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현

달의 위상의 하나

상현(한자:上弦, 영어: first quarter)은 이 지난 뒤 지구태양, 지구와 을 잇는 직선이 직각이 되어 달의 서쪽 절반을 볼 수 있게 되는 시기 혹은 그 현상을 가리킨다. 상현달은 해가 진 후 남쪽 하늘에서 볼 수 있지만, 사실상으로서는 한낮에도 관측이 가능하다. 한낮무렵에 동쪽하늘에 뜬다. 그리고, 상현달이 서쪽하늘에 떠있을 경우에는 이때부터 하루를 넘기는 일이 시작된다. 즉, 상현달이 서쪽하늘에 있을 경우에는 한밤중이 된 상황이다. 그리고, 상현달 이후부터는 달이 하루 지날 때마다 평균적으로 매일 50분씩 늦게 뜨기 때문에 상현달을 지난 달은 뜨는 시간도 점점 늦어지는 건 물론이고, 한밤중을 시점으로 하자면 달도 하루를 넘긴다 해도 지는 시간이 점점 늦어지게 된다. 그래서, 보름달이 되기 직전인 음력 12~14일이 된 달이 서쪽으로 넘어가는 시기에는 이미 새벽까지 가게 된다. 결과적으로는 초승달을 제외하고는 상현달 이후로부터는 모두 하루를 넘긴다. 보이는 형태는 활 모양의 현을 엎어 놓은 것 같은 반원 모양의 달이다. 상현달은 질 때에 활 모양의 현을 위로 향하는 거와 비슷하여 위(상), 시위(현)자를 붙여 상현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

기타

편집

음력 7일, 8일에 "항상" 상현달이 뜨지는 않는다. 지구 주위를 에 가까운 타원형으로 공전하는데 (달의 공전 궤도 이심률은 0.05488이다.[1]), 달이 원지점[2]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음력 9일에 상현달이 뜬다.[3]

또한, 상현달이 뜰 때에는 밀물썰물 사이의 높이 차이, 즉 조수간만의 차, 조차가 가장 적다. 이는 하현달일 때에도 마찬가지이다.[4]

각주

편집
  1. 완벽한 원의 이심률이 0이므로, 이심률이 0에 가까울수록, 공전 궤도가 원에 가깝다는 말이다.
  2. 달의 공전 궤도 중에서 지구와의 거리가 가장 먼 지점
  3. 다시 말하면, 달의 위상은 신월, 상현달, 보름달, 하현달, 그믐달 순인데, 신월에서 상현달을 거쳐 보름달로 갈 때, 이때의 공전 궤도 중에 원지점이 있다면, 음력 9일에 상현달이 뜬다는 것이다.
  4. 음력 7일, 8일에 "항상" 조차가 가장 적은 것이 아니다. 이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했다.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