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길동 (서울)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위치한 법정동
신길제1동 新吉第1洞 | |
---|---|
Singil 1(il)-dong | |
신길제1동주민센터 | |
![]() | |
면적 | 0.66 km2 |
인구 (2012.12.31.) | 23,813 명 |
인구 밀도 | 36,000 명/km2 |
세대 | 9,953가구 |
법정동 | 신길동 |
통·리·반 | 33통 309반 |
동주민센터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로84길 24-5 |
웹사이트 | 신길1동 주민센터 |
신길제3동 新吉第3洞 | |
---|---|
Singil 3(sam)-dong | |
신길제3동주민센터 | |
면적 | 0.48 km2 |
인구 (2012.12.31.) | 17,786 명 |
인구 밀도 | 37,000 명/km2 |
세대 | 6,976가구 |
법정동 | 신길동 |
통·리·반 | 30통 248반 |
동주민센터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길로41라길 13-8 |
웹사이트 | 신길3동 주민센터 |
신길제4동 新吉第4洞 | |
---|---|
Singil 4(sa)-dong | |
신길제4동주민센터 | |
면적 | 0.35 km2 |
인구 (2012.12.31.) | 13,946 명 |
인구 밀도 | 40,000 명/km2 |
세대 | 5,554가구 |
법정동 | 신길동 |
통·리·반 | 22통 169반 |
동주민센터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도신로48길 9-2 |
웹사이트 | 신길4동 주민센터 |
신길제5동 新吉第5洞 | |
---|---|
Singil 5(o)-dong | |
신길제5동주민센터 | |
면적 | 0.47 km2 |
인구 (2012.12.31.) | 19,728 명 |
인구 밀도 | 42,000 명/km2 |
세대 | 7,100가구 |
법정동 | 신길동, 대림동 |
통·리·반 | 30통 254반 |
동주민센터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도림로 264 |
웹사이트 | 신길5동 주민센터 |
신길제6동 新吉第6洞 | |
---|---|
Singil 6(yuk)-dong | |
신길제6동주민센터 | |
면적 | 0.68 km2 |
인구 (2012.12.31.) | 24,791 명 |
인구 밀도 | 36,000 명/km2 |
세대 | 9,610가구 |
법정동 | 신길동 |
통·리·반 | 35통 296반 |
동주민센터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대방천로 169 |
웹사이트 | 신길6동 주민센터 |
신길제7동 新吉第7洞 | |
---|---|
Singil 7(chil)-dong | |
신길제7동주민센터 | |
면적 | 0.64 km2 |
인구 (2012.12.31.) | 15,864 명 |
인구 밀도 | 25,000 명/km2 |
세대 | 5,966가구 |
법정동 | 신길동 |
통·리·반 | 25통 194반 |
동주민센터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방로43길 10 |
웹사이트 | 신길7동 주민센터 |
개요편집
여의도와 샛강을 경계로 마주보고 있는 신길동은 조선시대에 서울로 들어오는 방학호진(放鶴湖津) 나루터가 있었던 곳으로 알려진 교통의 요지였고 평평한 들판에 농업을 주로 하던 생활터전이었다. 신길동의 동명의 유래는 알 수 없으나 포구로서 신길(新吉)이란 새로운 좋은 일이 마을에 많이 생기기를 기원하는 뜻에서 붙여진 것으로 추정된다.[1]
역사편집
- 1946년 10월 1일 : 신길동
- 1955년 4월 18일 : 신길동을 신길제1~4동으로 고침
- 1959년 10월 31일 : 신길제1~4동을 신길동·신광동·신풍동·신남동으로 고침
- 1970년 5월 5일 : 신길동을 신길제1동으로 고치고, 신광동을 신길제2동으로 고치고, 신풍동을 신길제3동으로 고치고, 신남동을 신길제4동으로 고침
- 1975년 10월 1일 : 신길제3동을 신길제3동·신길제5동으로 고치고, 대방동·신대방동 일부를 신길제6동으로 고침
- 1977년 9월 1일 : 신길제6동을 신길제6동·신길제7동으로 고침
- 2008년 9월 1일 : 영등포제1동·신길제2동을 영등포본동으로 고침
법정동편집
- 신길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