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데소니드

부신 피질 호르몬제

부데소니드(budesonide)는 풀미코트(Pulmicort) 등 다양한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당질 코르티코이드 약제이다.[7] 흡입제, 분무제, 알약, 비강 스프레이, 좌약 등 다양한 제형이 존재한다.[7][8] 흡입제는 천식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의 장기간 관리에 이용한다.[7][9][10] 비강 스프레이 제제는 알레르기성 비염비용종(코폴립) 치료에 쓰인다.[8][11] 변형방출 알약이나 캡슐, 혹은 좌약 등은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현미경적 대장염 같은 염증성 장 질환에 사용 가능하다.[12][13][14]

부데소니드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11β,21-Dihydroxy-16α,17α-[butane-1,1-diylbis(oxy)]pregna-1,4-diene-3,20-dione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51333-22-3
ATC 코드 A07EA06 D07AC09, R01AD05, R03BA02
PubChem 40000
드러그뱅크 DB01222
ChemSpider 4444479
화학적 성질
화학식 C25H34O6 
분자량 ?
유의어 BUD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10~20% (초회 통과 효과)
단백질 결합 85~90%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CYP3A4
생물학적 반감기 2.0~3.6시간
배출 소변, 대변
처방 주의사항
허가 정보

US Daily Med:바로가기

임부투여안전성 A(오스트레일리아)/ B3
법적 상태
투여 방법 경구 투여, 비강내 투여, 기관내, 직장, 흡입제

흡입제의 흔한 부작용에는 호흡기 감염, 기침, 두통이 있다.[15] 알약의 흔한 부작용은 피로감, 구토, 관절통이다.[15] 심각한 부작용은 감염 위험 증가, 골강도 감소, 백내장 등이 있다.[15] 알약 제형을 장기간 사용할 시 부신기능부전에 빠질 수 있다.[15] 이 때문에 알약을 장기간 사용하다가 갑자기 사용 중단할 시 위험할 여지가 있다.[15] 흡입제는 임신 중 사용해도 안전하다고 여겨진다.[15] 부데소니드의 주된 약리학적 활성은 당질 코르티코이드 작용이다.[15]

부데소니드는 1973년 최초로 특허가 출원되었다.[16] 천식 치료약으로 상업적 사용이 시작된 것은 1981년이다.[17]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18] 일부 제형은 복제약으로도 이용 가능한 상태이다.[19][20] 2021년 한 해 기준으로, 미국에서 200만 건 넘게 처방되면서 전체 약제 중 처방 횟수로 185등에 올랐다.[21][22]

의학적 사용

편집

부데소니드는 천식의 유지 관리 및 예방적 치료를 위해 정량흡입기분무기로 투여한다. 특히 경구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치료가 필요하지만, 흡입제로 전신 투여 용량을 줄여 이득을 볼 수 있는 환자에게 유용하다.[23]

염증성 장 질환

편집

지연방출 부데소니드 제형은 돌창자 또는 오름잘록창자를 침범한 경도에서 중등도의 활성 크론병 환자에게 유용하다.[24] 코크란 리뷰에서는 최대 3개월간 유지 치료 시 크론병 관해에 유용하다는 근거를 발견했다.[25]

또한 활성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관해 유도에 보조 약제로 사용 가능하다.[26]

현미경적 대장염에 대한 효과가 매우 뛰어나 관해 유도 및 유지 약제로 권고된다. 이는 림프구성 대장염교원성 대장염 두 형태 모두에 해당한다.[27][28]

알레르기성 비염

편집

비강 스프레이 제형은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제로 쓰인다.[29]

호산구성 식도염

편집

국소 부데노시드 투여는 호산구성 식도염에 상당한 치료 효과를 보인다.[30] 호산구성 식도염 치료용으로는 구강 내에서 분해 및 확산되는 알약 제형이 쓰이며, 상품명은 조베자(Jorveza)이다.[31]

IgA 신증

편집

부데소니드는 원발성 IgA 신증(버거병)이 있고 질병의 빠른 진행 위험이 있는 성인 환자의 단백뇨 감소 목적으로 사용된다. 해당 목적의 제형은 미국에선 타르페요(Tarpeyo), 유럽에서는 킨페이고(Kinpeygo)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다.[2][32][6]

