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타메타손

스테로이드 약제

베타메타손(betamethasone)은 당질 코르티코이드 스테로이드 약제이다.[3]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홍반루푸스(SLE) 같은 류마티스 질환, 피부염이나 건선 등 피부병, 천식혈관부종을 포함한 알레르기 질환, 크론병, 백혈병 같은 일부 암 등 다양한 질병 치료에 쓰이며, 조산 시 투여하여 아기의 발달을 가속하는 데 이용 가능하다. 또한 플루드로코르티손과 병용해 부신겉질부전에 쓰기도 한다.[3] 알약 같은 경구 제형, 혹은 크림, 로션, 액체형 같은 피부 도포용 제형이 존재한다.[3][4]

베타메타손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8S,9R,10S,11S,13S,14S,16S,17R)-9-Fluoro- 11,17-dihydroxy-17-(2-hydroxyacetyl)-10,13,16-trimethyl- 6,7,8,9,10,11,12,13,14,15,16,17-dodecahydro- 3H-cyclopenta[a]phenanthren-3-one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378-44-9
ATC 코드 A07EA04 C05AA05 D07AC01 D07BC01 D07CC01 D07XC01 H02AB01 R01AD06 R03BA04 S01BA06 S01BB04 S01CA05 S01CB04 S02BA07 S03BA03 S03CA06
PubChem 9782
드러그뱅크 DB00443
ChemSpider 9399
화학적 성질
화학식 C22H29FO5 
분자량 ?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CYP3A4
생물학적 반감기 36~54시간
배출 콩팥 (소변)
처방 주의사항
허가 정보

US Daily Med:바로가기

임부투여안전성 C(오스트레일리아)[1]
법적 상태
  • AU: S4 (처방전 필요)
  • UK: POM (Prescription only)[2]
  • US: ℞-only
  • In general: ℞ (Prescription only)
투여 방법 경구 투여, 국소 투여, 근육 주사

심한 부작용에는 감염 위험 증가, 근육 쇠약, 중증 알레르기 반응인 아나필락시스, 정신증 등이 있다.[3] 장기간 사용 시 부신이 기능부전 상태에 빠질 수 있다.[3] 따라서 장기간 사용 중 갑자기 투여를 중단하는 것은 위험하며, 서서히 용량을 줄이면서 투여를 중단한다.[3] 크림 제형의 흔한 부작용은 털이 많이 나는 다모증과 피부 자극이다.[4] 베타메타손은 약리학적 기전상 당질 코르티코이드 계열에 속한다.[3] 덱사메타손입체 이성질체이며, 두 물질은 16번 위치에 있는 메틸기의 3차원상 방향만 다르다.[5]

1958년 특허가 출원되었으며, 미국에서 사용이 승인된 것은 1961년이다.[3][6] 크림과 연고 제형이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7] 복제약으로 이용 가능하다.[3] 2021년 한 해 기준으로 미국에서 100만 건 이상 처방되어, 251번째로 많이 처방된 약물인 것으로 집계되었다.[8][9]

각주

편집
  1. “Betamethasone Use During Pregnancy”. 《Drugs.com》. 2019년 12월 30일. 2020년 3월 29일에 확인함. 
  2. “Betamethasone 500 microgram Soluble Tablets -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SmPC)”. 《(emc)》. 2018년 4월 5일. 2020년 3월 29일에 확인함. 
  3. “Betamethasone”.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5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일에 확인함. 
  4. “Betamethasone topical”.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5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일에 확인함. 
  5. Antignac JP, Le Bizec B, Monteau F, Andre F (January 2002). “Differentiation of betamethasone and dexamethasone using liquid chromatography/positive electrospray tandem mass spectrometry and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Journal of Mass Spectrometry》 37 (1): 69–75. Bibcode:2002JMSp...37...69A. doi:10.1002/jms.260. PMID 11813313. 
  6. Fischer J, Ganellin CR (2006). 《Analogue-based Drug Discovery》. John Wiley & Sons. 485쪽. ISBN 9783527607495. 
  7.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1st list 2019》.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hdl:10665/325771. WHO/MVP/EMP/IAU/2019.06. License: CC BY-NC-SA 3.0 IGO. 
  8. “The Top 300 of 2021”. 《ClinCalc》. 2024년 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월 14일에 확인함. 
  9. “Betamethasone - Drug Usage Statistics”. 《ClinCalc》. 2024년 1월 1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