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저막

세포와 인접한 결합조직 사이의 얇은 층
(바닥막에서 넘어옴)

기저막(基底膜, basement membrane) 또는 바닥막은 얇고 잘 휘어지는 판의 형태를 한 세포외기질로, 세포와 조직을 지지하고 복잡한 신호 전달이 발생하는 장소 역할을 한다.[1][2] 기저막은 중피내피를 포함한 상피 조직과 아래쪽의 결합조직 사이에 위치한다.[3][4]

기저막
상피, 기저막, 내피. 다른 세포외기질의 구성 요소들도 그려져 있다.
입점막의 기저막. 기저막은 상피를 고유판과 분리한다.
정보
식별자
라틴어membrana basalis
영어basement membrane
MeSHD001485
THH2.00.00.0.00005
FMA63872

구조 편집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듯 기저막은 기저판(바닥판)과 망상판(그물판)의 두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4] 기저막 아래에 놓인 결합조직은 콜라겐 VII 고정원섬유피브릴린 미세원섬유를 통해 기저막에 붙어 있다.[5]

기저판은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의 모습에 따라 두 층으로 다시 나눌 수 있다. 상피에 가까운 쪽에 있으며 더 밝은 색깔을 가진 층은 투명판, 결합조직에 더 가깝고 짙은 색을 가진 층은 치밀판이라고 한다. 전자밀도가 더 높은 치밀판의 두께는 약 30 ~ 70nm로, 그물처럼 생긴 콜라겐 IV 원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원섬유들의 평균 직경은 30nm, 두께는 0.1 ~ 2μm이며 헤파란황산이 풍부한 프로테오글리칸퍼레칸으로 코팅되어 있다.[6] 콜라겐에 더해 기질에는 여러 내인성 거대분자들이 포함되어 있다. 투명판은 라미닌, 인테그린, 니도겐-1, 디스트로글리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테그린은 상피를 기저막에 고정시키는 반결합체(헤미데스모솜)의 핵심 구성 물질이다.

상술한 내용대로 기저막의 구조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기능 편집

기저막의 주된 기능은 세포와 세포외기질을 부착시켜 상피를 아래쪽의 성긴결합조직(진피고유판)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 과정은 기질부착분자(SAMs)를 통해 이루어진다.

기저막은 물리적인 방벽 역할을 하여 악성 세포가 더 깊은 조직들로 침범하는 것을 막는다.[7] 악성 세포가 기저막에 의해 침범하지 못하여 상피층에만 존재하는 경우 제자리암(상피내암종)이라고 부른다.

또한 기저막은 혈관신생(새로운 혈관의 발생)에도 필수적이다. 기저막의 단백질은 내피세포의 분화를 촉진한다.[8]

기저막의 주목할 만한 예시 중 하나는 콩팥사구체기저막이다. 사구체기저막은 사구체모세혈관 내피의 기저판과 발세포의 기저판이 융합되며 형성된다.[9] 또 하나의 예시로는 폐포와 폐모세혈관 간의 기저막으로, 폐포의 바닥판과 폐모세혈관의 바닥판이 융합되어 형성된다. 폐의 기저막에서는 산소이산화탄소의 확산(기체교환)이 발생한다.

2017년에는 혈액여과근육항상성을 비롯한 기저막의 다른 역할들이 알려졌다.[1] 줄기세포미세환경 역할을 하는 프락톤(영어판)은 기저막의 일종일 수도 있다.[10][11]

임상적 중요성 편집

기저막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할 때 질병이 생기기도 한다. 기저막 기능 이상의 원인에는 유전적 결함, 자기 자신의 면역계에 의한 손상, 그 외 다른 기전들이 있다.[12] 기저막과 관련된 질병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조직병리학에서 기저막이 두꺼워진 경우에는 주로 전신 홍반성 루푸스피부근염을 시사하지만, 경화태선일 가능성도 있다.[15]

