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석용(成石瑢, 1352년[1] ~ 1403년 4월 26일)은 고려조선 초의 문신이다.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자옥(自玉), 호는 회곡(檜谷)[2]이다. 성여완(成汝完)의 차남이자 성달생(成達生)·성개(成槪)의 아버지이다.

성석용
成石瑢
고려밀직부사

신상정보
출생일 1352년
사망일 1403년 4월 26일
국적 고려
조선
학력 문과급제
경력 밀직부사
본관 창녕(昌寧)
직업 문신

생애

편집

1376년(우왕 2) 을과(乙科) 3위로 문과에 급제했다.[2]

공양왕(恭讓王)조에 대언(代言)으로 임명되었으며, 1390년(공양왕 2) 1월 왕이 처음으로 경연(經筵)을 열었을 때 이행(李行)·민개(閔開)·이사위(李士渭)와 함께 참찬관(叅贊官)으로 임명되었다.

12월 지신사(知申事), 이듬해 밀직사부사(密直司副使)를 거쳤다.[3]

1392년(공양왕 4) 이색(李穡)·우현보(禹玄寶)의 당이라는 이유로 형인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성석린(成石璘) 등과 함께 외지로 유배되었으나[4], 조선이 개국된 후 원종공신(原從功臣)의 녹권을 받았으며[5], 1398년(태조 7) 대사헌(大司憲)으로 임명되었다.[6]

이후 개성유후(開城留後)로 나갔으며, 1403년(태종 3) 타계했다.[5]

시호는 문숙(文肅)이다.[7]

가족 관계

편집
  • 증조 - 성공필(成公弼)[8] : 전객부령(典客副令), 증(贈) 판도판서(版圖判書)
    • 조부 - 성군미(成君美) : 판도총랑(版圖摠郞)
      • 아버지 - 성여완(成汝完, 1309년 ~ 1397년) : 검교문하시중(檢校門下侍中), 창성부원군(昌城府院君), 문정공(文靖公)
      • 어머니 - 지신사(知申事) 나천부(羅天富)의 차녀[8]
        • 형 - 성석린(成石璘, 1338년 ~ 1423년) :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 창녕부원군(昌寧府院君), 문경공(文景公)
        • 동생 - 성석연(成石珚, ? ~ 1414년) : 예조판서(禮曹判書), 정평공(靖平公)
        • 동생 - 성석번(成石璠, ? ~ 1393년)


  • 부인 - 사온서령(司醞署令) 김성리(金成利)의 차녀[9]
    • 장남 - 성달생(成達生, 1376년 ~ 1444년) :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 양혜공(襄惠公)
    • 차남 - 성개(成槪, ? ~ 1440년) : 경기도관찰사(京畿都觀察使)
    • 3남 - 성허(成栩) : 판관(判官)

각주

편집
  1. 『양촌집』에 의하면 권근(權近)과 동갑이다.
  2. 『고려열조등과록』
  3. 『고려사』 「공양왕세가」
  4. 『고려사』 「성석린전」
  5. 『태종실록』
  6. 『태조실록』
  7. 『신증동국여지승람』
  8. 『성석린 행장』
  9. 『씨족원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