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구당의 난

(덴구토의 난에서 넘어옴)

텐구당의 난(天狗党の乱)은 1864년 5월 2일에 일어난 미토번 무사 후지타 고시로등, 존황양이 과격파에 의해 쓰쿠바 산에서 군사를 일으켰고, 그 후 이것에 관련되어 각지에서 발생한 쟁난(争乱)을 말한다.(1865년 1월 14일에 주도자 투항)

배경 편집

미토학과 존황사상 편집

미토번번주 제 2대 도쿠가와 미쓰쿠니쇼코칸에 대해 대일본사의 편찬을 시작한 이래, 제 10대 도쿠가와 요시아쓰의 손자 도쿠가와 구니유키1906년에 완성할 때까지, 대대로 많은 번의 무사들이 사업에 관여하게 된다.

편찬이 진행됨에 따라 사상체계 등이 정비되어, 드디어 미토 학이라 불리는 학문의 일파로 성장하여, 미토 번 무사는 모두 미토 학의 존황사상의 영향을 받게 된다.

하지만 이 사상은 막부보다는 황실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막부에게서 의심의 눈초리를 받는 원인이 되어 막부 정치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파벌간의 대립 편집

대일본사의 편찬사업은 에도 시대 중기에 정체기로 들어가지만, 그것을 다시 부흥시킨 자가 다치하라 스이켄이었다. 다치하라의 밑에는 많은 문인이 모여, 그 중에는 약관 10세에 입문 한 후지타 유코쿠도 있었다.

유코쿠는 18세에 막부 로주마쓰다이라 사다노부가 요청한 ‘정명론(正名論)’을 제출하는 등 재능을 개화하지만, 다치하라와의 대일본사편찬을 둘러싼 생각 방식의 차이, 다치하라에게서 근신을 통고받은 중에 번주 도쿠가와 하루모리에게 봉사(封事, 천자에게 직접 상주하는 의견서)를 제출하여 면직되었고, 다치하라와는 절교. 사제는 대립의 양상을 띄게 되었다.

1797년 번주 하루모리는 유코쿠의 방식에 따라 대일본사의 편찬을 진행하는 것으로 결정하였고, 다치하라는 쇼코칸을 퇴직하였다. 이것에 의해 양자의 대립은 파벌간의 전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그 후, 다치하라 파=보수파, 후지타 파=개화파로써 정치적 대립이 계속된다. 개화파를 이은 후지타 도코가 양파의 관계회복에 힘쓰지만, 1855년에 발생한 안세이 대지진으로 인해 도코가 압사, 조정역할을 잃은 항쟁은 단숨에 수렁화되어, 피의 숙청으로 발전한다.

이 항쟁에 의해 양파 모두 거두가 되는 인재를 잃어, 문제해결과 관계회복을 일으킬 힘을 잃어버리고 말았다.

거병 편집

개화파에서 과격파로 편집

미·일 수호 통상조약에서 천자의 뜻을 무시하는 형태의 조약에 조인을 단행하여, 막부에 격노한 고메이 천황은 막부 정치에 대한 복권(復権)을 꾸미고 있던 미토 번의 조정공작을 타게 되어, 1858년 9월 14일 직접 칙서를 하사한다고 하는 이례적인 행동이 나왔다.(무오년의 밀칙 참조.)

다이로 이이 나오스케 등의 막부 주류파는 밀칙이 막부를 타도하는 계획이라고 파악하여, 미토 번에 대해 칙서를 막부에게로 인도할 것을 명하는 한편 쇼군 도쿠가와 이에사다의 후계자 문제를 둘러 싼 대립에 미토 번 중심으로, 소위 히토쓰바시파에 가담하고 있던 인물에게 탄압을 가했다. (안세이 대옥

막부에서의 칙서 반납 명령에 대해, 미토 번 내에서는 구 보수파를 중심으로 반납하자는 론(진압파)과, 구 개화파를 중심으로 한 반납에 반대하자는 론(과격파)으로 나뉘어 대립하였다. 그 다음해에 조정에서 나온 반납명령에 의하여, 겨우 조정에 직접 반납하는 것으로 번의 의견이 통일된다.

