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의 정치
덴마크의 정치 제도는 입헌 군주국이다. 국가 원수는 왕 또는 여왕이다. 입법권은 의회와 정부 양쪽에서 행사되며 다수의 정당이 활동하고 있다. 사법권은 덴마크 법원이 행사한다.
정치 권력편집
덴마크는 다당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20세기 초 이래 압도적인 권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유력한 정당이 없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단일 정당이 과반수 이상의 의석을 확보하여 정부를 구성할 수 있었던 적은 4번에 불과하다. 덴마크의 헌법에는 위헌재판권이 없어 덴마크 의회는 EU의 다른 나라 보다 막강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 덴마크의 정치 제도에 대한 국민들의 만족도는 매우 높은 편이며 국제 기구들은 덴마크를 가장 부패가 적은 나라들 중의 하나로 보고하고 있다.
입헌 군주국편집
덴마크는 입헌 군주국으로 현재의 국왕은 마르그레테 2세이다. 덴마크의 헌법은 여전히 덴마크의 행정력, 입법권, 사법권이 군주에게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행정부편집
덴마크의 정부는 군주를 국가 원수로 하며, 총리는 덴마크 의회의 대표이자 권력의 핵심이다.
내각편집
덴마크의 정부 부처 현황은 아래와 같다. 그린란드의 각 부처 명칭은 'departement'가 붙는다.
기관명 1 (한국어) |
기관명 2 (덴마크어) |
담당 업무 | 비고 |
---|---|---|---|
총리실 | Statsministeriet | 국무총리 보좌 | |
고용부 | Beskæftigelsesministeriet | 노동, 고용, 산업재해, 노동환경 | |
경제성장부 | Erhvervs- og Vækstministeriet | 기업 활동, 경쟁, 특허, 안전 | |
재무부 | Finansministeriet | 재정 집행, 전자정부 | |
국방부 | Forsvarsministeriet | 국방 및 군수 | |
법무부 | Justitsministeriet | 출입국 관리, 사법 | |
교회부 | Kirkeministeriet | 종교 | |
기후자원전력부 | Energi-, Forsynings- og - Klimaministeriet | 기후, 에너지, 자원 관계 | |
문화부 | Kulturministeriet | 문화재, 문화 | |
환경식품부 | Miljø- og Fødevarministeriet | 식품, 환경, 농수산, 가축 | |
과학기술혁신부 | Ministeriet for Videnskab, Teknologi og Udvikling | 연구, 개발, 혁신 | |
세무부 | Skatteministeriet | 국세, 세관 | 2018년 7월 1일 신설 |
행정서비스부 | Administrations- og Servicestyrelsen | 세무행정 지원, 회계, 조달 | 세무부 산하 부처 |
사회부 | Socialministeriet | 복지 | |
보건노인부 | Sundheds- og Ældreministeriet | 의약품, 보건 | |
교통부 | Transportministeriet | 교통, 도로 | |
외무부 | Udenrigsministeriet | 외교 | |
교육부 | Undervisningsministeriet | 교육 | |
경제내무부 | Økonomi- og Indenrigsministeriet | 통계, 국가 행정 |
입법권편집
덴마크 의회는 단원제로 폴거텡(덴마크어 Folketing)으로 불리며 1879년 민주주의 헌법의 도입에 따라 설립되었다.
- 2015년 총선 결과
정당 | 지도자 | 투표수 | % | 의석수 | +/– |
---|---|---|---|---|---|
덴마크 | |||||
사회민주당 (Socialdemokraterne) (A) | Helle Thorning-Schmidt | 925,288 | 26.3% | 47 | +3 |
덴마크 인민당 (Dansk Folkeparti) (O) | Pia Kjærsgaard | 741,173 | 21.1% | 37 | +15 |
좌파당 (Venstre) (V) | Anders Fogh Rasmussen | 684,223 | 19.5% | 34 | –7.2 |
적녹동맹 (Enhedslisten) (Ø) | 집단지도체제 | 273,870 | 7.8% | 14 | +2 |
자유동맹 (Liberal Alliance) (I) | Anders Samuelsen | 264,449 | 7.5% | 14 | +4 |
대안당 (Alternativet) (Å) | Uffe Elbæk | 168,585 | 4.8% | 9 | |
사회자유당 (Det Radikale Venstre) (B) | Morten Østergaard | 160,672 | 4.6% | 8 | –9 |
사회인민당 (Ny Alliance) (F) | Pia Olsen Dyhr | 148,027 | 4.2% | 7 | –9 |
보수인민당 (Det Konservative Folkeparti) (C) | Søren Pape Poulsen | 118,015 | 3.4% | 6 | –2 |
기독교민주당 (Kristendemokraterne) (K) | Bodil Kornbek | 29,148 | 0.8% | 0 | 0 |
무소속 | 3,027 | 0.2% | 0 | +0.1 | |
소계 | 3,556,545 | 100.0% | 175 | — | |
페로 제도 | |||||
공화당 (Tjóðveldi) (E) | Høgni Hoydal | 5,730 | 24.5 | 1 | +1 % |
사회민주당 (Javnaðarflokkurin) (C) | Aksel V. Johannesen | 5,666 | 20.4 | 1 | 0 % |
통합당 (Sambandsflokkurin) (B) | Kaj Leo Johannesen | 5,500 | 23.5 | 0 | –1 % |
인민당 (Fólkaflokkurin) (A) | Jørgen Niclasen | 4,368 | 18.7 | 0 | -0.3 % |
진보당 (Fólkaflokkurin) (A) | Poul Michelsen | 749 | 3.2 | 0 | |
중심당 (Miðflokkurin) (H) | Jenis av Rana | 605 | 2.6 | 0 | 0 % |
자치당 (Sjálvstýrisflokkurin) (D) | Jógvan Skorheim | 403 | 1.6 | 0 | –0.7 % |
소계 | 210 | ||||
그린란드 | |||||
이누이트 아타카티이트 (Inuit Ataqatigiit) | Sara Olsvig | 7,904 | 1 | ||
전진 (Siumut) | Kim Kielsen | 7,831 | 1 | ||
민주당 (Demokraatit) | Anda Uldum | 1,753 | 0 | ||
감각 공동체 (Atassut) | Finn Karlsen | 1,526 | 0 | ||
중립당 (Partii Naleraq) | Hans Enoksen | 962 | 0 | ||
소계 | 2 | ||||
총계 (투표율: 85.3 %) | 17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