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쓰노 라이조

일본의 정치인 (1917-2006)

마쓰노 라이조(일본어: 松野 頼三 (まつの らいぞう), 1917년 2월 12일~2006년 5월 10일)는 15선 중의원 의원을 지낸 일본의 정치인이다.

마쓰노 라이조
松野 頼三
출생1917년 2월 12일(1917-02-12)
구마모토현 야마가시
사망2006년 5월 10일(2006-05-10)(89세)
도쿄도 미나토구
성별남성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국적일본
학력게이오기주쿠 대학
정당일본자유당민주자유당자유당자유민주당무소속→자유민주당

아버지 마쓰노 쓰루헤이는 7선 중의원 의원과 3선 참의원 의원을 지냈으며 장남 마쓰노 요리히사는 6선 중의원 의원을 지냈다.

생애

편집

1917년 2월 12일에 지금의 구마모토현 야마가시에서 마쓰노 쓰루헤이의 3남으로 태어났다. 구제 아자부 중학교를 거쳐 게이오기주쿠 대학 법학부 정치학과를 졸업한 뒤 히타치 제작소에 입사했다. 그러다 1940년에 해군경리학교에 입학하여 해군 장교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의 계급은 해군 주계소좌.

전후에 중의원 의원이던 아버지가 공직 추방을 당하자 대신 정계에 진출했다. 내각총리대신 요시다 시게루의 비서관을 거쳐 1947년 4월 총선일본자유당의 공천을 받아 출마해 당선됐다. 1955년 보수합동으로 자유민주당 소속이 되었다.

1958년 6월 제2차 기시 내각이 출범하자 총리부 총무장관으로 처음 입각했으며 1959년 6월에 제2차 기시 내각 (개조)이 발족하자 노동상으로 자리를 옮겼다. 1965년 6월에 발족한 제1차 사토 내각 (제1차 개조)에서 방위청 장관으로 입각했으며 1966년 8월에 제1차 사토 내각 (제2차 개조)이 출범하자 농림상으로 자리를 옮겼다.

농림상으로 재직중이던 1966년에 신혼인 딸 부부와 함께 라스베이거스 등을 관비로 여행한 사실이 발각됐다. 검은 안개 사건으로 정국이 뒤숭숭한 시점이라 사토 에이사쿠제1차 사토 내각 (제3차 개조)을 꾸려야 했고 마쓰노는 농림상에서 물러났다.

1972년에 사토가 총재에서 물러나면서 후계 자리를 놓고 다나카 가쿠에이후쿠다 다케오 사이에서 각복전쟁이 발생했다. 마쓰노는 사토의 의향을 좇아 후쿠다를 지지했지만 다나카가 총재 선거에서 승리했다. 하지만 금맥 문제로 2년 만에 다나카가 총재직에서 내려오고 미키 다케오가 총재가 되자 마쓰노는 후쿠다의 지지를 받고 자유민주당 정무조사회장으로 추대됐다.

하지만 록히드 사건과 당내 개혁을 둘러싸고 정쟁이 격화하면서 미키 끌어내리기가 시작됐다. 마쓰노는 미키를 지지했기에 자연스럽게 후쿠다와는 소원해졌다. 이에 미키는 마쓰노를 나카소네 야스히로의 후임 간사장으로 기용하려 했으나 후쿠다와 오히라 마사요시가 반대하면서 대신 자유민주당 총무회장이 되었다. 이후 마쓰노는 후쿠다파를 탈퇴했다. 후쿠다파로부터 많은 비판을 받았는데 이때 맹우였던 고이즈미 준야의 아들인 초선 의원 고이즈미 준이치로는 마쓰노를 비판하지 않았다.

