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 아시안 게임
제11회 아시안 게임은 1990년 9월 22일부터 10월 7일까지 중국의 수도 베이징에서 열렸다. 대회는 1993년에 있을 2000년 하계 올림픽 개최 신청을 한 중국의 예비 무대 성격을 지녔다. 중국은 총메달의 34%, 전체 금메달의 60%를 가져가는 압도적인 성적을 거뒀다.
제11회 아시안 게임![]() | |
---|---|
1990年亚洲运动会 | |
대회 개요 | |
개최 도시 | ![]() |
참가국 | 36개국 |
참가 선수 | 6,122명 |
종목 | 27종목 |
개회식 | 1990년 9월 22일 |
폐회식 | 1990년 10월 7일 |
공식 개회 선언 | 양상쿤 주석 |
선수 선서 | 천룽찬 |
성화 점화 | 쉬하이펑, 가오민, 장룽팡 |
주경기장 | 베이징 공인체육장 |
이전 대회 / 다음 대회 | |
![]() | 1994 히로시마 ![]() |
유치 신청 도시편집
1984년 9월 28일에 대한민국 서울에서 열린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OCA) 총회에 참석한 회원 76명이 1990년 아시안 게임을 중국 베이징에서, 1994년 아시안 게임을 일본 히로시마에서 개최하자는 내용의 안건을 제시했다. 그렇지만 1994년 아시안 게임 유치를 희망했던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회장단의 안건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기 때문에 투표가 진행되었다. 투표 결과 회장단의 안건은 찬성 48표, 반대 22표, 기권 6표로 통과되었다.[1]
마스코트편집
1990년 베이징 아시안 게임의 마스코트는 중국을 상징하는 동물인 대왕판다를 형상화해 만든 '판판'(PanPan, 盼盼)이다.
참가국편집
총 36개국이 대회에 참가하였다.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OCA)는 1990년 9월 20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임시 총회에서 실시된 투표를 통해 쿠웨이트를 침공하여 걸프 전쟁을 일으킨 이라크에 대해 회원국 자격 정지 처분을 내리면서 이라크의 아시안 게임 참가를 금지시켰다. 이라크에 대한 회원국 자격 정지 처분 안건은 찬성 27표, 반대 3표, 기권 5표, 무효 1표, 불참 2표로 통과되었다.[2]
마카오, 브루나이, 팔레스타인이 처음으로 참가하였다. 요르단은 재정 문제를 이유로 불참하였다. 1986년 아시안 게임에 불참했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베트남, 라오스, 몽골, 시리아, 아프가니스탄, 미얀마가 다시 참가하였다. 타이완은 중화 타이베이라는 이름으로 1970년 아시안 게임 이후 20년 만에 아시안 게임에 복귀하였으며 예멘은 통일 이후 처음으로 참가하였다.
경기 종목편집
시범 종목편집
메달 집계편집
순위 | 국가 | 합계 | |||
---|---|---|---|---|---|
1 | 중국 | 183 | 107 | 51 | 341 |
2 | 대한민국 | 54 | 54 | 73 | 181 |
3 | 일본 | 38 | 60 | 76 | 174 |
4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2 | 31 | 39 | 82 |
5 | 이란 | 4 | 6 | 8 | 18 |
6 | 파키스탄 | 4 | 1 | 7 | 12 |
7 | 인도네시아 | 3 | 6 | 21 | 30 |
8 | 카타르 | 3 | 2 | 1 | 6 |
9 | 태국 | 2 | 7 | 8 | 17 |
10 | 말레이시아 | 2 | 2 | 4 | 8 |
11 | 인도 | 1 | 8 | 14 | 23 |
12 | 몽골 | 1 | 7 | 9 | 17 |
13 | 필리핀 | 1 | 2 | 7 | 10 |
14 | 시리아 | 1 | 0 | 2 | 3 |
15 | 오만 | 1 | 0 | 0 | 0 |
16 | 중화 타이베이 | 0 | 10 | 21 | 31 |
17 | 홍콩 | 0 | 2 | 5 | 7 |
18 | 스리랑카 | 0 | 2 | 1 | 3 |
19 | 싱가포르 | 0 | 1 | 4 | 5 |
20 | 방글라데시 | 0 | 1 | 0 | 1 |
21 | 미얀마 | 0 | 0 | 2 | 2 |
22 | 라오스 | 0 | 0 | 1 | 1 |
23 | 마카오 | 0 | 0 | 1 | 1 |
24 | 네팔 | 0 | 0 | 1 | 1 |
25 | 사우디아라비아 | 0 | 0 | 1 | 0 |
합계 | 310 | 309 | 357 | 976 |
대회 이모저모편집
- 이 대회부터 중국의 독주가 시작되었다.
- 개최국 중국은 모두 19명의 3관왕을 배출하였다.
- 수영에서 중국은 40개의 메달 중 32개의 메달을 휩쓸었다.
- 카타르의 육상 선수 탈랄 만수르는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에 이어 100m에서 우승하여 2연패를 차지했다.
- 카누에서 대한민국의 천인식 선수가 소아마비로 왼쪽 다리를 절고 있는 상태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 이번 대회를 계기로 중국은 2000년 제27회 하계 올림픽을 베이징에서 개최하기 위해 IOC에 유치 신청을 하였으나 1993년 모나코 몬테카를로에서 열린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총회에서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 패배하였으며 8년 뒤인 2001년에 열린 러시아 모스크바 총회에서 2008년 제29회 하계 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되었다.
- 태권도가 정식 종목에서 탈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