반납하게 되는 것으로 의견이 정해지자 과격파에게로의 탄압은 더욱 더 심해졌다. 또한, 과격파 중에서는 반납하자는 파가 은밀히 막부에게 칙서를 넘겨준 것은 아닌가 의심하였고, 아예 탈번 하여 막부에게로의 반납을 저지하는 생각을 하는 자도 있었다.

다카하시 다이치로등, 탈번한 미토 낭인 무사들은, 나가오카(현재 이바라기 현 히가시이바라기 군 이바라기 마을)에 집결하여 동지, 농민 등 수 백명이 이것에 찬동하여 합류했다. 그들은 ‘大日本至大至忠楠公招魂表’ 라고 쓰여진 푯말을 세워 나가오카 여관의 검문을 실시하여 에도로 칙서 반입하려는 것을 저지하려 하였다.

후에 ‘나가오카 둔집(長岡屯集)’이라고 불리는 이 행동은 진압파를 견제할 정도로 효과가 있었으나, 미토에 남아있는 과격파의 입장이 더욱 더 위험하게 되었고 근신중인 전 번주도쿠가와 나리아키도 “반납의 저지는 하늘의 뜻을 반대하는 것이다.” 라고 설득하였고, 이에 주요 멤버가 에도에서 해산했다.

탈출한 미토 낭인 무사들은 수일 후, 사쓰마번 무사와 공모하여 이이 나오스케를 암살하였다.(사쿠라다 문 밖의 변1860년9월 29일에 나리아키가 병사하면 행동은 더욱더 활발해진다. 반개월 후10월 11일에는 다케우치 햐쿠타로등 낭인 무사 37인이 에도 사쓰마 번 저택에 뛰어들어 양이의 선봉이 되라는 의견서를 제출한 것을 시초로, 다마쓰쿠리 세력 소동, 영국판 공사관 습격사건, 성 아래 문 밖의 변 등을 일으켰다.

거병 편집

1862년 , 시마즈 히사미쓰의 정략에 의해 히토쓰바시 요시노부, 마쓰다이라 슌가쿠 두 사람이 정치에 복귀하였다. 슌카쿠는 "쇼군 이에모치는 상경하여 천황에게 이제까지의 실정을 진사해야 한다." 라고의 진언하였고, 2번에 걸친 칙사하향(下向)에 대한 막부의 칙명실행의 확약(조약파기+양이)은 피할 수 없게 되었다.

먼저 쇼군의 상경에 앞장서 후견직이었던 요시노부가 먼저 교토에 들어오기로 했지만 아직 요시노부에게는 신뢰 할 수 있는 심복이 없었다. 그 점에서 요시노부의 친가인 미토 번에게 명하여, 자신이 상경하는데 추종하도록 하였다.

1863년 2월 3일 히토쓰바시 요시노부가 에도를 탈출하면, 9일 후 미토 번주 도쿠가와 요시아쓰등이 요시노부를 추종하여 에도를 탈출한다. 그 중에는 다케다 고운사이, 야마구니 효보, 후지타 도코의 4남 후지타 고시로등, 후에 난을 주도하는 사람이 여럿 있었다.

그들은 교토에서 조슈번 사무라이 가쓰라 고고로, 구사카 겐즈이, 그 외 교토에 모인 지사들과 교류를 쌓으면서 존황양이의 뜻을 더욱 더 굳혔다. 더욱 더 후지타는 조슈 번과 도모하여, 동서에서 일제히 군사를 일으켜 막부에게 양이를 독촉하려는 계획을 세웠지만 고운사이가 아직은 시기상조라고 충고하여 실패에 끝났다.