각주

편집
  1. “Regulatory Decision Summary - Uceris”. 《Health Canada》. 2014년 10월 23일. 2022년 6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6월 4일에 확인함. 
  2. “Tarpeyo- budesonide capsule, delayed release”. 《DailyMed》. 2021년 12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24일에 확인함. 
  3. “Pulmicort Flexhaler- budesonide aerosol, powder”. 《DailyMed》. 2021년 9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24일에 확인함. 
  4. “Eohilia- budesonide suspension”. 《DailyMed》. 2024년 2월 9일. 2024년 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2월 26일에 확인함. 
  5. “Jorveza EPAR”. 《European Medicines Agency (EMA)》. 2018년 9월 17일. 2023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3일에 확인함. 
  6. “Kinpeygo EPAR”. 《European Medicines Agency (EMA)》. 2022년 5월 17일. 2023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3일에 확인함. 
  7. “Budesonide”.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5년 11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일에 확인함. 
  8. “Budesonide eent”.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5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일에 확인함. 
  9. De Coster DA, Jones M (2014). “Tailoring of corticosteroids in COPD management”. 《Current Respiratory Care Reports》 3 (3): 121–132. doi:10.1007/s13665-014-0084-2. PMC 4113685. PMID 25089228. 
  10. Christophi GP, Rengarajan A, Ciorba MA (2016). “Rectal budesonide and mesalamine formulations in active ulcerative proctosigmoiditis: efficacy, tolerance, and treatment approach”. 《Clinical and Experimental Gastroenterology》 9: 125–30. doi:10.2147/CEG.S80237. PMC 4876845. PMID 27274301. 
  11. Rudmik L, Schlosser RJ, Smith TL, Soler ZM (July 2012). “Impact of topical nasal steroid therapy on symptoms of nasal polyposis: a meta-analysis”. 《The Laryngoscope》 122 (7): 1431–7. doi:10.1002/lary.23259. PMID 22410935. S2CID 25637461. 
  12. Silverman J, Otley A (July 2011). “Budesonide in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Expert Review of Clinical Immunology》 7 (4): 419–28. doi:10.1586/eci.11.34. PMID 21790284. S2CID 32892611. 
  13. Pardi DS, Tremaine WJ, Carrasco-Labra A (January 2016). “American Gastroenterological Association Institute Technical Review on the Medical Management of Microscopic Colitis”. 《Gastroenterology》 150 (1): 247–274.e11. doi:10.1053/j.gastro.2015.11.006. PMID 26584602. 
  14. 《British national formulary: BNF 58》 58판. British Medical Association. 2009. 56–57쪽. ISBN 9780857111562. 
  15. “Budesonide”.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5년 11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일에 확인함. 
  16. Domeij B (2000). 《Pharmaceutical patents in Europe》. The Hague: Kluwer Law International. 278쪽. ISBN 9789041113481. 2015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7. Hamley P (2015). 《Small Molecule Medicinal Chemistry: Strategies and Technologies》. John Wiley & Sons. 390쪽. ISBN 9781118771693. 2015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8.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1st list 2019》.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hdl:10665/325771. WHO/MVP/EMP/IAU/2019.06. License: CC BY-NC-SA 3.0 IGO. 
  19. Hamilton R (2015). 《Tarascon Pocket Pharmacopoeia 2015 Deluxe Lab-Coat Edition》. Jones & Bartlett Learning. 451쪽. ISBN 9781284057560. 
  20. “First Generic Drug Approvals 2023”.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23년 5월 30일. 2023년 6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6월 30일에 확인함. 
  21. “The Top 300 of 2021”. 《ClinCalc》. 2024년 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월 14일에 확인함. 
  22. “Budesonide - Drug Usage Statistics”. 《ClinCalc》. 2017년 4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1월 14일에 확인함. 
  23. Global Strategy for Asthma Management and Prevention, Global Initiative for Asthma (GiNA) 2011. Available at https://www.ginasthma.org 보관됨 14 10월 2013 - 웨이백 머신
  24. Lichtenstein GR, Hanauer SB, Sandborn WJ (2009). “Management of Crohn's Disease in Adults”. 《Am J Gastroenterol》 104 (2): 465–83. doi:10.1038/ajg.2008.168. PMID 19174807. S2CID 10176441. 
  25. Kuenzig ME, Rezaie A, Seow CH, Otley AR, Steinhart AH, Griffiths AM, 외. (2014). “Budesonide for maintenance of remission in Crohn's disease.”. 《Cochrane Database Syst Rev》 8 (8): CD002913. doi:10.1002/14651858.CD002913.pub3. PMC 7133546. PMID 25141071. 
  26. Habal FM, Huang VW (2012). “Review Article: A Decision-Making Algorithm For the Management of Pregnancy in the Inflammatory Bowel Disease Patient”. 《Aliment Pharmacol Ther》 35 (5): 501–15. doi:10.1111/j.1365-2036.2011.04967.x. PMID 22221203. S2CID 34662981. 
  27. Pardi DS, Tremaine WJ, Carrasco-Labra A (January 2016). “American Gastroenterological Association Institute Technical Review on the Medical Management of Microscopic Colitis”. 《Gastroenterology》 150 (1): 247–274.e11. doi:10.1053/j.gastro.2015.11.006. PMID 26584602. 
  28. Miehlke S, Guagnozzi D, Zabana Y, Tontini GE, Kanstrup Fiehn AM, Wildt S, Bohr J, Bonderup O, Bouma G, D'Amato M, Heiberg Engel PJ, Fernandez-Banares F, Macaigne G, Hjortswang H, Hultgren-Hörnquist E, Koulaouzidis A, Kupcinskas J, Landolfi S, Latella G, Lucendo A, Lyutakov I, Madisch A, Magro F, Marlicz W, Mihaly E, Munck LK, Ostvik AE, Patai ÁV, Penchev P, Skonieczna-Żydecka K, Verhaegh B, Münch A (February 2021). “European guidelines on microscopic colitis: United European Gastroenterology and European Microscopic Colitis Group statements and recommendations”. 《United European Gastroenterology Journal》 9 (1): 13–37. doi:10.1177/2050640620951905. PMC 8259259. PMID 33619914. 
  29. Stanaland BE (April 2004). “Once-daily budesonide aqueous nasal spray for allergic rhinitis: a review”. 《Clinical Therapeutics》 26 (4): 473–92. doi:10.1016/s0149-2918(04)90050-1. PMID 15189745. 
  30. Rawla P, Sunkara T, Thandra KC, Gaduputi V (December 2018). “Efficacy and Safety of Budesonide in the Treatment of Eosinophilic Esophagitis: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and Non-Randomized Studies”. 《Drugs in R&D》 18 (4): 259–269. doi:10.1007/s40268-018-0253-9. PMC 6277325. PMID 30387081. 
  31. UK Drug Information
  32. “FDA approves first drug to decrease urine protein in IgA nephropathy, a rare kidney diseas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21년 12월 17일. 2021년 12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2월 18일에 확인함.    이 문서는 퍼블릭 도메인 출처의 본문을 포함합니다.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