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Eclma01/연습장

이휴복
李休復
인원부원군
仁原府院君
신상정보
출생일 1568년 3월 19일 (음력)
출생지 경상우도 함안군 평광리 (현 군북면 명광리)
사망일 -
사망지 -

이휴복(李休復, 1568 ~ 1633)은 조선 중기에 문신과 무신이고 공신이다. 본관은 인천이고, 자(字)는 사장(士長), 호는 양졸정(養拙亭), 봉호는 인원부원군(仁原府院君)이며 별장 · 순천군수 · 병마절도사 · 좌찬성을 지냈다.

생애

편집

출생과 유년기

편집

이휴복은 1568년 3월 19일에 아버지 이인(李寅)과 정부인 경주 박씨 사이에 차남으로 태어났다. 자(字)는 사장(士長)으로, 어릴적 부터 그의 타고난 자질이 간직하고 깨끝하였다고 전해진다. 그는 조선 초기에 대제학, 대사헌, 판서를 역임한 공도공(恭度公) 이문화(李文和)의 8대손이고[1] 건원릉(健元陵) · 덕릉(德陵)의 참봉(參奉)과 학자인 모암(茅庵) 박희삼(朴希參)의 외손자이다.

8살에는 외삼촌 황암(篁嵒) 박제인(朴齊仁, 1536 ~ 1618)[2]으로 부터 소학(小學)을 배우고[3] 그후에는 유학자인 황곡(篁谷) 이칭(李稱, 1535 ~ 1600)[4]의 문하에서 공부하였다[5].

임진왜란때 활동

편집

그는 1592년에 조선이 침략 되었을 때 25살이었다. 임진왜란의 첮년에는 일본군이 부산진성을 함락한 후 제1 · 2 · 3군으로 나누어져 제3군은 구로다 나가마사가 지휘하여 1594년에 강화 회담을 시작할 때까지 제3군은 경상도 해안선 근처 지역에 공략(攻掠)을 집중하였다. 6월에는 함안군수(咸安郡守) 류숭인(柳崇仁)이 전쟁터에 나가있을때 함안 지역을 일본군이 약탈하여 백성들이 흩어지고 성은 비어졌다[6]. 이 혼란 가운데 이휴복의 부모님과 형 이형복(李亨復)과 그의 아내가 죽고 가족에는 그만 살아남았다[7].

가족이 죽임당하고, 그를 가르쳤던 황암선생과 진주로 피난하였다. 2년 후에는 상(祥)을 마치고 나라의 굴욕을 갚을거라고 맹세하여 학습을 포기하고[5] 의병을 일으켜서 경상우도 지역에서 게릴라전을 벌였다[8]. 1597년에 정유재란이 시작하자 의병을 거느리고 의병장과 경상좌도 방어사(防禦使)였던 곽재우(郭再祐)의 휘하에 의병을 합하고 8월에는 화왕산성 전투에서 전공을 세웠다[5]. 이것의 의하여 선무원종공신 1등에 책훈되었다.

무관은 문관으로서 뛰어날 수 있다?

편집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이 끝난후, 이휴복은 계속 무예를 닦아서 1606년에는 무과 시험에서 을과 5위로 합격하였다[9]. 이것에 의하여 정8품 승의부위(承義副尉)의 품계를 제수받았다[5].

각주

편집
  1. 인천 이씨 공도공파의 파조이다: 이문화는 14세손, 이휴복은 22세손
  2. 임진왜란때는 의병이기도 하였다. 그의 형, 송암(松嵒) 박재현(朴齊賢)과 그는 문정공(文貞公)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제자들 이였다.
  3. “함안의 인물: 은덕군자로 칭송받은 박제인(朴齊仁)”. 《함안뉴스》. 2023년 8월 2일. 2024년 6월 15일에 확인함. 
  4. 광평 이씨. 명종 13년(1558)에 생원시에 급제하였다. 1587년에는 그와 군인(郡人) 학자들인 박제인(朴齊仁, 이휴복에게 소학을 가르친 자와 같다) · 이정(李瀞) · 오운(吳澐) 등이 현존하는 읍지 중에서 가장 오래된 함주지(咸州誌)를 편찬하였다.
  5. “이휴복 유사(李休復 遺史)”. 인천이씨 공도공파종회. 
  6. 선조실록27권, 선조 25년 6월 28일 병진 4번째 기사
    (전략)
    함안 군수(咸安郡守) 유숭인(柳崇仁)장기간 전쟁터에 나가 있어 백성들이 흩어져 성이 빈 지가 거의 1개월이 되었는데도 왜적들이 아직 쳐들어오지 아니하였는데, 이달 중에 순찰사가 비로소 군수로 하여금 돌아가 그 고을을 지키도록 하였습니다. 14일에 왜적들이 쳐들어와 여염집을 분탕질하자 군수가 흩어져 도망한 사람 1백여 명을 소집하여 연일 공격하니 왜적들이 어지간히 퇴각하여 흩어졌는데, 순찰사가 군수를 근왕한 일로 불러가자 왜적이 이미 온 군(郡)안에 두루 널렸습니다.
    (후략)
    참고: '순찰사'는 경상우도(慶尙右道) 관찰사(觀察使) 김수(金睟)를 말하는 것이다.
  7. 《인천이씨대동보》 1판. 인천이씨대종회. 2004년. 510쪽. 
  8. “이휴복”. 디지털함안문화대전. 
  9. “[무과] 선조(宣祖) 39년(1606) 병오(丙午)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5위(8/37)”.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