한편, 요시노부는 이미 양이의 실행은 불가능하다 생각하였고, 쇼군 상경까지 무언가 행동을 일으키지 않으면 쇼군이 비난을 받는 처지에 서게 되기 때문에 양이실행의 기일을 쇼군의 귀경 후로부터 1개월 후라는 단기간으로 설정하였다. 이로 인해, 반대로 실행 불가능의 구실이 되어 버렸고 이것이 후에 과격파의 불만을 폭발시키는 원인이 되어 버린다.

막부는 8월 18일 정변으로 인해 기간을 연기하였지만, 천황의 양의 의사는 바뀌지 않았고, 요코하마 항 쇄항 독촉이 10월 13일에는 요시노부에게, 10월 26일에는 조정에 입궐한 수석 로주 사카이 다다시게(酒井忠績)에게 행해지면, 기일을 늘리는 공작도 한계가 되어 2번째 독촉에 드디어 요코하마 항 쇄항 교섭을 개시하였다. 교섭상대였던 미국, 네덜란드 공사에게는 사전에 ‘조정을 달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다.’ 라고 통고하였기 때문에, 교섭은 은밀히 진행되었다라고 전해지고 있다.

미국, 네덜란드와의 교섭에서 쇄항을 거부하였기 때문에, 10월 31일 미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의 4개국 공사와 회견하도록 설득을 시도하였지만, 이번에는 회견 자체를 거절당한다.

마쓰다이라 가타모리에 의한 조정공작도 있어, 교묘히 양이실행을 늦춘 것에 성공한 막부였지만, 양이파의 불만은 늘어만 갔다.

1864년 3월 26일에 조정이 낸 요코하마 항의 쇄항과 해안 방비 관한 군비에 대해서도 막부에서 아무 계획 없다고 판단한 후지타 고시로는 스스로 양이실행의 선구자가 되어, 군사를 일으킬 뜻을 굳혀 각지를 유세하여 동지와 군비를 모았다.

그리고 1864년 5월 2일、쓰쿠바 산에 집결한 62인의 동지들과 같이 기세를 올려 이윽고 부대를 만들기까지 이른다. 당시 후지타는 23세라고 하는 풋내기여서, 미토 정 부교 다마루이 나노에몬을 설득하여 총대장의 지위를 주었다.

고시로가 군사를 일으킨다는 정보를 들은 미토 번 메쓰케인 야마구니 효보는, 자신의 동생인 다마루이 나노에몬이 총대장을 맡았다는 걸 알게되어 번 주 요시아쓰의 명을 받아 설득하러 가지만, 반대로 텐구당에 가담하게 된다.

거병 후, 각지에서 계속해서 낭인 무사, 마을 주민, 농민들이 집결하여, 수일 후에는 150명, 그 후, 제일 세력이 강했던 시기에는 약 1,000명이라고 하는 대규모집단으로 부풀었다.

텐구당의 유래 편집

‘텐구당’의 유래에는 두가지 설이 있다.

  1. 보수파(문벌파)의 안에서는 대대로 각 문의 집을 받아 상속해온 상급무사들이 많았고, 개화파의 안에서는 하급무사가 많았다. 그로 인해, ‘갑자기 출세한 놈이 우쭐대고 있다.(天狗になっている, 우쭐댄다.)’라고 하는 모멸의 의미를 담아 보수파가 개화파를 그렇게 불렀던 것에서 전해지고 있다는 설.
  2. 개화파는 세상을 바로잡는 자라서, 스스로를 텐구라고 칭했다는 설.

거병 후의 쟁난(争乱) 편집

보수파에 의한 배격 편집

쓰쿠바 산에 군사를 일으킨데에서 쓰쿠바세력, 바산세력 등으로 불린 텐구당에 후지타 고시로의 권유에 동조한 낭인 무사, 번의 무사들, 정의 주민, 농민이나 신관등도 많이 참여하였다.

