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느리 삼국지

며느리 삼국지1996년 2월 5일부터 1996년 8월 16일까지 방영된 한국방송공사 2TV 일일연속극인데 대부분의 일일드라마들이 그랬던 것처럼 3대가 모여 사는 집 안에 완고하거나 괴팍한 웃어른, 말썽꾸러기 삼촌, 위치를 못 찾는 장남 등의 인물 구도에, 가족 간에 티격태격하며 싸우고 화해하는 스토리 전개가 엇비슷하다는 등의 지적이[1] 있었다.

Picto infobox TV-icon-novela.png
며느리 삼국지
장르 드라마
방송 국가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방송 채널 KBS 2TV
방송 기간 1996년 2월 5일 ~ 1996년 8월 16일
방송 시간 매주 평일 밤 9시 20분
방송 횟수 140부작
제작사 KBS 드라마본부
연출 이영국, 곽기원
극본 이희우
출연자 김용림, 임예진, 자오즈민, 이지은

기획 의도편집

50년간 해장국 집을 경영해 온 서울 종로구 청진동 청수옥에 한국, 중국, 일본 며느리가 들어와 겪게 되는 생활과, 삼국의 며느리를 중심으로 한 가족간에 일어나는 갈등과 사랑을 통해서 삼국 간의 화해와 융화를 그린 드라마

등장 인물편집

결방 사유편집

  • 1996년 2월 19일 : 9시부터 설 특집 3부작 드라마 <검> 편성 관계로[2] 결방

참고 사항편집

  • 캐스팅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는데 인혜 역에는 최명길, 옥소리, 조민수가 물망에 올랐고, 그 외에 정영숙, 오대규, 이효정, 선우재덕 등이 물망에 올랐으나 모두 개인사정으로 고사하였다.[3]
  • 작가 이희우의 전작 <딸부잣집>(독일에서 귀화한 이한우)[4]에 이어 외국인이 출연했는데(중국인 탁구선수 자오즈민)[5], <며느리 삼국지>의 전작인 <내 사랑 유미>에서도 외국인(리키 스미스)이 나왔다.[6]
  • 비교적 높은 인기를 얻었으나 세 며느리가 끊임없이 싸우며 서로를 헐뜯는 등의 내용을 다뤄[7] 이 과정에서 어처구니 없다는 느낌을 넘어 불쾌하다는 비난을 샀다.
  • 예고방송에서 'SEA OF JAPAN'(일본해)의 표기 중 'JAPAN'이란 글자만 지워진 영문지도를 배경화면으로 사용해[8] 말썽을 빚기도 했다.
  • 작가 이희우는 해당 작품이 마지막 KBS 드라마 집필작이 됐다.
  • KBS는 해당 드라마 이후 후속작으로 방영된 작품들이 기대에 못 미치자 <오늘은 남동풍>을 끝으로 2TV 일일극을 잠정 폐지했다.
  • 극중 김상구 역의 남성진은 정례 역으로 나온 김용림의 아들이다.[9]
  • 홍학표 (김상태 역)는 92년 같은 채널 <숲속의 바람> 이후 4년 만에 KBS 드라마 출연을 했고 1995년 5월 종영된 SBS 이 여자가 사는 법 이후 브라운관에서 한동안 사라졌다가 해당 작품을 통해[10] 안방극장에 복귀했다. 해당 작품에 앞서 KBS 1TV <찬란한 여명> 캐스팅 제의를 받았으나 고사했다.[11] <며느리 삼국지> 이후 한동안 KBS 드라마 활동이 뜸해졌다가 2000년 KBS 1TV 일일드라마 <좋은걸 어떡해>를 통해 KBS 드라마에 재출연했다.
  • 1993년 SBS 공채 3기 탤런트로 데뷔했지만 공채 동기들[12], SBS 공채 4기 출신들과 마찬가지로 데뷔하자마자 뜨지 못한 남성진(본명 남지헌)(김상구 역)이 해당 작품으로 타방송사 드라마에 처음 출연했고 이 작품 이후 남성진이란 예명으로 활동 중이며 집필자 이희우 작가의 전 집필작인 KBS 2TV 《딸부잣집》에서 한준수 역을 맡았던 이세창1993년 '사랑의 동화' 프로덕션과 3년 간 지정한 프로그램에만 출연하기로 약속했음에도[13] "계약조건이 안 좋다"는 이유로 프로덕션 측의 동의 없이 해당 작품(며느리 삼국지)에 출연하자 이세창의 매니저인 '사랑의 동화' 장한식 대표가 1996년 3월 8일 이세창을 상대로 1억원의 손해배상소송을 서울지법에 제기했고 이 사건 탓인지 이세창은 <며느리 삼국지> 출연이 좌절됐다.

각주편집

  1. “TV 일일극 도토리 키재기”. 경인일보. 1996년 3월 9일. 2020년 1월 5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 이희용 (1996년 2월 21일). “<방송> 克日 관련 프로그램 앞다투어 제작”. 연합뉴스. 2019년 5월 8일에 확인함. 
  3. 김갑식 (1996년 1월 12일). “韓(한)·中(중)·일(日)며느리 한지붕서 아옹다옹”. 동아일보. 2016년 2월 24일에 확인함. 
  4. 오광수 (1997년 9월 27일). “갈수록 인기 '파란눈의 한국인' ▨방송가 누비는 '귀화연예인 4인방'. 경향신문. 2015년 12월 29일에 확인함. 
  5. “일일극 3월 MBC가세로 전성시대 재연 전망”. 매일경제. 1996년 1월 30일. 2015년 12월 29일에 확인함. 
  6. 허엽 (1995년 10월 18일). “KBS2 「내사랑 유미」이성연 PD”. 동아일보. 2016년 3월 1일에 확인함. 
  7. 김성호 (1996년 6월 18일). “시청률 경쟁 “위험수위”/자체조사 재개 인기없는 프로 솎아내기”. 한국일보. 2019년 8월 13일에 확인함. 
  8. 연합 (1996년 6월 22일). “현대방송, 영화 자막에 `일본해'로 표기해 말썽”. 연합뉴스. 2019년 8월 13일에 확인함. 
  9. “밤과 음악사이 <KBS2 오후 11시>”. 매일경제. 1996년 4월 18일. 2015년 12월 29일에 확인함. 
  10. 오광수 (1996년 2월 6일). “탤런트 홍학표 6개월동안 충전「며느리…」로 컴백 '벌써 중견급…연기에 책임느껴'. 경향신문. 2019년 8월 13일에 확인함. 
  11. “탤런트 홍학표 고종역 맡아 KBS사극「찬란한 여명」서”. 경향신문. 1995년 7월 29일. 2019년 8월 13일에 확인함. 
  12. 이은주 (1994년 12월 31일). “공채 탤런트 스타자리 하늘의 별따기”. 중앙일보. 2022년 5월 2일에 확인함. 
  13. 조진태 (1996년 3월 9일). “탤런트 이세창 1억피소/매니저 "계약 어겼다" 제기(난류한류)”. 세계일보. 2020년 8월 14일에 확인함. 
한국방송공사 2TV 일일연속극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내 사랑 유미
(1995년 9월 18일 ~ 1996년 2월 2일)
며느리 삼국지
(1996년 2월 5일 ~ 1996년 8월 16일)
원지동 블루스
(1996년 8월 19일 ~ 1996년 12월 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