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착
문착(Muntjacs)은 사슴과 문착속(Muntiacus)에 속하는 작은 사슴의 총칭이다. 가장 오래 전부터 지구상에 나타난 흔적이 발견되는 사슴 중 하나로, 1500~3500만년 전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되며 프랑스·독일·폴란드 마이오세 퇴적층 화석에 남아 발견된다.[1]
![]() | ||
---|---|---|
![]() 인도문착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우제목/경우제목 | |
아목: | 반추아목 | |
과: | 사슴과 | |
아과: | 사슴아과 | |
족: | 문착족 | |
속: | 문착속 (Muntiacus) Rafinesque, 1815 | |
종 | ||
|
특징편집
남아시아 지역에서 발견되며, 인도와 스리랑카, 미얀마, 인도네시아 제도, 타이완 그리고 중국 남부 지역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히말라야 저지대(네팔과 부탄의 테라이 지역과 일본 (보소반도와 이즈오섬)의 일부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하위 종편집
12종이 알려져 있다.
- 인도문착 또는 붉은문착 (Muntiacus muntjak)[2]
- 아기사슴 (Muntiacus reevesi)
- 검은문착 (Muntiacus crinifrons)
- 페아문착 또는 테나세림문착 (Muntiacus feae)
- 보르네오문착 (Muntiacus atherodes)
- 루즈벨트문착 (Muntiacus rooseveltorum)
- 궁산문착 (Muntiacus gongshanensis)
- 자이언트문착 (Muntiacus vuquangensis)
- 쭈옹손문착 (Muntiacus truongsonensis)
- 잎문착 또는 리프문착 (Muntiacus putaoensis)
- 수마트라문착 (Muntiacus montanus)
- 푸호앗문착 (Muntiacus puhoatensis)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2012년 핫사닌(Hassanin)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3]
사슴과 |
| ||||||||||||||||||||||||||||||||||||||||||||||||||||||||||||||||||||||||||||||||||||||||||||||||||||||||||||||||||||||||||||||
사진편집
각주편집
- ↑ Teresa Czyżewska, Krzysztof Stefaniak Acta zoologica cracoviensia, Volume 37 Number 1 (1994) Pages 55–74.
- ↑ “Fauna of Corbett National Park”. 《Internet Archive》. 2014년 7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3월 24일에 확인함.
- ↑ Alexandre Hassanin, Frédéric Delsuc, Anne Ropiquet, Catrin Hammer, Bettine Jansen van Vuuren, Conrad Matthee, Manuel Ruiz-Garcia, François Catzeflis, Veronika Areskoug, Trung Thanh Nguyen und Arnaud Couloux: Pattern and timing of diversification of Cetartiodactyla (Mammalia, Laurasiatheria), as revealed by a comprehensive analysis of mitochondrial genomes. Comptes Rendus Palevol 335, 2012, S. 3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