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정식

변수를 포함하는 등식에서, 변수의 값에 따라 참 또는 거짓이 되는 식

방정식(方程式, 영어: equation)은 미지수가 포함된 식에서 그 미지수에 특정한 값을 주었을 때만 성립하는 등식이다. 의 값에 따라 참이 되기도 하고, 거짓이 되기도 하는 등식을 에 관한 방정식이라고 한다.

최초의 방정식

이때, 방정식을 참이 되게 하는(성립하게 하는) 특정 문자의 값을 또는 근이라 한다. 방정식의 해는 없을 수도 있고, 여러 개일 수도 있고, 모든 값일 수도 있다. 첫번째의 경우는 불능이라고 하고, 두번째의 경우는 방정식, 마지막 세번째의 경우는 항등식(부정)이라 한다.

예를 들어

은 문자 가 어떤 값이든 항상 등호가 성립하므로 항등식인 반면,

은 방정식이고, 그 해는 이다. 또한,

가 어떤 값이든 항상 등호가 성립하지 못하므로, 이 경우는 방정식 중에서도 불능의 경우이다.

방정식의 방정(方程)은 고대 중국의 산학서인 구장산술의 여덟 번째 장의 제목인 方程에서 유래하였다. 여기서 方은 연립방정식의 계수를 직사각형 모양으로 배열한다는 뜻이고, 程은 이렇게 배열한 계수를 조작하여 해를 구하는 과정을 뜻한다. 이 해법은 약 1500년 뒤에 등장하는 가우스 소거법에 해당한다. 고대 중국의 수학자들은 이 과정에서 음수의 계산도 자유자재로 할 수 있었다.

방정식에서 해를 구하려는 문자, 즉 미지수로는 보통 를 사용한다. 미지수로 알파벳의 뒤쪽 문자 를 사용하는 것은 프랑스의 수학자겸 철학자인 데카르트로부터 비롯되었다.

방정식은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유리방정식 편집

무리 방정식 편집

방정식의 항에 무리식(루트)을 포함하는 다항식으로 이루어진 방정식을 무리 방정식이라 한다.

 
 
 
 
 
 
 
 

인수분해하면,

 
 
 
주의: 무리 방정식에는 무연근이란 것이 있다. 분수방정식에서는 분모를 0으로 만드는 해 , 무리방정식에는 대입해봤을 때 성립하지 않는 근이다. 이 근들은 해집합에서 제외된다. 자세한 내용은 무연근 참조.

그러니, 무리방정식은 해에 대해서 무연근 검사로 마무리검산을 해야하므로,

위의 두 근인  을 원래의 식인  에 대입해보면,

우선 양변으로 놓으면,  

이어서,  일때, 

 이므로 방정식이 성립되므로, 무연근이 아니고,
 일때,
 
 
 
 
 은 무연근이다.

따라서,   방정식의 근은  이다.

그러나, 무리방정식은 해에 대해서 무연근 검사로 마무리검산을 해야하므로,

 
 따라서 루트안의   보다 커야하므로,
 
  이므로,

위의 두 근인  는 1보다 작지 않으므로 무연근이다.

기타 편집

 

연립 방정식은 서로 다른 2개의 미지수가 주어진 방정식들에 모두 적합할 때 이 방정식의 쌍을 의미한다. 연립 방정식도 미지수의 차수에 따라 연립 일차 방정식, 연립 이차 방정식 등으로 나뉜다. 연립 일차 방정식에선  와 같이 한 미지수를 어떠한 값으로 나타내어 이 값을 그 미지수에 대입하는 방법인 대입법과 미지수의 계수를 같게 곱하여 둘을 더하거나 빼서 그 미지수를 없애는 가감법, 그리고 행렬을 이용한 가우스 소거법이 주로 사용된다.

방정식은  과 같이  (미지수)의 값에 따라 등식이 참이 되기도 하고 거짓이 되기도 한다. 방정식은 중국의 구장산술이라는 산학서에서부터 유래되었다고 한다. 이 방정식에도 원 방정식, 직선의 방정식, 미분 방정식 등 여러가지가 있고, 또, 미지수의 차수에 따라 일차 방정식, 이차 방정식, 삼차 방정식, 고차 방정식... 등으로 나뉜다. 특히 이차 방정식에는 미지수의 값을 구하는 근의 공식이라는 식이 있다. 이차방정식  의 근의 공식은 -b±√b^2-4ac/2a 이고, ax^2+2b'x+c=0(a≠0)의 근의 공식은 -b'±√b'^2-ac/a이다. 삼차 방정식과 사차 방정식은 특수한 경우에 성립하는 근의 공식이 있다. 오차 방정식부턴 근의 공식이 존재하지 않는다. (아벨이 증명) 갈루아 이론을 이용하면 아벨과는 다른 방법으로 증명 이 가능하다.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