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시외버스터미널
마산시외버스터미널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3·15대로 756(합성동 267)에 있는 시외버스 터미널이다. '마산버스터미날주식회사'에서 운영하며, 인근의 마산역 역사가 완공된 지 불과 2년만인 1979년 7월 26일에 개장하였다. 고속도로를 경유하는 시외버스의 경우, 대부분의 시외버스가 남해고속도로제1지선의 동마산 나들목을 통해 고속도로에 진입하는 것이 특징이다. 신흥여객이 터미널 운영을 하고 있다. 고현 통영 부산서부터미널 이용해야한다
마산시외버스터미널 | |
---|---|
마산시외버스터미널 건물 | |
공식명칭 | 마산시외버스터미널 |
종류 | 터미널 |
국가 | ![]() |
주소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3·15대로 756 (합성동) |
개장 | 1979년 7월 26일 |
운영기관 | 신흥여객 |
행선지표기 | 마산 |
고속버스 운행 | 운행 |
시외버스 운행 | 운행 |
시내버스 운행 | 운행 |
웹사이트 | http://www.masantr.com |
운행 노선편집
시외버스편집
방면 | 행선지 |
---|---|
수도권 방면 | 고양, 경기광주[1], 구리, 부천, 송도, 수원, 오산, 안산, 여주[1], 의정부, 이천[1], 인천, 인천국제공항[2] |
강원권 방면 | 강릉[3], 동해, 원주 |
충청권 방면 | 남청주, 대전, 천안, 청주[4], 충주 |
호남권 방면 | 강진, 광양, 군산, 남원, 독천, 동광양(중마), 목포, 배산, 벌교, 보성, 삼호, 성전, 순천, 여수, 여천, 예당, 오수, 운봉, 익산, 인월, 임실, 장흥, 전주[5], 조성 |
영남권 방면 | 가동, 가례, 가술, 거창[6], 경주, 계성, 고령, 곤양, 구미, 구미공단, 군북, 권빈, 금산, 김해[7],개양 남지, 남해, 냉정, 노량, 다사, 대사, 대산, 대양, 대의, 대치, 덕산, 덕현, 도마, 도천, 동래역, 망천, 명동, 명리, 묘산, 밀양, 복지, 부곡, 부산[8], 부산(사상), 분기, 사천, 산북, 산청, 삼가, 삼계, 삼천포, 상촌, 생초, 서대구, 서상, 선진, 세간, 소목, 송도, 송진, 수동, 수산, 술미, 시효, 신곡, 신반, 신복, 신월, 신전, 쌍림, 쌍백, 안동, 안의, 양산, 양촌, 양포, 영산, 예림, 용현, 울산[9], 원지, 월촌, 유등, 은산, 의령, 일동, 장유[10], 적교, 적중, 정암, 주호, 지정, 진교, 진례, 진영, 진주, 차면, 창녕, 천계, 청덕, 초계, 초전, 칠곡, 태부, 퇴래, 평촌, 포항, 한림정, 함안, 함양, 합천, 현풍 |
농어촌버스편집
갤러리편집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
- 마산시외버스터미널 - 공식 웹사이트
- 티머니 시외버스 통합예약시스템 (마산 출발 시외버스 노선 예매)
각주편집
- ↑ 가 나 다 2015년 10월 11일 신설.
- ↑ 일부 시간대 송도국제도시를 경유한다.
- ↑ 동해 경유와 원주 경유로 나뉜다.
- ↑ 일요일에 1회 증회 운행한다.
- ↑ 무정차와 진주,함양,인월,남원,임실 경유 노선으로 구분된다.
- ↑ 진주,안의 경유 노선과 현풍,고령,쌍림,분기,묘산,권빈 경유 노선으로 구분된다. 고령 경유 노선이 소요시간이 30분 정도 짧다.
- ↑ 무정차와 진영,삼계 경유 노선으로 구분된다.
- ↑ 심야버스는 창원,한서병원,남산동을 경유한다.
- ↑ 신복, 공업탑, 법원을 경유한다. 심야버스는 양산을 경유한다.
- ↑ 무정차와 진례 경유 노선으로 구분된다.
운행노선 | 행선지 |
---|---|
113-1번 | 마산역, 북성초교, 교도소, 중리, 코오롱아파트, 신우타워, 야촌, 무기, 칠원 |
114-1번 | 마산역, 북성초교, 교도소, 중리, 마산대학, 산인공단, 함안역, 가야주공A |
140 | 창원역 진영역 진영터미널 김해 터미널 |
서울특별시 | ||
---|---|---|
인천광역시 | ||
경기도 |
| |
강원도 | ||
충청북도 | ||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 ||
전라북도 | ||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 ||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 ||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 ||
제주특별자치도 | ||
고속도로환승정류장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