1864년 5월 8일에는 시모쓰케노 쿠니 닛코도치키 현 닛코시)로 나아가, 닛코 동조궁으로 향했다. 이곳을 거점으로 하여 양이의 군사활동을 단행하려 하지만, 닛코 부교에게 거절당해 5월 말까지 시모쓰케의 오히라 산에 체재하게 된다.

닛코를 출발한 텐구당은, 히타치로 향했지만, 미토 번 내의 보수파인 이치카와 히로토미가 고도칸의 반 후지타파를 끌어들여 쇼세이 당을 결성하였고, 번 내에서 과격한 배격을 시작한 걸 알아차려 텐구당은 쓰쿠바 산으로 되돌아간다.

도중, 다나카 겐조가 별동대를 조직하여 도치기, 마나베에서 자금 조달을 꾀하지만 실패. 이때 거절당한 울분에 마을에 방화 하여, 텐구당은 ‘폭주’로 인지되었다. 막부는 텐구당 추토(追討)령을 내려, 히타치, 시모쓰케 번의 출병을 명한다. 미토 번도 이것에 응해 이치카와 등을 중심으로 하는 추토군을 결성하여, 1864년 8월 8일에 두 번(番)의 연합군과 텐구당과의 전투가 시작되었다.

시모쓰마 근처의 다호인에서 텐구당의 야습을 받는 등, 추토군은 패주. 이치카와 일행은 미토로 도망쳐 미토 성을 점거, 텐구당에 가담한 자 일족의 저택을 방화, 가족을 투옥하는 등(총살하였다는 이야기도 남아있다.)의 보복을 하였다.

거병 당시에는 존황양이의 기치 아래에 모인 지사들이었지만, 일가 학대정보에 의해 동요가 일어났다. 다른 번의 지사들은 텐구당의 목적이 미토 번 내의 대립우선에 기울어질 때부터 점차 흩어지기 시작하여, 약 500명이 텐구당과 결별하였다. 그들은 당시 쓰쿠바 산 주변에서 멈춰 있었지만, 후에 요코하마 항 쇄항의 실력행사를 하기 위해 에도로 향해 진격, 가시마 부근에서 막부군에 포위당해, 교전에 패하여 흩어지게 된다.(다나카 겐조의 별동대도 후에 야미조 산에서 흩어졌고, 대부분이 붙잡혀 처형당했다.)

미토 번 무사와 평민을 중심으로 하는 텐구당의 주체는 미토 성으로 향해 이치카와 일파와 교전하지만, 여기에도 패전하여 나카 항 근처까지 퇴각한다.

한편, 교토에 있는 번 주 요시아쓰의 대리인으로써 시도번주 마쓰다이라 요리노리가 막부에 명에 의해 내란진정을 위해 미토로 가지만, 일행 중에는 다케다 고운사이등 과격파의 요인, 존황양이파의 무사, 평민이 많이 동행하였기 때문에, 이치카와 일행은 전쟁의 준비를 하고, 일행의 입성을 거절한다. 요리노리는 입성하려하는 이치카와와 교섭하지만 미토 교외에서 대치한 양 세력은 전투불능에 빠진다. 요리노리 측은 어쩔 수 없이 퇴각하여, 미토에 가까운 나카 항을 거점으로 포진하였다. 이 나카 항 공략 때에 텐구당의 일대가 요리노리쪽으로 가세한다. 요리노리는 미토 성 아래의 가미세 관으로 전진하여 또 한번 입성교섭을 하지만 이치카와는 거절, 전투는 확대된다. 요리노리 세력은 선전하였지만, 보급과 전투의 종식을 고려해 다시 나카 항으로 후퇴한다.

