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구 갑

서울 성북구 갑은 대한민국 국회의 국회의원이 대표하는 지역구로, 서울특별시 성북구 일부 지역을 관할한다. 현 지역구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의 김영배 (초선, 2020년~)이다.
성북구 갑 | |
---|---|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 | |
현 선거구 | |
신설연도 | 1988년 |
국회의원 | 김영배 (더불어민주당) |
의원 수 | 1인 |
이전 선거구 | 성북구 |
중복되는 선거구 |
역사편집
선거구편집
'성북구 갑'이라는 이름으로 지금의 형태를 갖춘 것은 1988년 제13대 총선부터이며, 그 이전에는 성북구의 행정구역 변경과 함께 수많은 변화를 거쳐왔다.
성북구가 1949년 8월 13일 동대문구의 돈암동·안암동·종암동·성북동과 고양군 숭인면을 합쳐 생겨나면서, 그 다음 해인 1950년 제2대 총선부터 '성북구 (제6선거구)'라는 단일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58년 제4대 총선에서는 제9선거구로 변경되었으며 1960년 제5대 민의원까지 유지되었다.
1963년 1월 1일 경기도 양주군 노해면이 성북구에 편입되고, 그해 제6대 총선부터 성북구 지역구가 성북구 갑과 성북구 을로 분할되었다. 당시 성북구 갑의 관할 지역은 성북동, 동소문동, 동선동, 삼선동, 안암동, 정릉동이었으며, 이후 1971년 제7대 총선에서는 삼선동이 남-서-북, 안암동이 동-남-서로 각각 분할되고 정화동이 신설되는 행정구역 개편이 선거구 지역 관할에도 적용되었다. 1973년 성북구 병 (1971년 신설)에 해당되던 성북구의 일부가 도봉구로 분리 독립되면서, 제9대 총선부터 성북구 갑은 성북구 을과 함께 성북구로 병합되었다. 같은해 중선거구제 도입으로 국회의원 2인을 선출하게 되었다.
소선거구제로 회귀한 1988년 제13대 총선에서는 성북구가 다시 성북구 갑과 성북구 을로 재분할되었다. 당시 성북구 갑의 관할 지역은 성북동, 동소문동, 삼선동, 동선동, 돈암2동, 안암동, 보문동, 정릉동, 길음1·2동이었으며 이후 2007년 동소문동을 폐지하고 2008년 제18대 총선에서 길음2동을 성북구 을로 넘기면서 지금에 이른다.
관할 구역편집
대수 | 관할 구역 |
---|---|
13대 ~ 17대 | 성북구 성북1동, 성북2동, 동소문동, 삼선1동, 삼선2동, 동선1동, 동선2동, 돈암2동, 안암동, 보문동, 정릉1동, 정릉2동, 정릉3동, 정릉4동, 길음1동, 길음2동 |
18대 ~ 현재 | 성북구 성북동, 삼선동, 동선동, 돈암2동, 안암동, 보문동, 정릉1동, 정릉2동, 정릉3동, 정릉4동, 길음1동 |
역대 국회의원편집
1988년 이전에 당선된 국회의원은 서울 성북구의 국회의원을 참고하라.
