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프로농구
(대한민국 프로 농구에서 넘어옴)
한국프로농구 또는 KBL(Korean Basketball League)은 1997년에 시작됐으며, 그 전까지는 실업, 대학, 국군체육부대가 포함된 농구대잔치가 인기를 끌었다. 프로 농구가 생긴 이후로 대한민국 농구에도 외국인 선수가 뛰게 됐고, 대학팀은 대학 리그에 참가, 국군체육부대는 D리그에 뛰고 있다. 현재까지 10개구단을 계속 유지하고 있으며 2000년대 들어서부터 신생구단은 창단되지 않고 있다.
한국프로농구 KBL | |
---|---|
![]() | |
종목 | 농구 |
국가 | ![]() |
선수단 | 10 |
웹사이트 | KBL |
설립 | 1997년 |
최다 우승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7회) |
최근 우승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2018-2019) |
![]() |
특징편집
경기 시간은 1쿼터에 10분씩 4쿼터를 치르는데, 1쿼터와 2쿼터, 3쿼터와 4쿼터 사이에는 각 2분씩, 그리고 2쿼터와 3쿼터 사이에는 12분의 휴식 시간이 주어진다. 농구공도 둘레 754.3mm, 무게 615g이며, 심판도 3명, 공격 제한 시간 24초, 팀 파울도 각 쿼터마다 5번째 파울부터 적용하여 상대팀에 프리스로를 주게 되어 있다.[1]
역대 타이틀 스폰서 및 리그명편집
시즌 | 타이틀 스폰서 | 리그명 |
---|---|---|
1997 ~ 1997-98 | 휠라코리아 | FILA배 프로농구 |
1998-99 | 현대전자 | 현대 걸리버 프로농구 |
1999-2000 ~ 2004-05 | 삼성전자 | 삼성 애니콜 프로농구 |
2005-06 2009-10 2014-15 ~ 2016-17 |
KCC | KCC 프로농구 |
2006-07 2010-11 |
현대모비스 | 모비스 프로농구 |
2007-08 | SK텔레콤 | SK텔레콤 T 프로농구 |
2008-09 | 동부화재 | 동부프로미 프로농구 |
2011-12 ~ 2013-14 | KB국민카드 | KB국민카드 프로농구 |
2017-18 | 정관장 | 정관장 프로농구 |
2018-19 | SK텔레콤 | SKT 5GX 프로농구 |
2019-20
2020-21 |
현대모비스 | 현대모비스 프로농구 |
공인구편집
연도 | 제작사 | 공인구 | 비고 |
---|---|---|---|
1997년 ~ 2014년 | 스타스포츠 | BB207 (KBLgame) | 빈칸 |
2014년 ~ 2015년 | 나이키 | 4005 Tournament | 빈칸 |
2015년 ~ 현재 | 몰텐 | GL7X | 국제농구연맹(FIBA) 공인구. |
구단 변천사편집
현재 명칭 | 역대 명칭 | 연도 |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
기아자동차 농구단 | 1986년 ~ 1996년 | |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 | 1997년 ~ 2001년 | |
울산 모비스 오토몬스 | 2001년 ~ 2004년 | |
울산 모비스 피버스 | 2004년 ~ 2017년 |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2017년 ~ 현재 |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 ||
동양제과 농구단 | 1995년 ~ 1996년 | |
대구 동양 오리온스 | 1996년 ~ 2003년 | |
대구 오리온스 | 2003년 ~ 2011년 | |
고양 오리온스 | 2011년 ~ 2015년 |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 2015년 ~ 현재 | |
창원 LG 세이커스 | ||
LG반도체 농구단 | 1994년 ~ 1997년 | |
경남 LG 세이커스 | 1997년 ~ 1998년 | |
창원 LG 세이커스 | 1998년 ~ 현재 | |
부산 KT 소닉붐 | ||
광주 나산 플라망스 | 1997년 ~ 1999년 | |
광주 골드뱅크 클리커스 | 1999년 ~ 2000년 | |
여수 골드뱅크 클리커스 | 2000년 ~ 2001년 | |
