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막역
인천도시철도 1호선의 전철역 중 하나

동막역(東幕驛, Dongmak station)은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있는 인천교통공사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지하철역이다. 부역명은 저어새 생태학습관이다.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 송도국제교 하저터널로 캠퍼스타운역과 연결된다.
동막
(저어새 생태학습관) | |
---|---|
![]() 역명판 | |
![]() 승강장 | |
![]() 대합실 | |
개괄 | |
관할 기관 | 인천교통공사 1호선 역무사업소 인천대입구관리역 |
소재지 | 인천광역시 연수구 경원대로 지하80 |
좌표 | 북위 37° 23′ 52.22″ 동경 126° 40′ 26.22″ / 북위 37.3978389° 동경 126.6739500° |
개업일 | 1999년 10월 6일 |
역 번호 | I132 |
승강장수 | 2면 3선(쌍섬식) |
거리표 | |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
계양 기점 22.9 km | |
|
역사
편집구조
편집지하 2층 규모의 지하역이다. 지하 1층에 개찰구 및 역무 시설, 지하 2층에 승강장이 있다. 각 층은 계단 및 엘리베이터로 연결된다. 출구는 모두 4곳이다.
승강장
편집2면 3선, 흔히 “쌍섬식”으로 불리는 구조이다. 개통 당시에는 서측 승강장의 양면을 당역 종착 열차가, 동측 승강장의 양면을 당역 시발 열차가 각각 사용하였다.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이 국제업무지구역 방면으로 연장된 이후에 동측 승강장은 폐쇄되었으며, 서측 승강장의 두 면을 각 방면별로 나누어 사용한다. 스크린도어는 현재 사용 중인 서측 승강장에만 설치되어 있다. 별도의 승강장 번호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심지어 동측 승강장에는 역명판마저 바꾸지 않고 그대로 있다.
동춘 ↑ |
서 | 하 상 | 폐승강장 | 동 |
↓ 캠퍼스타운 |
하선 |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인천대입구 · 송도달빛축제공원 방면 |
---|---|---|
중하선 | 원인재 · 인천시청 · 부평 · 계양 방면 | |
중상선 | 미사용 | |
상선 |
역 주변
편집이용객 변동
편집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
인천1호선 | 승차 | 3,249 | 3,364 | 4,013 | 5,452 | 5,924 | 6,815 | 6,059 | 5,506 | 5,840 | 6,181 | [3] |
하차 | 3,293 | 3,434 | 4,078 | 5,370 | 5,809 | 6,669 | 5,895 | 5,321 | 5,646 | 5,952 | ||
승하차 | 6,542 | 6,817 | 8,092 | 10,823 | 11,733 | 13,484 | 11,955 | 10,828 | 11,486 | 12,133 | ||
노선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인천1호선 | 승차 | 6,432 | 6,228 | 6,004 | 6,208 | 6,231 | ||||||
하차 | 6,178 | 6,014 | 5,729 | 5,925 | 5,881 | |||||||
승하차 | 12,610 | 12,242 | 11,733 | 12,133 | 12,112 |
사진
편집-
스크린도어 설치 이전의 승강장
-
1번 출입구
-
승강장
-
폐쇄된 동측 승강장
인접한 역
편집인천 도시철도 1호선 | ||
---|---|---|
I131 동춘 계양 방면 |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일부 열차 시종착) |
I133 캠퍼스타운 송도달빛축제공원 방면 |
각주
편집- ↑ 인천직할시고시 제94-35호, 1994년 3월 19일.
- ↑ 인천광역시지하철공사공고 제1999-54호, 1999년 10월 4일.
- ↑ “인천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 일반 자료실”. 2016년 7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9월 1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동막역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