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카바진

흑색종과 호지킨 림프종의 치료에 사용되는 화학요법 약물

다카바진(dacarbazine) 또는 상표명 DTIC돔(DTIC-Dome)은 흑색종호지킨 림프종의 치료에 사용되는 화학요법 약물이다. 정맥 주사로 투여되며 항신생물제이다.

다카바진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5-(3,3-다이메틸-1-트라이제닐)이미다졸-4-카복사마이드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4342-03-4
ATC 코드 L01AX04
PubChem 2942
드러그뱅크 DB00851
ChemSpider 10481959
화학적 성질
화학식 C6H10N6O 
분자량 182.187 g/mol
SMILES eMolecules & PubChem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100% (IV)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신속
생물학적 반감기 5시간
배출 콩팥 (변환되지 않은 상태의 다카바진 40%)
처방 주의사항
임부투여안전성 C(미국)
법적 상태
  • 처방전 필요
투여 방법 IV

1975년에 미국에서 사용이 승인되었다.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기재되어 있다.[1]

의학적 사용

편집

전이성 흑색종 치료의 경우 단일약제로,[2] 호지킨 림프종 치료의 경우 ABVD 화학요법의 일부로,[3] 육종의 경우 MAID 요법에 사용된다.[4] 프로카바진만큼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5]

작용 기전

편집

간 효소에 의해 활성화되어 알킬화 화합물인 5-(3-모노메틸-1-트라이아제닐)-1H-이미다졸-4-카복사마이드(MTIC)를 형성한다.[6] 이는 DNA의 메틸화, 변형, 교차결합을 유발해 DNA, RNA, 단백질 합성을 억제한다.[7]

부작용

편집

일반적인 부작용으로 식욕 감퇴, 백혈구 감소, 혈소판 감소가 있다. 특히 메스꺼움과 구토를 유발해 환자들은 5-HT3 길항제덱사메타손을 복용하기도 한다.[8] 다른 부작용으로 간독성 및 과민증이 있고, 임신 중 사용이 아기에게 안전한지는 불분명하다.[9] 스웨덴 보건복지위원회는 간 손상 때문에 다카바진을 피할 것을 제안했다.[10]

합성

편집

5-아미노이미다졸-4-카복사마이드에 아질산을 첨가하면 5-다이아조이미다졸-4-카복사마이드가 생성된다. 이를 다이메틸아민과 반응시키면 다카바진이 생성된다.[11]

 

역사

편집

1959년에 서던 리서치에서 처음 합성되었다.[12]

각주

편집
  1. 세계보건기구 (2023). 《The selection and use of essential medicines 2023: web annex A: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3rd list (2023)》. 세계보건기구. hdl:10665/371090. 
  2. Serrone L, Zeuli M, Sega FM, Cognetti F (2000). “Dacarbazine-based chemotherapy for metastatic melanoma: thirty-year experience overview”. 《Journal of Experimental & Clinical Cancer Research》 19 (1): 21–34. PMID 10840932. 
  3. Rueda Domínguez A, Márquez A, Gumá J, Llanos M, Herrero J, de Las Nieves MA, Miramón J, Alba E (2004). “Treatment of stage I and II Hodgkin's lymphoma with ABVD chemotherapy: results after 7 years of a prospective study”. 《Annals of Oncology》 15 (12): 1798–1804. doi:10.1093/annonc/mdh465. PMID 15550585. 
  4. Elias A, Ryan L, Aisner J, Antman KH (1990). “Mesna, doxorubicin, ifosfamide, dacarbazine (MAID) regimen for adults with advanced sarcoma”. 《Seminars in Oncology》 17 (2 Suppl 4): 41–49. PMID 2110385. 
  5. Jelić S, Babovic N, Kovcin V, Milicevic N, Milanovic N, Popov I, Radosavljevic D (2002). “Comparison of the efficacy of two different dosage dacarbazine-based regimens and two regimens without dacarbazine in metastatic melanoma: a single-centre randomized four-arm study”. 《Melanoma Research》 12 (1): 91–98. doi:10.1097/00008390-200202000-00013. PMID 11828263. S2CID 32031568. 
  6. Kewitz S, Stiefel M, Kramm CM, Staege MS (2014). “Impact of O6-methylguanine-DNA methyltransferase (MGMT) promoter methylation and MGMT expression on dacarbazine resistance of Hodgkin's lymphoma cells”. 《Leukemia Research》 38 (1): 138–143. doi:10.1016/j.leukres.2013.11.001. PMID 24284332. 
  7. 〈Dacarbazine〉. 《LiverTox: Clinical and Research Information on Drug-Induced Liver Injury [Internet]》.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2012. PMID 31644220. 
  8. Aoki S, Iihara H, Nishigaki M, Imanishi Y, Yamauchi K, Ishihara M, Kitaichi K, Itoh Y (2013). “Difference in the emetic control among highly emetogenic chemotherapy regimens: Implementation for appropriate use of aprepitant”. 《Molecular and Clinical Oncology》 1 (1): 41–46. doi:10.3892/mco.2012.15. PMC 3956247. PMID 24649120. 
  9.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Dacarbazine”. 《Drugs.com》. 
  10. “Alla aktuella ändringar för Dacarbazine medac Pulver till infusionsvätska, lösning 500 mg, Medac”. 《FASS.se》. 2011년 10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1. Vardanyan RS, Hruby VJ (2006). 〈30 - Antineoplastics〉. 《Synthesis of Essential Drugs》. 389–418쪽. doi:10.1016/B978-044452166-8/50030-3. 
  12. Marchesi F, Turrizani M, Tortorelli G, Avvisati G, Torino F, De Vecchis L (2007). “Triazene compounds: Mechanism of action and related DNA repair systems”. 《Pharmacological Research》 56 (4): 275–287. doi:10.1016/j.phrs.2007.08.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