여수 코리아텐더 푸르미 | 2001년 ~ 2003년 | |
부산 코리아텐더 맥스텐 | 2003년 | |
부산 KTF 매직윙스 | 2003년 ~ 2009년 | |
부산 KT 소닉붐 | 2009년 ~ 현재 | |
전주 KCC 이지스 | ||
현대 농구단 | 1977년 ~ 1996년 | |
대전 현대 다이넷 | 1997년 ~ 1999년 | |
대전 현대 걸리버스 | 1999년 ~ 2001년 | |
전주 KCC 이지스 | 2001년 ~ 현재 | |
서울 SK 나이츠 | ||
청주 진로 맥카스 | 1997년 | |
청주 SK 나이츠 | 1997년 ~ 2001년 | |
서울 SK 나이츠 | 2001년 ~ 현재 | |
원주 DB 프로미 | ||
나래이동통신 농구단 | 1996년 | |
원주 나래 블루버드 | 1996년 ~ 1999년 | |
원주 나래 해커스 | 1999년 | |
원주 삼보 엑써스 | 1999년 ~ 2002년 | |
원주 TG 엑써스 | 2002년 ~ 2003년 | |
원주 TG삼보 엑써스 | 2003년 ~ 2005년 | |
원주 동부 프로미 | 2005년 ~ 2017년 | |
원주 DB 프로미 | 2017년 ~ 현재 | |
서울 삼성 썬더스 | ||
삼성 남자 농구단 | 1978년 ~ 1982년 | |
삼성전자 농구단 | 1982년 ~ 1996년 | |
수원 삼성 썬더스 | 1996년 ~ 2001년 | |
서울 삼성 썬더스 | 2001년 ~ 현재 |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 ||
대우증권 농구단 | 1994년 ~ 1997년 | |
인천 대우 제우스 | 1997년 ~ 1999년 | |
인천 신세기 빅스 | 1999년 ~ 2001년 | |
인천 SK 빅스 | 2001년 ~ 2003년 | |
인천 전자랜드 블랙슬래머 | 2003년 ~ 2009년 |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 2009년 ~ 현재 | |
안양 KGC인삼공사 | ||
SBS 농구단 | 1992년 ~ 1997년 | |
안양 SBS 스타즈 | 1997년 ~ 2005년 | |
안양 KT&G 카이츠 | 2005년 ~ 2010년 | |
안양 한국인삼공사 | 2010년 ~ 2011년 | |
안양 KGC인삼공사 | 2011년 ~ 현재 |
참가팀편집
구단명 | 연고지 | 경기장 | 제2경기장 | 참가 시즌 | 감독 |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 고양 | 고양체육관 | 빈칸 | 1997 | 강을준 |
부산 KT 소닉붐 | 부산 | 사직실내체육관 | 빈칸 | 서동철 | |
서울 삼성 썬더스 | 서울 | 잠실실내체육관 | 빈칸 | 이상민 | |
서울 SK 나이츠 | 잠실학생체육관 | 빈칸 | 1997-98 | 문경은 | |
안양 KGC인삼공사 | 안양 | 안양체육관 | 빈칸 | 1997 | 김승기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울산 | 동천체육관 | 빈칸 | 유재학 | |
원주 DB 프로미 | 원주 | 원주종합체육관 | 빈칸 | 이상범 | |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 인천 | 인천삼산월드체육관 | 빈칸 | 유도훈 | |
전주 KCC 이지스 | 전주 | 전주실내체육관 | 군산월명체육관 | 전창진 | |
창원 LG 세이커스 | 창원 | 창원실내체육관 | 빈칸 | 1997-98 | 조성원 |
정규시즌 우승편집
* 정규시즌 우승과 챔피언 결정전 우승 모두 달성한 팀
* 정규시즌 최고승률로 우승한 팀
* 정규시즌 최저승률로 우승한 팀
시즌 | 우승팀 | 성적 | MVP | 소속팀 |
---|---|---|---|---|
1997 |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 | 16승 5패 .762 | 강동희 |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 |
1997-1998 | 대전 현대 다이넷 | 31승 14패 .689 | 이상민 | 대전 현대 다이넷 |
1998-1999 | 대전 현대 다이넷 | 33승 12패 .733 | ||
1999-2000 | 대전 현대 걸리버스 | 33승 12패 .733 | 서장훈 | 청주 SK 나이츠 |
