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제르바이잔 민주공화국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에서 넘어옴)
아제르바이잔 민주공화국(아제르바이잔어: 현대 표기 Azərbaycan Xalq Cümhuriyyəti, 당시 표기 آزربایجان خالق جومهورییتی 아재르바이잔 할그 쥠후리얘티)은 1918년에서 1920년까지 존재하던 옛 나라이며, 오늘날 아제르바이잔의 전신이다. 수도는 공화국 초창기에는 갠재(아제르바이잔어: Gəncə 갠재)였으나 동년 9월부터 바쿠(아제르바이잔어: 오늘날 표기 Bakı, 키릴 문자 Бакы, 당시 표기 باکی 발음 '바크', IPA 표기 [bɑˈcɯ])가 되었다. 이 당시 아제르바이잔은 자국어를 표기할 때 라틴 문자도 키릴 문자도 아닌 아랍 문자를 사용하였고, 소련에 병합된 이후에 키릴 문자를 사용했다. 오늘날에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고 있다.
아제르바이잔 인민공화국 | ||||
---|---|---|---|---|
Azərbaycan Xalq Cümhuriyyəti | ||||
| ||||
표어 | 오늘날 표기 Bir kərə yüksələn bayraq, bir daha enməz! 당시 표기 بیر کره یوکسلن بایراق، بیر داها ائنمز' 해석 깃발은 한 번 일어서면 절대 쓰러지지 않는다. | |||
국가 | 아제르바이잔 행진곡 | |||
![]() | ||||
수도 | 갠재(1918.5-1918.9) 바쿠(1918.9-1920.4) | |||
정치 | ||||
공용어 | 아제르바이잔어 | |||
정부 형태 | 공화정 | |||
국가원수 총리 | 매햄매드애민 래술자대(1918) 알리마르단 토프추바쇼프(1919-1920) 패탤리한 호이스키(1918-1919) 마흐마드 하산 하진스키(1920) | |||
역사 | ||||
• 체제 성립 멸망 | 의회 공화국 1918년 5월 28일 1920년 4월 28일 | |||
지리 | ||||
1918년 어림 면적 | 99,908.87 km2 | |||
내수면 비율 | 38,575% | |||
인구 | ||||
1918년 어림 | 2,862,000명 | |||
기타 | ||||
국교 | 이슬람교 | |||
통화 | 마나트 |
역사편집
자캅카스 민주연방공화국으로부터 독립한 이 나라는 1920년, 소련의 군대인 붉은 군대의 침공으로 조지아, 아르메니아와 함께 동반 멸망했으며, 세 나라는 모두 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의 이름을 달고 1991년에 독립을 되찾았다.
수교국편집
아시아편집
- 아르메니아 - 이 당시에는 아르메니아와 정식으로 수교했지만, 1991년 독립 이후에는 수교 관계가 아니다. 이후 아르메니아와 전쟁까지 벌였으며, 지금도 두 나라 간의 관계는 험악한 편이다.
- 조지아 - 1918년에 수교했다. 이 당시 조지아는 조지아 민주 공화국이었다.
- 이란 - 1918년에 수교했다. 이 당시 이란의 국호는 페르시아였고, 지금처럼 공화국이 아니라 입헌 군주제 국가였으며, 카자르 왕조가 통치하고 있었다.
유럽편집
- 그리스
- 덴마크
- 리투아니아 - 이 당시 리투아니아는 주권 국가였으나 1940년 소련에 합병되었다가 1991년 독립했다.
- 벨기에
- 스웨덴
- 스위스
- 영국 - 1918년 수교
- 우크라이나 - 1919년에 수교했다. 이 당시 우크라이나의 국호는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으로, 이 나라 역시 1921년 붉은 군대의 침공으로 멸망했다. 1991년에 우크라이나의 이름을 달고 독립했다.
- 이탈리아 - 이 당시 이탈리아의 국호는 이탈리아 왕국으로, 1946년에 왕정을 폐지했다.
- 터키 - 1918년에 수교했다. 이 당시 터키의 국호는 오스만 제국이었다. 오스만 제국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와 함께 동맹국으로 참전하다 패배를 맞이하여 상당수의 국토를 잃었다.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이 당시 핀란드는 독립한 지 얼마 되지 않았고 러시아 내전으로 인하여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