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진관사 영산회상도
서울 진관사 영산회상도(서울 津寬寺 靈山會上圖)는 석가모니가 영축산에서 설법하는 모습을 묘사한 후불탱화로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외동에 위치한 진관사의 나한전에 봉안되어 있다. 2002년 3월 15일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제145호로 지정[1]되었다.
![]() | |
![]() | |
종목 | 유형문화재 제145호 (2002년 3월 15일 지정) |
---|---|
수량 | 1폭 |
시대 | 조선시대 |
위치 | |
주소 |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4로 107 (진관동) |
좌표 | 북위 37° 38′ 17″ 동경 126° 56′ 22″ / 북위 37.63806° 동경 126.93944° |
정보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
개요 편집
진관사는 고려 현종이, 왕위에 오르기 전 자신의 목숨을 구해준 진관조사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지은 절로서 조선시대에는 수륙재의 근본 도량이었다. 현재 대웅전과 명부전을 비롯해 홍제루, 동정각, 나한전, 독성각, 칠성각, 나가원, 객실 등의 건물이 있다.
이 영산회상도는 가로 약 1.7m, 세로 약 1.1m 크기이며 화면 오른쪽 하단의 화기에 의하면 1884년에 왕실 상궁의 발원으로 영산전의 후불탱화로서 십육나한탱 네 폭, 석제·환인·사자탱 두 폭, 관음탱 한 폭 등과 함께 일괄적으로 조성되었다. 즉, 이 영산회상도는 원래는 나한전이 아니라 산전에 봉안되었던 후불탱화였음을 알 수 있다. 가로로 긴 화면의 중앙에 석가모니가 설법하는 모습을 두고 그 옆에 네 보살과 사천왕, 여섯 명의 제자를 배치했으며 화면의 빈 공간에는 여러 빛깔의 아름다운 구름을 가득 그려 넣었다.
지정사유 편집
이 불화는 靈鷲山에서 설법하는 석가모니를 그린 靈山會上圖로서 1884년에 제작되었다.[1]
가로로 긴 화면의 중앙에는 釋迦牟尼가 說法하는 모습을, 그리고 그 옆에 네 菩薩과 四天王, 여섯 명의 弟子를 배치하였는데 화면의 빈 공간에 彩雲을 가득 그려 넣어 전체적으로 여백없이 빽빽한 화면 구성을 보여준다.[1]
본존인 석가모니는 붉은 색의 법의를 입고 蓮花臺座 위에 結跏趺坐한 모습으로서 量感 있는 얼굴과 당당한 신체로 인하여 건장한 느낌을 준다. 몸에는 通肩의 法衣를 걸치고 있으며 두 손은 왼손을 가슴 위로 올리고 오른손을 배에 댄 채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있어 마치 아미타수인(阿彌陀手印)과 같은 손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手印은 일반적인 釋迦牟尼의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과는 사뭇 다른지만 조선 후기에는 불상과 불화에서 이와 같은 手印이 자주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釋迦牟尼의 手印으로 보아도 무방하다.[1]
本尊의 좌우에는 文殊菩薩과 普賢菩薩이 두 손으로 커다란 연꽃(白蓮)을 들고 본존을 향해 侍立하고 있으며, 그 옆으로는 四天王이 각각 칼과 비파(향우측), 용과 여의주 및 탑(향좌측)을 들고 있다. 그리고 이들의 옆과 위로는 두 菩薩과 상체만 드러난 채 합장을 하고 있는 弟子가 좌우에 각각 3명씩 묘사되었다.[1]
화면의 향우측 하단에 적힌 畵記에 의하면 이 불화는 19세기 후반에 왕실의 상궁에 의하여 발원되어 조성되었는데, 靈山殿의 後佛上壇幀으로서 16羅漢禎 4폭, 釋帝桓因使者幀 2폭, 觀音幀 1폭 등과 함께 1884년에 일괄적으로 조성되었다. 따라서 원래는 羅漢殿이 아니라 靈山殿에 봉안되었던 것임을 알 수 있다.[1]
횡축의 화면과 단아한 형태, 밝은 주조색 등 19세기 말의 불화 특징을 보여주고 있는 靈山會上圖로서 당대 불화 중 대표작에 속한다.[1]
각주 편집
참고 자료 편집
- 서울 진관사 영산회상도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본 문서에는 서울특별시에서 지식공유 프로젝트를 통해 퍼블릭 도메인으로 공개한 저작물을 기초로 작성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