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 성씨
창녕 성씨(昌寧 成氏)는 경상남도 창녕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관향 | 경상남도 창녕군 |
---|---|
시조 | 성인보 (成仁輔) |
집성촌 | 경상남도 창녕군 대지면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대양리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 귀곡리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하당리 대전광역시 유성구 구즉동[1] |
주요 인물 | 성여완, 성사달, 성석린, 성석용, 성석인, 성부, 성달생, 성염조, 성봉조, 성승, 성삼문, 성담수, 성준, 성건, 성현, 성희안, 성몽정, 성세창, 성수침, 성운, 성수경, 성혼, 성영, 성윤문, 성이성, 의빈 성씨, 성원묵, 성기운, 성무용, 성낙인, 성완종, 성일환, 성장현, 성윤환, 성낙송, 성영훈, 성석제, 성윤모, 성시경, 성동일, 성민지, 성종진, |
인구(2015년) | 182,377명 |
비고 | 창녕 성씨 대종회 |
역사편집
창녕성씨(昌寧成氏)의 시조 성인보(成仁輔)는 고려시대 호장중윤(戶長中尹)을 역임했으며, 정월 초에 송경(松京)의 하례 모임 참석 중 병사하였다고 한다. 문하시중인 아들 성송국(成松國)이 시신을 업고 창녕으로 돌아오다가, 현풍현(玄風縣)에 이르러 현 창녕군 대지면(大地面) 모산리(牟山里) 맥산(麥山)에 안장하였다고 한다. 시조의 가계는 창녕의 호족으로 대대로 번성하여 창녕을 관향으로 삼았다고 한다.
분파편집
시조 성인보의 증손 성공필(成公弼), 성한필(成漢弼) 형제 대에 두 계통으로 갈라졌다. 성공필(成公弼)의 후손은 판서공파(判書公派)·독곡공파(獨谷公派)·회곡공파(檜谷公派)·상곡공파(桑谷公派)·낭장공파(郎將公派)·판사공파(判事公派)·시랑공파(侍郞公派)·정절공파(貞節公派)·사인공파(舍人公派)·좌랑공파(佐郞公派)의 10개 파로 분파되었고, 성한필(成漢弼)의 후손은 평리공파(評理公派)·검교공파(檢校公派)·지사공파(知事公派)의 3개 파로 분파되었다.
인물편집
분류:창녕 성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항렬자편집
- 대동항렬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편집
외부 링크편집각주편집 |
- ↑ 현재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공사로 인해 모든 집이 철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