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태(扶餘泰, 생몰년 미상)는 백제 의자왕의 차남이다.

생애

편집

백제의 마지막 인 의자왕의 차남이다. 660년(의자왕 20년) 연합군이 백제군을 물리치고 수도 사비육박하자 의자왕과 태자[1]웅진으로 피신하였다. 사비성에 남아있던 부여태는 내성이 포위당하는 와중에도 외람히 왕을 칭하였다. 의자왕의 적손 부여문사는 ‘왕과 태자가 을 나갔는데 숙부가 멋대로 왕을 칭했으니 당군이 물러나면 우리 부자(父子)는 안전하지 못할 것’이라며 그 측근을 데리고 성 아래로 내려갔다. 여기에 많은 사람들이 따라가 부여태도 말릴 수 없었다. 소정방의 병사가 성에 올라 당나라 깃발까지 꽂으니 성문을 열고 항복하였다. 백제 멸망 후 낙양으로 끌려갔으며 이후의 행적은 기록이 없어 알 수 없다.

가계

편집

형은 부여융 아니면 부여효 중 하나로 기록이 상이하며 부여태를 제외한 나머지 형제들의 순서도 정확히 알 수 없다.


무왕의자왕부여융?
은고부여태
부여효
부여연
부여풍
부여용
부여충승
扶餘忠勝
부여충지
부여선광

부여태가 등장한 작품

편집

TV 드라마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백제의 마지막 태자에 대해 《구당서》, 《신당서》, 《자치통감》, 〈대당평백제국비〉, 〈당유인원기공비〉 등 중국의 기록은 부여융이라 하고, 《삼국사기》는 부여효라 하였다. 《삼국사기》28권 백제본기 제6 의자왕 20년, 44권 열전 제4 김인문

참고 문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