텐구당의 가세를 받은 요리노리는 이치카와 일당의 공작을 포함하여 막부에 의해 텐텐구당과 동일시되어 토벌의 대상이 되어버린다. 막부의 토벌군에게 포위당한 텐구당은 요리노리 세력과 합류하여 나카 항으로 향했다. 요리노리 세력은 당초, 폭주하던 텐구당과 행동을 같이하는 것에 저항하였지만 이 시기에는 텐구당에 대하는 찬동론이 퍼져, 열세에 있던 요리노리 세력은 텐구당과 합류, 같이 이치카와 세력과 싸우게 되었다. 이 합류에 의하여 텐구당 거병에 반대하였던 다케다 고운사이가 텐구당과 행동을 같이하게 된다.

막부에 의한 추격 편집

한번은 패전한 이치카와의 쇼세이 당은 막부에 원조를 요청, 나카 항을 포위한다. 막부는 다누마 오키타카를 대장으로 하는 부대를 파견하여 같이 나카 항을 포위한다.

11월 4일 마쓰다이라 요리노리가 “막부에 진의를 호소한다.”며 막부군을 유인하여 미토 성 아래에서 할복, 요리노리의 가신들 천명 정도가 투항, 후에 사쿠라 번이나 고가 번 등에 맡겨졌다. 텐구당은 대혼란에 빠지지만, 어떻게든 탈번에 성공한 천명 정도가 미토 번 북부의 다이고 촌(현재 이바라키현 다이고 마치)에 집결한다. 여기에서의 회의로 다케다 고운사이가 일행의 총대장이 되어, 막부군의 추격자에게서 도망치는 동시에, 교토로 올라가 히토쓰바시 요시노부를 통해 조정에 존황양이의 뜻을 전하려고 결심한다. 이전, 마을에 방화하는 등 민중의 반감을 샀던 점을 반성한 텐구당은, 약탈, 살육을 엄히 금지하는 등 군율을 정하였다. 이 군율이 거의 지켜져 통과지의 백성은 안심하였고, 호의적으로 맞아들인 마을도 적지 않았다.

텐구당은 다케다 고운사이를 총대장으로 하여, 대군사(軍師)에는 야마구니 효보, 본진에는 다마루이 나노에몬, 보익(輔翼)에 후지타 고시로와 다케우치 햐쿠타로를 중심으로 天勇, 虎勇, 竜勇, 正武, 義勇, 奇兵를 이름으로 한 부대를 결성, 11월 29일에 다이고(大子)를 출발하여, 교토를 목표로 시모쓰케, 고즈케, 시나노, 미노와 약 2개월간 주로 나카센도를 지나 진군을 계속했다.

당연히 여러 번에게 막부에서의 텐구당 추토 명령이 나왔다. 하지만, 텐구당은 수많은 전투를 경험한 정예군으로 일설에는 수십 문(門)의 대포를 소지하여, 통과지에는 작은 번이 많았기 때문에 번은 겁이 나 엄두를 못내고, 텐구당과 막부군이 통과하는 것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여러 번 중에는 은밀히 텐구당과 교섭하여, 성 아래의 통행을 피하는 대신 군비금을 헌납한 번도 있었다.

1864년 11월 16일, 조슈(上州) 시모니타에서 추격해온 다카사키번 병사와 교전. 격전 끝에 텐구당 사망자 4명, 다카사키 번 병사 사망자 36명을 내고 패주했다.(시모니타 전쟁)또한, 11월 19일에는 신슈(信州) 스와호 근처의 와다 고개에서 다카시마 번, 마쓰모토 번연합군과 교전하여, 텐구당, 연합군 모두 10명 전후의 사망자를 내었고 텐구당이 승리하였다.(와다 고개 전투)이 때, 텐구당 중에서 힘이 세서 ‘今弁慶’라고 불리었던 후도인젠카이(不動院全海)라는 인물이 전사, 다카시마 번 사무라이 기타자와 요사부로(北沢与三郎)는 그 힘을 받고싶어 그의 시체에서 살을 잘라, 가지고 돌아와서 된장을 발라 익혀 먹었다는 설화가 남아있다.

