “Impact of O6-methylguanine-DNA methyltransferase (MGMT) promoter methylation and MGMT expression on dacarbazine resistance of Hodgkin's lymphoma cells”. 《Leukemia Research》 38 (1): 138–143. doi:10.1016/j.leukres.2013.11.001. PMID 24284332.
- ↑ 〈Dacarbazine〉. 《LiverTox: Clinical and Research Information on Drug-Induced Liver Injury [Internet]》.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2012. PMID 31644220.
- ↑ Aoki S, Iihara H, Nishigaki M, Imanishi Y, Yamauchi K, Ishihara M, Kitaichi K, Itoh Y (2013). “Difference in the emetic control among highly emetogenic chemotherapy regimens: Implementation for appropriate use of aprepitant”. 《Molecular and Clinical Oncology》 1 (1): 41–46. doi:10.3892/mco.2012.15. PMC 3956247. PMID 24649120.
- ↑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Dacarbazine”. 《Drugs.com》.
- ↑ “Alla aktuella ändringar för Dacarbazine medac Pulver till infusionsvätska, lösning 500 mg, Medac”. 《FASS.se》. 2011년 10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Vardanyan RS, Hruby VJ (2006). 〈30 - Antineoplastics〉. 《Synthesis of Essential Drugs》. 389–418쪽. doi:10.1016/B978-044452166-8/50030-3.
- ↑ Marchesi F, Turrizani M, Tortorelli G, Avvisati G, Torino F, De Vecchis L (2007). “Triazene compounds: Mechanism of action and related DNA repair systems”. 《Pharmacological Research》 56 (4): 275–287. doi:10.1016/j.phrs.2007.08.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