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기천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수봉산에서 발원하여 연수구 동춘동에서 황해로 유입되는 하천

승기천(承基川)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용현동 수봉산에서 발원하여 연수구 동춘동 남동공단 유수지에서 황해로 흘러드는 하천이다.[2] 남동구 구월동 838-46에서 남동공단 유수지까지 6.20 km 구간은 대한민국의 지방하천으로 관리된다.[1] 중상류는 도시화 과정에서 대부분 복개되었으며, 지금은 하수종말처리장에서 정화한 물을 지방하천의 기점인 구월농축산물도매시장 인근에서 유입시킴으로써 하천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2]

승기천
承基川
(지리 유형: )
나라 대한민국
지방 인천광역시
도시 미추홀구 · 남동구 · 연수구
발원지 수봉산
 - 위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용현동
기타 발원지
 - 위치 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동 838-46
하구 남동공단유수지
 - 위치 인천광역시 연수구 동춘동
길이 10.33 km (6 mi)[1]
면적 33.58 km2 (13 sq mi)[1]

이름 편집

대동여지도》. 승기천.

승기천의 이름은 승학산 북쪽에 있던 마을인 승기리(承基里, 지금의 신비마을 일대)에서 따 온 것으로, 승기리는 한때 마을이 없어졌다가 도로 생겨났다 하여 붙은 이름이라는데 확실하지 않다.[3][4] 또한 ‘승기천’이라는 명칭은 《삼국사기》부터 〈대동여지도〉까지 전혀 나타나지 않는 점으로 볼 때, 후대의 누군가 창작한 이름으로 보인다.[5] 다만 유일하게 조선 철종 때의 〈동여도〉에 동천(東川)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다.[6][7]

1911년경의 《조선지지자료》에는 경기도 인천부 구읍면 관청리, 향교리(이상 현 관교동), 산성리, 학산리(이상 현 문학동)를 흐르는 하천으로 ‘관산ᄂᆡ(官山川)’라는 이름이 기록되어 있는데[8], 이는 지리상 승기천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추정된다.

역사 편집

1910년대의 지도에는 수봉산 동쪽 사충리(士忠里, 현재의 주안동 신기마을 일대)에서 시작하여 동쪽으로 흐르다가, 지금의 승기사거리(옛 동양장사거리) 부근에서 남쪽으로 흐르기 시작하여 도장리(道章里, 현재의 선학동 북쪽)에서 바다로 유입하는 하천으로 그려져 있다.[3][9] 수봉산에서 승기사거리 사이 구간은 지금의 주안2동과 4동을 동서로 통과하였다.[6] 도장리 남쪽 구간은 바다의 갯골로서 지금의 선학동, 남촌동, 논현동 부근을 흘러 나가다가[3], 대원례도소원례도의 동쪽으로 이어졌다.[9]

그러다가 지금의 연수구와 남동구 사이의 바다에 남동염전을 조성한 뒤부터는, 갯골은 남동염전 동쪽으로 흘러 옛 수인선 남동역 동쪽에서 바다로 유입되는 하천이 되었으며, 유로는 이전과 같았다. 남동염전은 인천 지역에 주안염전에 이어 두 번째로 만들어진 근대식 염전으로, 1921년에 건설되었다.[10] 조선총독부의 제3기 염전 건설 계획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남동염전은 1920년 9월부터 축조가 시작되어 1921년 12월에 준공하였는데, 척전리(尺前里, 지금의 동춘동 청량산과 봉재산 사이[11])의 1구 염전(105정보), 승기천 하구를 가로막아 만든 2구 염전(105정보), 논현리의 3구 염전(90정보)으로 구성되었다.[12]

1985년에 남동공단 건설을 위하여 한국토지개발공사갯벌을 매립하고 부지를 조성하면서[13] 남동염전이 없어지고 승기천의 직강화공사가 이루어져, 지금은 연수구와 남동공단의 경계를 이루며 흐르다가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동막역 부근에서 황해로 유입되는 하천이 되었다.[3][14] 한편, 미추홀구 일대의 승기천 중상류는 1980년대 후반에 복개되었다.[6] 어느 용현동 토박이의 증언에 의하면, 승기천 상류는 폭이 좁고 물이 맑았으며, 인천용일초등학교 쪽 수봉산 독쟁이고개에서 시작되는 물줄기와 인천기계공업고등학교 쪽에서 시작되는 물줄기가 신기마을(지금의 주안7동 쪽)에서 합쳐져 이루어진다고 한다.[15]

지류 편집

승기천의 가장 긴 지류는 문학산승학산 사이에서 발원하는 하천으로[9][2], 관교동의 여러 골짜기에서 내려오는 소하천들을 모아 동쪽으로 흘러 승기천 본류로 합류하였다.[16]

동춘동 방향, 연수동 방향, 남촌동 방향, 고잔동 방향으로 이어지는 네 갈래의 작은 갯골도 승기천 갯골로 흘러들었다.[3][17] 인천광역시 연수구 청학동 문학산 기슭에 있던 수영장인 ‘청학풀장’은 이 갯골로 흘러드는 지류의 물을 사용하였다.[16] 문학산에서 나와 청량산 동쪽을 지나 대원례도와 소원례도의 서쪽을 통과하는 지류는 조선 시대 인천군 먼우금면(遠又邇面)의 동쪽 경계를 이루기도 하였다.[18]

사진 편집

각주 편집

  1. 한강홍수통제소 하천정보센터 (2015). 《한국하천일람 2014》 (PDF). 세종: 국토교통부. 114-115쪽. 2019년 8월 1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1일에 확인함. 
  2. 장정구 (2018년 11월 9일). “인주로 주간선으로 복개된 본류, 발원지 마져 유실”. 인천in. 2019년 9월 2일에 확인함. 
  3. 박정환 (2007년 7월 22일). “인천의 하천을 찾아서-(9)승기천 발원지와 물길”. 인천신문. 2019년 9월 2일에 확인함. 
  4. 임동윤 2017, 28쪽.
  5. 최혜은 2013, 20쪽.
  6. 이창열 (2019년 5월 2일). “물이 많아 물이 흘렀던 미추홀구…승기천 본류 찾기”. 인천in. 2019년 9월 8일에 확인함. 
  7. “동천(東川) / 인천광역시”. 《한국학자료포털》. 2019년 9월 15일에 확인함. 
  8. 朝鮮総督府臨時土地調査局 (1911?). 《朝鮮地誌資料 京畿道 7》. 京城: 朝鮮総督府. 278쪽. 
  9. 임동윤 2017, 23쪽.
  10. 김학준 (2006년 7월 20일). “[인천이 원조] (15) 근대식 염전”. 서울신문. 2019년 9월 8일에 확인함. 
  11. 유창호 2014, 14쪽.
  12. 유창호 2014, 30쪽.
  13. 박정환 (2009년 8월 4일). “[땅과 사람들](12)인천의 마지막 남은 송도 갯벌”. 경향신문. 2019년 9월 15일에 확인함. 
  14. 문상범 외 2005, 22쪽.
  15. 오인영 (2019년 6월 14일). “내가 기억하는 승기천[1] - 오인영”. 《학산문화예술@TV》. 2019년 9월 15일에 확인함. 
  16. 문상범 외 2005, 85쪽.
  17. 최혜은 2013, 21쪽.
  18. 유창호 2014, 13쪽.

참고 문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