다카사키 번 등에게서 대승리를 거둔 것이 더욱 더 텐구당의 명성을 높였고, 그 후의 통과지에서도 전투를 피하는 번이 늘어나, 뒤를 쫓는 막부군도 어느정도 사이를 두고 추적하여 간단하게 전투를 시작하려 하지 않았다.

텐구당 일행은 나카센도를 지나 미노 우누마주쿠(鵜沼宿) 근처까지 도달하지만 주변에는 히코네번, 오가키번, 구와나번, 오와리번, 이누야마 번의 대군이 진을 쳐, 텐구당을 맞이하고 있었다. 이 토벌군을 격파하여 나카센도를 지나 교토에 도착하는 일은 곤란하다고 예상하였기에, 텐구당은 나카센도를 벗어나 북쪽으로 우회하여 교토로 향해 진군을 계속했다.

미토 번 출신의 히토쓰바시 요시노부는 사태의 수습을 위해 스스로 텐구당 추토를 조정에 신청하여 가가번, 아이즈번세력 등을 거느리고 토벌하러 향했다. 이것을 더해 막부의 토벌군은 더욱 더 강대한 포진을 치고 텐구당의 앞을 막아섰다. 이비주쿠(揖斐宿)에 도착한 텐구당 세력은 비와 호 가를 지나서 교토에 도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판단, 더욱 더 북상하여 하에보시(蠅帽子)고개를 지나 에치젠에 들어가, 크게 우회하여 교토를 노리기로 하였다. 그 시기는 12월에 접어들었고 추위는 심해져 눈이 쌓인 준험한 고개를 넘는 일은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었지만, 일행은 곤란을 뛰어넘어 에치젠에 들어가는데 성공했다.

투항 편집

1865년 1월 8일, 텐구당 일행은 최후의 땅, 에치젠 신보(후쿠이현쓰루가시)에 도착한다. 막부의 추토군은 텐구당의 행선지를 알아내어 전진, 포위하였다. 텐구당 일행은 도쿠가와 요시아쓰도쿠가와 요시노부가 자신들의 의견을 들어주리라고 기대하였지만 교토에서 온 막부군이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거느리고 온 것을 알아차렸고, 요시노부에게 제출한 탄원서의 수령도 거절당해, 자신들의 뜻이 무너진 것을 깨닫는다.

최전선에서 텐구당과 대진한 가가 번의 군감, 나가하라 진시치로(永原甚七郎)등은, 저항하지 않고 탄원하려는 텐구당을 동정하여, 다케다 고운사이 등에게 항복을 권고한다. 교섭 결과, 1865년 1월 14일 다케다 고운사이 등 텐구당 간부는 이 이상의 진군은 무의미하다고 판단하여 가가 번에 투항, 텐구당은 무장해제하여 난은 완전히 진압되었다.

당초, 가가 번은 그들의 근황의 뜻에 감동받아 꽤 좋은 대접을 해주었다고 한다. 하지만 다누마 오키타카 거느리는 막부군이 가가에 도착하면, 강경한 태도로 전후처리를 진행시켜 그들을 포박, 청어 창고 안에 감금하였다.

후지타를 시작으로 주요 인물은 그냥 창고 안에 넣어졌지만 그 외에는 단단히 수갑, 족가를 채워 집어넣었다. 좁은 청어 창고 안에 많은 사람이 밀어넣어져, 식사는 하루에 주먹밥 하나와 더운물 한잔밖에 주어지지 않았다. 혹한 중, 용변용의 통과, 생선의 냄새가 자욱한 창고 안에서 쓰러지는 자가 속출하여 병사자는 20명이상이라고 전해진다.

가가 번은 텐구당의 행동은 단순히 근황의 뜻을 움직이게 하려는 것이기 때문에 관대한 처분을 바라는 탄원서를 막부에 제출하여, 그들의 구명을 신청하였지만 동정론이나 과격파에 의한 거병을 막기 위하여 막부는 전원 처형하기로 결정한다.

