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종합버스터미널
이천종합버스터미널(영어: Icheon Bus Terminal)은 경기도 이천시 이섭대천로 1200(중리동 219-1)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버스 터미널이다. 고속버스 전산망상의 터미널 번호는 160이다.
이천종합버스터미널 | |
---|---|
공식명칭 | 이천종합터미널 |
종류 | 터미널 |
국가 | ![]() |
주소 | 경기도 이천시 이섭대천로 1200 (중리동) |
개장 | 1984년 1월 28일 |
운영기관 | 경한실업(주) |
터미널코드 | 160 |
행선지표기 | 이천 |
고속버스 운행 | 운행 |
시외버스 운행 | 운행 |
시내버스 운행 | 미운행 |
1984년 1월 28일에 준공되었으며 경한실업(주)에서 운영하고 있다.[1] 전체 건물 연면적은 1,172㎡, 대합실 면적은 467.13㎡이다. 2019년 1월 기준 하루 평균 3,200명이 이용하고 80개 노선이 운행중이다.[2]
운행 노선편집
고속버스편집
운행 노선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
시간표 | ||
---|---|---|---|---|---|---|---|
이천 ↔ 서울경부 | 동부고속 | 이천 | ↔ | 서울경부 | 이천부발(신하리) 마장택지지구(오천리)[3] |
20~30분 | 첫차:06:30(이천 기준) 막차:22:30[4](이천 기준) |
시외버스편집
방면 | 행선지 |
---|---|
수도권 방면 | 개군, 고양, 고양화정, 곤지암, 공도, 경기광주, 김포공항, 능서, 대림동산, 연천, 동두천, 동서울, 동아방송대, 모란, 부발, 부천, 비산동, 성남, 송내역, 송도[5], 수원, 신갈, 아주대, 안산[6], 안성, 안양, 양지, 양평, 여주, 영통입구, 오천, 용인[7], 의왕, 의정부, 이황리, 인천, 인천국제공항, 일죽, 장호원, 죽산, 천서리, 태평리, 하남, 호계동(평촌) |
강원권 방면 | 강릉[8], 낙산, 속초, 양양, 영월, 원주[9], 장평, 주천, 진부, 춘천, 횡계 |
충청권 방면 | 감곡, 괴산, 대전, 목계, 무극, 생극, 수안보, 아산, 연풍, 용원, 용포, 유성, 음성, 제천, 주덕, 천안, 청주, 충주, 호국원[10] |
호남권 방면 | 광주, 군산, 익산, 전주 |
영남권 방면 | 경주[11], 구미, 마산[12], 문경, 부산, 북대구, 신복, 울산, 점촌, 창원[12], 포항 |
각주편집
- ↑ 버스터미널 현황, 경기도청, 2014년 8월 31일 작성.
- ↑ 버스터미널 현황, 경기도청, 2019년 2월 19일 작성.
- ↑ 신하리와 별개로 1일 4회 운행하며, 덕평IC를 이용한다.
- ↑ 주말 운행시 22:40분.
- ↑ 인천공항제2제2여객터미행 중 1회(09:00)만 경유하며, 이 노선은 동서울을 경유하고 김포공항을 경유하지 않는다.
- ↑ 일죽,죽산 경유와 직통 노선으로 구분된다.
- ↑ 시내버스와 시외버스(1일 4회) 모두 운행한다. 시내버스 운행 횟수가 더 많다.
- ↑ 직통과 완행 노선으로 구분된다. 직통 운행 횟수가 훨씬 많다. 완행은 부발,능서,원주,장평,진부,횡계를 경유하며 직통은 본래 무정차였으나 2014년 6월 26일 부로 여주를 경유한다.
- ↑ 직통과 여주 경유 노선으로 구분된다.
- ↑ 천안행 중 완행 노선만 정차한다.
- ↑ 2013년 7월 7일 신설.
- ↑ 가 나 2015년 10월 11일 신설.
외부 링크편집
- 이천종합버스터미널 홈페이지
- 이천시청 - 이천터미널 건립 당시 모습
- 코버스 홈페이지 (이천 출발 고속버스 노선 예매)
- 티머니 시외버스 통합예약시스템 (이천 출발 시외버스 노선 예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