참고 문헌 편집

  1. Pozzi A, Yurchenco PD, Iozzo RV (January 2017). “The nature and biology of basement membranes”. 《Matrix Biology》. 57-58: 1–11. doi:10.1016/j.matbio.2016.12.009. PMC 5387862. PMID 28040522. 
  2. Sekiguchi R, Yamada KM (2018). “Basement Membranes in Development and Disease”. 《Current Topics in Developmental Biology》 130: 143–191. doi:10.1016/bs.ctdb.2018.02.005. ISBN 9780128098028. PMC 6701859. PMID 29853176. 
  3. Kierszenbaum A, Tres L (2012). 《Histology and Cell Biology, An Introduction to Pathology》 3판. Elsevier. ISBN 978-0-323-07842-9. 
  4. Tortora G, Derrickson B (2012). 《Principles of anatomy & physiology.》 13판. Hoboken, NJ: Wiley. 117–118쪽. ISBN 9780470646083. 
  5. Paulsson M (1992). “Basement membrane proteins: structure, assembly, and cellular interactions”. 《Critical Reviews in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27 (1–2): 93–127. doi:10.3109/10409239209082560. PMID 1309319. 2007년 10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6. Noonan DM, Fulle A, Valente P, Cai S, Horigan E, Sasaki M, 외. (December 1991). “The complete sequence of perlecan, a basement membrane heparan sulfate proteoglycan, reveals extensive similarity with laminin A chain, low density lipoprotein-receptor, and the neural cell adhesion molecule”.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66 (34): 22939–22947. doi:10.1016/S0021-9258(18)54445-8. PMID 1744087. 
  7. Liotta LA, Tryggvason K, Garbisa S, Hart I, Foltz CM, Shafie S (March 1980). “Metastatic potential correlates with enzymatic degradation of basement membrane collagen”. 《Nature》 284 (5751): 67–68. Bibcode:1980Natur.284...67L. doi:10.1038/284067a0. PMID 6243750. S2CID 4356057. 
  8. Kubota Y, Kleinman HK, Martin GR, Lawley TJ (October 1988). “Role of laminin and basement membrane in the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of human endothelial cells into capillary-like structures”. 《The Journal of Cell Biology》 107 (4): 1589–1598. doi:10.1083/jcb.107.4.1589. PMC 2115245. PMID 3049626. 
  9. 〈Sect. 7, Ch. 4: Basement Membrane〉. 《Renal Physiology Glomerular Filtration Rate and Renal Blood Flow》. Medical College of Georgia, Robert B. Greenblatt, M.D. Library. 2008년 4월 1일. 2008년 4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7일에 확인함. 
  10. Mercier F, Kitasako JT, Hatton GI (September 2002). “Anatomy of the brain neurogenic zones revisited: fractones and the fibroblast/macrophage network”. 《The Journal of Comparative Neurology》 451 (2): 170–188. doi:10.1002/cne.10342. PMID 12209835. S2CID 19919800. 
  11. Sato Y, Kiyozumi D, Futaki S, Nakano I, Shimono C, Kaneko N, 외. (January 2019). Yamashita Y, 편집. “Ventricular-subventricular zone fractones are speckled basement membranes that function as a neural stem cell niche”.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30 (1): 56–68. doi:10.1091/mbc.E18-05-0286. PMC 6337917. PMID 30379609. 
  12. Henig RM (2009년 2월 22일). “What's Wrong With Summer Stiers?”. 《New York Times》. 2016년 11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3. Janeway CA (2001). 《Immunobiology》 5판. Garland. ISBN 978-0-8153-3642-6. 
  14. Bardhan A, Bruckner-Tuderman L, Chapple IL, Fine JD, Harper N, Has C, 외. (September 2020). “Epidermolysis bullosa”. 《Nature Reviews. Disease Primers》 6 (1): 78. doi:10.1038/s41572-020-0210-0. PMID 32973163. S2CID 221861310. 
  15. LeBoit PE (October 2000). “A thickened basement membrane is a clue to...lichen sclerosus!”. 《The American Journal of Dermatopathology》 22 (5): 457–458. doi:10.1097/00000372-200010000-00014. PMID 11048985. 

추가 자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