선거 | 의원 | 정당 | 비고 | |
---|---|---|---|---|
1988 | 이철 | 무소속 | ||
1992 | 민주당 | |||
1996 | 유재건 | 새정치국민회의 | 새정치국민회의 부총재 열린우리당 의장 | |
2000 | 새천년민주당 | |||
2004 | 열린우리당 | |||
2008 | 정태근 | 한나라당 | ||
2012 | 유승희 | 민주통합당 | ||
2016 | 더불어민주당 | |||
2020 | 김영배 | 더불어민주당 |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 | 선거 결과 | 후보 | 정당 | 득표 | % | ±% | ||
---|---|---|---|---|---|---|---|---|
1988년 제13대 총선 유권자수: 191,086 투표수: 131,515 | 무소속 승리 | 이철 | 무소속 | 40,652 | 31.15 | |||
김정례 | 민주정의당 | 30,603 | 23.45 | |||||
고인순 | 통일민주당 | 10,578 | 8.10 | |||||
설훈 | 평화민주당 | 29,482 | 22.59 | |||||
최재우 | 신민주공화당 | 16,326 | 12.51 | |||||
김현식 | 한겨레민주당 | 953 | 0.73 | |||||
송영기 | 사회민주당 | 1,882 | 1.44 | |||||
1992년 제14대 총선 유권자수: 186,008 투표수: 125,490 | 민주당 승리 | 이철 | 민주당 | 61,719 | 49.70 | |||
김정례 | 민주자유당 | 43,846 | 35.31 | |||||
유인현 | 통일국민당 | 14,243 | 11.47 | |||||
송영기 | 신정치개혁당 | 4,354 | 3.50 | |||||
1996년 제15대 총선 유권자수: 181,721 투표수: 109,833 | 새정치국민회의 승리 | 유재건 | 새정치국민회의 | 39,159 | 36.06 | |||
심의석 | 신한국당 | 22,695 | 20.89 | |||||
이철 | 민주당 | 34,555 | 31.82 | |||||
채수호 | 자유민주연합 | 8,042 | 7.40 | |||||
송영기 | 무당파국민연합 | 1,440 | 1.32 | |||||
김세현 | 무소속 | 1,728 | 1.59 | |||||
임태백 | 무소속 | 971 | 0.89 | |||||
2000년 제16대 총선 유권자수: 178,403 투표수: 94,599 | 새천년민주당 승리 | 유재건 | 새천년민주당 | 44,845 | 47.93 | |||
정태근 | 한나라당 | 42,296 | 45.21 | |||||
전제웅 | 민주국민당 | 1,528 | 1.63 | |||||
정회진 | 청년진보당 | 4,881 | 5.21 | |||||
2004년 제17대 총선 유권자수: 169,441 투표수: 104,657 | 열린우리당 승리 | 유재건 | 열린우리당 | 44,531 | 42.84 | |||
정태근 | 한나라당 | 42,280 | 40.67 | |||||
임영화 | 새천년민주당 | 8,049 | 7.74 | |||||
성태진 | 자유민주연합 | 1,090 | 1.04 | |||||
김준수 | 민주노동당 | 7,282 | 7.00 | |||||
배기수 | 무소속 | 714 | 0.68 | |||||
2008년 제18대 총선 유권자수: 190,021 투표수: 84,458 | 한나라당 승리 | 정태근 | 한나라당 | 46,260 | 55.39 | |||
손봉숙 | 통합민주당 | 30,736 | 36.80 | |||||
정태흥 | 민주노동당 | 5,127 | 6.13 | |||||
김형준 | 평화통일가정당 | 1,392 | 1.66 | |||||
2012년 제19대 총선 유권자수: 200,755 투표수: 107,914 (53.8%) | 민주통합당 승리 | 유승희 | 민주통합당 | 54,057 | 51.3 | |||
정태근 | 무소속 | 47,234 | 44.8 | |||||
강승규 | 국민생각 | 3,067 | 2.9 | |||||
최덕찬 | 미래연합 | 1,095 | 1.0 | |||||
2016년 제20대 총선 유권자수: 201,457 투표수: 122,147 (55.7%) | 더불어민주당 유자 | 유승희 | 더불어민주당 | 57,819 | 47.9 | |||
정태근 | 새누리당 | 43,789 | 36.3 | |||||
도천수 | 국민의당 | 17,883 | 14.8 | |||||
박철우 | 민중연합당 | 1,273 | 1.1 | |||||
2020년 제21대 총선 유권자수: 202.294 투표수: 138,186 | 더불어민주당 승리 | 김영배 | 더불어민주당 | 82,954 | 60.90 | |||
한상학 | 미래통합당 | 49,727 | 36.50 | |||||
박춘림 | 민생당 | 2,642 | 1.93 | |||||
최원용 | 국가혁명배당금당 | 880 | 0.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