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팔렉신
세팔렉신(cefalexin, cephalexin, 세팔레키신, 세파렉신)은 수많은 병균 감염을 치료할 수 있는 항생물질이다.[2] 병균세포벽의 성장을 방해함으로써 그람 양성균과 일부 그람 음성균을 죽인다.[2] 세팔렉신은 1세대 세팔로스포린계열의 베타-락탐계열 항생제이다.[2] 정맥주사형 세파촐린을 포함하여, 이 계열에 속하는 다른 작용제와 비슷하게 동작하지만 구강으로 섭취가 가능하다.[3]
![]() | |
![]() | |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7R)-3-Methyl-7- (α- D -phenylglycylamino) -3-cephem-4-carboxylic acid monohydrate |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15686-71-2 |
ATC 코드 | J01DB01 QJ51DB01 |
PubChem | 2666 |
드러그뱅크 | DB00567 |
ChemSpider | 25541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C16H17N3O4S |
분자량 | 347.39 g/mol |
SMILES | eMolecules & PubChem |
물리적 성질 | |
녹는점 | 326.8 °C (620 °F) |
약동학 정보 | |
생체적합성 | 잘 흡수됨 |
단백질 결합 | 15% |
동등생물의약품 | ? |
약물 대사 | 투여 6시간 내에 대사되지 않은 채 80%가 소변으로 배설됨 |
생물학적 반감기 | 콩팥 기능이 정상인 성인에서, 혈청 반감기는 0.6~1.2시간[1] |
배출 | 콩팥 |
처방 주의사항 | |
허가 정보 | |
임부투여안전성 | A(오스트레일리아)B(미국) |
법적 상태 | |
투여 방법 | 경구 투여 |
세팔렉신은 중이, 뼈, 관절, 피부, 요로의 감염을 포함한 특정한 세균성 감염을 치료할 수 있다.[2] 특정한 유형의 폐렴, 패혈증 인두염에 대해, 그리고 사용할 수도 있으며 세균성심내막염 예방에 사용할 수도 있다.[2] 세팔렉신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장구균, 프세우도모나스에 의해 발생되는 감염에는 효과적이지 않다.[2] 다른 항생물질들처럼 세팔렉신은 독감, 감기, 급성 기관지염과 같은 바이러스성 질병을 치료하지는 못한다.[2] 세팔렉신은 페니실린에 중간 정도의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이 사용할 수 있다.[2] 그러나 심각한 페니실린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에게는 권장되지 않는다.[2]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소화불량, 설사가 포함된다.[2] 알레르기 반응이나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감염증 감염, 설사의 요인 또한 가능하다.[2] 임신이나 모유 수유 중에 복용할 경우 태아에 위험을 초래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2][4][5] 어린이, 그리고 65세 이상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2] 신부전 환자의 경우 복용량을 줄여야 할 수 있다.[2]
세팔렉신은 1967년 개발되었다.[6] 1969년과 1970년 각각 Keflex, Ceporex 등의 이름으로 처음 마케팅되었다.[7][8] 다른 상표명의 제네릭 의약품 버전의 구매가 가능하며 비싸지 않은 편이다.[2][9] 세팔렉신은 의료제도에 필수적인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한 의약품 목록인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10] 2016년, 600만 건 이상의 처방과 더불어 미국에서 107번째로 많이 처방을 받은 약물이었다.[11] 캐나다에서는 2013년 기준으로 5번째로 흔히 사용된 항생물질이었다.[12]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상위 15개의 처방 약물 가운데 하나이다.[13]
각주
편집- ↑ McEvoy, G.K. (ed.). American Hospital Formulary Service — Drug Information 95. Bethesda, MD: American Society of Hospital Pharmacists, Inc., 1995 (Plus Supplements 1995)., p. 166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Cephalexin”.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4년 5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Apr 21, 2014에 확인함.
- ↑ Brunton, Laurence L. (2011). 〈53, Penicillins, Cephalosporins, and Other β-Lactam Antibiotics〉. 《Goodman & Gilman's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12판. New York: McGraw-Hill. ISBN 978-0071624428.
- ↑ “Prescribing medicines in pregnancy database”. 《Australian Government》. 3 March 2014. 8 April 2014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2 April 2014에 확인함.
- ↑ Wendy Jones (2013). 《Breastfeeding and Medication》. Routledge. 227쪽. ISBN 9781136178153. 2017년 9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Hey, Edmund, 편집. (2007). 《Neonatal formulary 5 drug use in pregnancy and the first year of life》 5판. Blackwell. 67쪽. ISBN 9780470750353. 2017년 9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McPherson, Edwin M. (2007).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Encyclopedia.》 3판. Burlington: Elsevier. 915쪽. ISBN 9780815518563. 2017년 9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Ravina, Enrique (2011). 《The evolution of drug discovery : from traditional medicines to modern drugs》 1. Aufl.판. Weinheim: Wiley-VCH. 267쪽. ISBN 9783527326693. 2017년 9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Hanlon, Geoffrey; Hodges, Norman (2012). 《Essential Microbiology for Pharmacy and Pharmaceutical Science》. Hoboken: Wiley. 140쪽. ISBN 9781118432433. 2017년 9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WHO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19th List)” (PDF). 《World Health Organization》. April 2015. 13 December 2016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8 December 2016에 확인함.
- ↑ “The Top 300 of 2019”. 《clincalc.com》. 2018년 12월 22일에 확인함.
- ↑ “Human Antimicrobial Drug Use Report 2012/2013” (PDF). 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 (PHAC). November 2014. March 21, 2015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February 24, 2015에 확인함.
- ↑ 《Australia's Health 2012: The Thirteenth Biennial Health Report of the 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2012. 408쪽. ISBN 9781742493053. 2017년 9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