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백교

백백교(白白敎)는 일제강점기에 일어난 동학 분파의 신흥 종교다. 약 80여 차례에 걸쳐 신도 350여 명을 살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역사 편집
백백교 전신은 동학에서 파생한 백도교(白道敎)로 전정운이 1900년 금강산에서 도를 닦고 평안남도 영변군에서 창시하였다. 그는 60여 명 여인을 거느리고 교인 재산을 갈취해 방탕한 생활을 하였다.[2] 전정운이 1919년에 사망하자 그의 세 아들에 의해 각각 인천교, 백백교, 도화교로 분열되었으며, 그 중 둘째 아들인 전용해가 창시한 게 백백교다. 그들은 '백백백의의의적적적감응감감응하시옵숭성'(白白白衣衣衣赤赤赤感應感感應하시옵崇誠)이라는 주문을 외우면 무병장수한다고 믿었다.[3]
백백교는 여러 문제를 일으켰는데, 그들은 신도 재산 상납을 요구하였고, 딸을 자신의 시녀로 바치게 하여 성적 학대를 일삼았다.[4]
살인 사건 편집
백백교는 교주에 대하여 불만을 가지는 신도들을 여러 차례에 걸쳐 살해하였다. 그러다가 1937년에 일본 경찰에 의해서 대대적인 수사가 시작되었으며, 경찰에 쫓긴 교주 전용해가 시신으로 발견되면서 살인 사건은 일단락되었다. 그가 죽은 후, 일본 경찰은 경기도 양평군 일대에서 시체 발굴 작업을 하였는데, 무려 300여구의 시신이 발견되었다.[5] 백백교의 살인 사건은 1940년에 간부들에게 사형 및 무기징역이 선고되고 이외의 사람들에게 징역형이 선고되면서 종결되었다.
전용해의 머리에 관한 논란 편집
사건 이후 교주 전용해의 머리는 일본 경찰에 의해 잘리고 포르말린 용액에 담겨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 보관하였으나, 불교단체 모니노가 비인도적이라는 진정을 하여 행정안전부로부터 폐기 결정을 받아내고 2011년에 화장하였다.[6]
창작물 편집
참고자료 편집
각주 편집
이 글은 종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