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하학에서 둔각삼각형(鈍角三角形)은 한 각의 크기가 둔각, 즉 90도를 넘는 각인 삼각형을 말한다. 둔각삼각형에서 나머지 두 각의 합은 90도보다 작다. 둔각삼각형 중에서 두변의 길이가 같은 둔각삼각형을 둔각이등변삼각형이라고 부른다.
둔각삼각형이 보여주는 제2코사인법칙 [1]
유클리드 원론 2권 법칙12에서 , A B ¯ {\displaystyle ,\;{\overline {AB}}} 에서 임의의 한점 C {\displaystyle C} 에대해서 A H ¯ = C B ¯ = B I ¯ {\displaystyle {\overline {AH}}={\overline {CB}}={\overline {BI}}} 이고,
따라서,
유클리드 원론 2권 법칙4 에서, 둔각삼각형 △ A B C {\displaystyle \triangle {ABC}} 에서 , B D ¯ {\displaystyle ,\;{\overline {BD}}} 의 임의의 한점 C {\displaystyle C} 에대해서
그리고,
그리고
이것은 제2코사인법칙이 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