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대중당 후보 선출
대중당의 제6대 대통령 후보 지명은 1967년 3월 9일 대중당 창당대회에서 독립운동가 출신 정치인이자 전직 민의원부의장인 서민호 전 의원이 대통령 후보로 추대된 것을 말한다.
![]() | |||||||||||||||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대중당 후보 선출 | |||||||||||||||
| |||||||||||||||
| |||||||||||||||
|
배경편집
1960년대 중반부터 창당을 준비하던 혁신 진영은 통일사회당과 민주사회당으로 분열코 있었다.
그 중에서도 민주사회당은 서민호가 이끄는 보수 계열과 정화암이 이끄는 혁신 계열이 합작해 만들어진 당이었는데, 그런 특성 상 보수계와 혁신계는 당의 주도권을 놓고 충돌을 거듭하였다.[1]
결국 보수계는 1966년 5월 9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단독으로 창준위 등록을 마치며 당을 차지하게 되었다.[2]
민주사회당은 1966년 12월 2일 운영회의를 열고 대통령 후보로 서민호 전 의원을 지명할 것을 결정하였으며, 22일 창당대회에서 공식적으로 서민호 전 의원을 당 대표 및 대통령 후보에 추대하였다. 이 날 민사당은 또한 혁신계 인사들 즉시 석방, 정정법 해제, 반공법 개정, 중정 해체, 재벌 재산 몰수, 한일협정 재조정, 주월군 철수, 남북 교류 추진 등을 촉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하였다.[3]
서민호 전 의원은 당초 후보 수락을 보류하였으나, 군소 정당 대통합이 추진 중에 있던 2월 6일, 통합 신당에 의해 재지명될 시 출마를 수락하겠다고 선언하였다.[4] 서민호 전 의원은 또한 보수와 혁신의 협력을 위해 신한당과 민중당에서 추진 중에 있던 보수 야권의 통합 신당과 후보 단일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5]
대중당 창당편집
이후 민주사회당, 동학, 정민회 및 재야 혁신계 인사들은 1967년 3월 9일 통합 전당대회를 개최하고 대중당을 창당, 서민호 민사당 대선 후보를 대중당의 대선 후보로 추대하였다.[6]
서민호 후보는 수락 연설에서 "자본주의의 모순을 시정하는 길은 민주사회주의 이념을 구현하는데 있다"고 말했다.[6]
이후 서민호 후보는 진정한 정당 정치를 위해서는 보수-혁신 양당제 확립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하고, "과거 전위적인 보수 정객이었던 내가 혁신 정당의 육성을 위해 밑거름이 되는 것은 역사의 요청"에 따른 것라며 지지를 호소하였다.[7]
그러나 서민호 후보는 4월 28일 성명을 발표하고 야권 단일화를 위해 후보직을 사퇴하였다.[8]
각주편집
- ↑ “혼미 속의 혁신 정당 민사당 분열의 언저리”. 《경향신문》. 1966년 5월 6일. 2019년 6월 1일에 확인함.
- ↑ “민사당 보수계 선위에 등록”. 《경향신문》. 1966년 5월 10일. 2019년 6월 1일에 확인함.
- ↑ “민사당 대통령 후보 서민호 씨 선출”. 《동아일보》. 1966년 12월 22일. 2019년 6월 1일에 확인함.
- ↑ “서민호 씨 대통령 출마 재표명”. 《경향신문》. 1967년 2월 6일. 2019년 6월 1일에 확인함.
- ↑ “서민호 씨 보수 혁신 연합 전선 용의 표명”. 《동아일보》. 1967년 1월 27일. 2019년 6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대중당 발족, 민사·정민회 등 통합, 대통령 후보에 서민호 씨”. 《경향신문》. 1967년 3월 9일. 2019년 6월 1일에 확인함.
- ↑ “스포트를 후보자에”. 《경향신문》. 1967년 4월 4일.
- ↑ “서민호 후보 사퇴”. 《경향신문》. 1967년 4월 28일. 2019년 6월 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