2000-2001 | 수원 삼성 썬더스 | 34승 11패 .756 | 조성원 | 창원 LG 세이커스 |
2001-2002 | 대구 동양 오리온스 | 36승 18패 .667 | 김승현 | 대구 동양 오리온스 |
2002-2003 | 대구 동양 오리온스 | 38승 16패 .704 | 김병철 | |
2003-2004 | 원주 TG삼보 엑써스 | 40승 14패 .741 | 김주성 | 원주 TG삼보 엑써스 |
2004-2005 | 원주 TG삼보 엑써스 | 36승 18패 .667 | 신기성 | |
2005-2006 | 울산 모비스 피버스 | 36승 18패 .667 | 양동근 | 울산 모비스 피버스 |
2006-2007 | 울산 모비스 피버스 | 36승 18패 .667 | ||
2007-2008 | 원주 동부 프로미 | 38승 16패 .704 | 김주성 | 원주 동부 프로미 |
2008-2009 | 울산 모비스 피버스 | 35승 19패 .648 | 주희정 | 안양 KT&G 카이츠 |
2009-2010 | 울산 모비스 피버스 | 40승 14패 .741 | 함지훈 | 울산 모비스 피버스 |
2010-2011 | 부산 kt 소닉붐 | 41승 13패 .759 | 박상오 | 부산 kt 소닉붐 |
2011-2012 | 원주 동부 프로미 | 44승 10패 .815 | 윤호영 | 원주 동부 프로미 |
2012-2013 | 서울 SK 나이츠 | 44승 10패 .815 | 김선형 | 서울 SK 나이츠 |
2013-2014 | 창원 LG 세이커스 | 40승 14패 .741 | 문태종 | 창원 LG 세이커스 |
2014-2015 | 울산 모비스 피버스 | 39승 15패 .722 | 양동근 | 울산 모비스 피버스 |
2015-2016 | 전주 KCC 이지스 | 36승 18패 .667 | ||
2016-2017 | 안양 KGC인삼공사 | 39승 15패 .722 | 오세근 | 안양 KGC인삼공사 |
2017-2018 | 원주 DB 프로미 | 37승 17패 .689 | 두경민 | 원주 DB 프로미 |
2018-2019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41승 13패 .759 | 이정현 | 전주 KCC 이지스 |
2019-2020 | 서울 SK 나이츠•원주 DB 프로미 | 28승 15패 .651 | 허훈 | 부산 KT 소닉붐 |
정규시즌 우승횟수편집
횟수 | 팀 |
---|---|
7회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2] |
5회 | 원주 DB 프로미[3] |
4회 | 전주 KCC 이지스[4] |
2회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5] |
1회 | 창원 LG 세이커스 부산 kt 소닉붐 안양 KGC 인삼공사 서울 SK 나이츠 서울 삼성 썬더스[6] |
챔피언 결정전편집
KBL 챔피언 결정전을 가리기 위해 7전 4승제로 파이널 시리즈가 시작되면, 시즌 승률이 높은 팀이 1, 2, 5, 7차전의 홈경기로 하고, 낮은 팀이 3, 4, 6차전의 홈경기로 한다. 초대 MVP는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의 강동희이다. KBL 역대 최다 챔피언 결정전 우승팀은 7회 우승의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이다.
KBL 챔피언 우승횟수편집
횟수 | 팀 | 우승 |
---|---|---|
7회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7] | 1997, 2007, 2010, 2013, 2014, 2015, 2019 |
5회 | 전주 KCC 이지스[8] |
1998, 1999, 2004, 2009, 2011 |
3회 | 원주 DB 프로미[9] | 2003, 2005, 2008 |
2회 | 서울 삼성 썬더스 | 2001, 2006 |
2회 | 서울 SK 나이츠 | 2000, 2018 |
2회 |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10] | 2002, 2016 |
2회 | 안양 KGC인삼공사 | 2012, 2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