3월 1일, 다케다 고운사이 등 간부가 라이코 사(来迎寺) 경내에서 참수된 걸 시작으로, 3월 20일까지 353명이 참수, 그 외는 귀양, 추방 등의 처분이 내려졌다.

덧붙여 귀향 처분이 된 다케다 긴지로 이하 110명은, 오바마번에 맡겨져 근신처분이 되었다. 번에서는 그들을 번 무사에 버금가는 대우를 받아, 사가키(후쿠이현 미하마정 사가키)에 수용을 위한 저택을 지어 후대하였다고 한다. 1868년, 조정에서 미토로 돌아올 것을 명받아 사카기를 떠났다.

주도자에게의 재정 편집

이름, 처형일 (구력), 사세구 순으로 기재.

참수한 뒤, 미토에 효수 편집

수급은 소금에 절인 뒤, 미토에 보내져, 4월 20일부터 3일간, 미토 성 아래를 돌렸다. 또한 나카 항에 효수되었다.

다케다 고운사이 3월 1일(2월 4일) かたしきて寝ぬる鎧の袖の上におもひぞつもる越のしら雪
雨あられ矢玉のなかはいとはねど進みかねたる駒が嶺の雪
다마루이 나노에몬 3월 1일(2월 4일)
야마구니 효보 3월 1일(2월 4일) ゆく先は冥土の鬼と一と勝負
후지타 고시로 3월 20일(2월 23일) かねてよりおもひそめにし真心を けふ大君につげてうれしき
さく梅は風にはかなくちるとても にほひは君が袖にうつして

참수 편집

난(乱) 후 편집

난이 진압되면 미토번에서는 쇼세이 당이 중심이 되어, 다케다 고운사이의 처자식을 시작으로 난에 가담한 자의 가족을 모두 처형했다. 하지만, 텐구당의 일부에서 사면된 자는 조슈 번의 지원을 받아 교토로 잠복하여 혼코쿠지 당(本国寺党)이라고 자칭하여 복권(復権)을 노리고 행동하였다.

한편, 보수파에 의한 완전히 좌막파가 된 미토 번에 대해, 무진 전쟁이 발발하면, 쇼세이 당에 대한 추토명령이 조정에서 나왔다. 이것에 의해, 혼코쿠지 당을 선두로 하는 텐구당의 잔당이 계속해서 미토 번으로 되돌아왔다.이것을 호기(好機)라고 본, 전 텐구당 파들이 단번에 기세를 역전하여, 이번에는 쇼세이 당을 진압하였다.

이치카와 히로토미 등 쇼세이 당은 미토 번에서 나가, 호쿠에쓰 전쟁, 아이즈 전쟁에 참전하였다. 신정부군한테서 선전한 일도 있었지만, 도호쿠에서의 전선이 신정부군 승리의 형태로 침정화(沈静化)되면 패주한 일행은 텐구당이 정권을 쥔 미토 번으로 돌아와 미토 성을 기습하였다.(고도칸 전쟁)하지만, 미토 성은 쇼세이 당의 공세에 견뎌냈고, 공격에 지친 쇼세이 당은 미토를 탈출, 계속해서 신정부군이나 미토 번 군사와 전투를 계속하였지만 시모우사 요우카 시장의 전투에서 괴멸,(마쓰야마 전쟁)이치카와를 시작으로, 쇼세이 당의 많은 자가 처형되었다. 번의 실권은 다케다 긴지로등 텐구당의 장악하여, 쇼세이 당에 대하는 박해는 격화되었다. 번 무사들 뿐만 아니라, 농민, 마을 주민 사이에서도 처참한 보복이나 린치가 전개되었다.

이태까지 거듭된 내부 항쟁으로 인해 많은 피를 흘리고 재능이 소산되었다. 격동의 막말기의 한때 활약한 미토 번도, 심지어는 남아있던 재치있는 인물도 없는 상태가 되어, 메이지 시대가 되어서는 신정부에 1명의 요인밖에 내지 못하였다.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