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콰도르붉은마자마사슴
에콰도르붉은마자마시슴 또는 작은붉은마자마사슴(Mazama rufina)은 콜롬비아와 에콰도르 그리고 페루 북부의 안데스 산맥에서 서식하는 작은 사슴으로 해발 고도 1400~3600m의 숲과 파라모에서 발견된다.[2][1] 마자마사슴 중에서 가장 작다. 몸의 텉은 붉은 색을 다리와 관부는 거무스름한 빛을 띤다.[3] 일부 학자들은 피그미마자마사슴과 적갈색마자마사슴을 에콰도르붉은마자마사슴의 아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4] 에콰도르붉은마자마사슴은 플라이스토세(홍적세) 시기에 라스베가스 지역에 살던 사람들의 주식의 하나로 추정되고 있다.[5]
![]() | ||||||||||||||||||||
에콰도르붉은마자마시슴 | ||||||||||||||||||||
보전 상태 | ||||||||||||||||||||
---|---|---|---|---|---|---|---|---|---|---|---|---|---|---|---|---|---|---|---|---|
![]() 취약(VU),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Mazama rufina Bourcier & Pucheran, 1852 | ||||||||||||||||||||
![]() 에콰도르붉은마자마시슴의 분포 지역 |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2012년 핫사닌(Hassanin)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6]
사슴과 |
| ||||||||||||||||||||||||||||||||||||||||||||||||||||||||||||||||||||||||||||||||||||||||||||||||||||||||||||||||||||||||||||||
각주편집
- ↑ 가 나 “Mazama rufina”.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07년 6월 10일에 확인함. Database entry includes a brief justification of why this species is of vulnerable.
- ↑ Grubb, P. (2005). 〈Order Artiodactyla〉 [우제목].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637–722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Trolle, M., and L. H. Emmons (2004). A record of a dwarf brocket from lowland Madre de Dios, Peru. Deer Specialist Group Newsletter 19: 2-5
- ↑ Nowak, R. M. (eds) (1999). Walker's Mammals of the World. 6th editio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 ↑ Salazar, Ernesto (2003). “Historie del Ecuador: Los primeros habitantes”. 《La Hora》 (스페인어). 2008년 4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7월 14일에 확인함.
- ↑ Alexandre Hassanin, Frédéric Delsuc, Anne Ropiquet, Catrin Hammer, Bettine Jansen van Vuuren, Conrad Matthee, Manuel Ruiz-Garcia, François Catzeflis, Veronika Areskoug, Trung Thanh Nguyen und Arnaud Couloux: Pattern and timing of diversification of Cetartiodactyla (Mammalia, Laurasiatheria), as revealed by a comprehensive analysis of mitochondrial genomes. Comptes Rendus Palevol 335, 2012, S. 3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