1979년에 더글러스-그러먼 사건이 발각되고 닛쇼 이와이로부터 다액의 금전을 수령한 인물이 마쓰노라는 얘기가 오르내렸고 국회에 소환된 마쓰노는 정치 헌금으로 5억 엔을 받았음을 인정했다. 이후 7월 25일에 의원직에서 물러난 뒤 자민당을 탈당했다. 10월 7일에 치러진 총선무소속으로 출마했지만 낙선했다. 하지만 1980년 6월에 치러진 총선에서 최하위로 당선하는 데 성공했고 이후 자민당에도 복당했다. 1984년 총재 선거를 앞두고 니카이도 스스무를 옹립하려는 니카이도 옹립 구상에 참여했다. 두 사람은 규슈 출신이고 사토파에서 함께 간부를 역임했기에 가까운 사이였지만 옹립 구상은 실패로 끝났다.

1990년 총선에서 낙선하자 그대로 정계를 은퇴했다. 이후 호소카와 모리히로를 지지했으며 호소카와가 은퇴한 뒤에는 장남 마쓰노 요리히사의 정치 활동을 도왔다. 2001년에 고이즈미가 총재가 되자 스승 역할을 하며 적극적으로 언론에 등장했다.

2006년 5월 10일에 심부전으로 도쿄도 미나토구의 한 병원에서 사망했다. 향년 89세. 입원 2, 3일 전에 위장 통증을 호소했는데 실제론 심장에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병원측에서 심장 마사지를 했지만 효과를 보지 못한 채 사망했다. 사후에 정3위에 추서됐으며 욱일대수장도 추증됐다.

역대 선거 기록

편집
실시년도 선거 대수 직책 선거구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1947년 총선거 23회 중의원 의원 구마모토현 제1구 일본자유당 48,174표
15.71%
1위   중선거구제
1949년 총선거 24회 중의원 의원 구마모토현 제1구 민주자유당 67,268표
20.75%
1위   중선거구제
1952년 총선거 25회 중의원 의원 구마모토현 제1구 자유당 53,258표
13.74%
2위   중선거구제
1953년 총선거 26회 중의원 의원 구마모토현 제1구 자유당 54,880표
14.98%
1위   중선거구제
1955년 총선거 27회 중의원 의원 구마모토현 제1구 자유당 51,574표
13.79%
4위   중선거구제
1958년 총선거 28회 중의원 의원 구마모토현 제1구 자유민주당 88,361표
20.74%
1위   중선거구제
1960년 총선거 29회 중의원 의원 구마모토현 제1구 자유민주당 78,816표
20.48%
1위   중선거구제
1963년 총선거 30회 중의원 의원 구마모토현 제1구 자유민주당 84,667표
20.86%
1위   중선거구제
1967년 총선거 31회 중의원 의원 구마모토현 제1구 자유민주당 82,785표
19.66%
2위   중선거구제
1969년 총선거 32회 중의원 의원 구마모토현 제1구 자유민주당 80,888표
17.45%
1위   중선거구제
1972년 총선거 33회 중의원 의원 구마모토현 제1구 자유민주당 81,704표
16.86%
2위   중선거구제
1976년 총선거 34회 중의원 의원 구마모토현 제1구 자유민주당 94,173표
17.46%
2위   중선거구제
1979년 총선거 35회 중의원 의원 구마모토현 제1구 무소속 67,082표
12.45%
6위 낙선 중선거구제
1980년 총선거 36회 중의원 의원 구마모토현 제1구 무소속 83,988표
14.96%
5위   중선거구제
1983년 총선거 37회 중의원 의원 구마모토현 제1구 자유민주당 82,787표
14.94%
3위   중선거구제
1986년 총선거 38회 중의원 의원 구마모토현 제1구 자유민주당 77,469표
13.29%
5위   중선거구제
1990년 총선거 39회 중의원 의원 구마모토현 제1구 자유민주당 78,538표
12.2%
7위 낙선 중선거구제
전임
이마마쓰 지로
제2대 총리부 총무장관
1958년 6월 12일~1959년 6월 18일
후임
후쿠다 도쿠야스
전임
구라이시 다다오
제16대 노동대신
1959년 6월 18일~1960년 7월 19일
후임
이시다 히로히데
전임
고이즈미 준야
제20대 방위청 장관
1965년 6월 3일~1966년 8월 1일
후임
간바야시야마 에이키치
전임
사카타 에이이치
제36대 농림대신
1966년 8월 1일~1966년 12월 3일
후임
구라이시 다다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