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순 비음
양순 비음(兩脣鼻音)은 자음의 하나로 위아래 입술을 사용하여 조음하는 비음이다.
양순 비음 | |||
---|---|---|---|
m | |||
번호 | 114 | ||
인코딩 | |||
엔티티 (10진수) | m | ||
유니코드 (16진수) | U+006D | ||
키르셴바움 | m | ||
점자 | ![]() | ||
| |||
소리 | |||
특징 편집
발음의 예 편집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참고사항 | |
---|---|---|---|---|---|
아랍어 | 아랍어(표준)[1] | مطابخ | [mɑtˤɑːˈbix] | '부엌' | |
아르메니아어 | իմ | [im] | '나의' | ||
카탈루냐어[2] | immens | [imˈmɛns] | '거대한' | ||
중국어 | 보통화 | 母親/mǔqīn | [mu˨˩ tɕʰin˥] | '엄마' | |
체코어 | muž | [mʊʃ] | '남성; 사람' | ||
네덜란드어[3] | mond | [mɔnt] | '입' | ||
영어 | him | [hɪm] | '그의' | ||
핀란드어 | minä | [ˈminæ] | '나' | ||
프랑스어[4] | manger | [mɑ̃ʒe] | '먹다' | ||
조지아어[5] | სამი | [ˈsɑmi] | '셋, 3' | ||
독일어 | rühmen | [ˈʁyːmən] | '기리다, 자랑하다' | ||
그리스어 | μάζα | [ˈmaza] | '수풀' | ||
힌디어 | मकान | [məkaːn] | '집' | ||
헝가리어 | ma | [mɒ] | '오늘' | ||
이탈리아어[6] | mamma | [ˈmamma] | 'mamma' | ||
일본어[7] | 乾杯/kampai | [kampai] | '건배' | ||
한국어 | 엄마/eomma | [ʌmma] | '엄마' | 한국어 음운론 참고 | |
몰타어 | ilma | [ilma] | '물' | ||
노르웨이어 | mamma | [ˈmɑmːɑ] | '엄마' | ||
피라하어 | baíxi | [màíʔì] | '어버이' | /b/의 이음 | |
폴란드어[8] | masa | [ˈmasa] ( 듣기 (도움말·정보)) | '큰 덩어리' | ||
포르투갈어[9] | mato | [ˈmatu] | '죽이다(1인칭)' | ||
러시아어[10] | муж | [muʂ] | '남편' | ||
세르비아어 | милина/milina | [milina] | '향유' | ||
스페인어[11] | grumete | [gɾuˈme̞te̞] | '캐빈 보이 《객실·선장실 등의 급사》' | ||
스와힐리어 | miti | [ˈmiti] | '나무들' | ||
스웨덴어 | mask | [mask] | '벌레' | ||
튀르키예어 | benim | [benim] | '나의 것' | ||
베트남어 | me | [mɛ] | '엄마; 타마린드(식물)' |
각주 편집
- ↑ Thelwall (1990:37)
- ↑ Carbonell & Llisterri (1992:53)
- ↑ Gussenhoven (1992:45)
- ↑ Fougeron & Smith (1993:73)
- ↑ Shosted & Chikovani (2006:255)
- ↑ Rogers & d'Arcangeli (2004:117)
- ↑ Okada (1991:94)
- ↑ Jassem (2003:103)
- ↑ Cruz-Ferreira (1995:91)
- ↑ Padgett (2003:42)
- ↑ Martínez-Celdrán et al (2003: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