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 비음
연구개 비음(軟口蓋鼻音)은 자음의 하나로 연구개에서 조음되는 비음이다.
연구개 비음 | |
ŋ | |
---|---|
그림 | ![]() |
IPA 번호 | 119 |
엔티티 | ŋ |
X-SAMPA | N |
키르셴바움 | N |
소리 | |
특징편집
발음의 예편집
- 한국어: 받침 ㅇ(단, 받침 ㅇ 뒤에 /i, j/가 오지 않을 때)이 이 소리가 난다(예: 강, 성에). 첫소리의 ㅇ은 음절의 구분을 표시하기만 하고 소릿값이 없다(예: 이불).
- 우즈베크어: 라틴 문자 표기에서는 ng가, 키릴 문자 표기에서는 нг가 이 소리를 낸다.
- 영어: 음절 말의 ng가 이 소리가 난다.
- 네덜란드어, 아이티어, 인도네시아어·말레이어, 스웨덴어, 룩셈부르크어, 마오리어, 소토어, 웨일스어: ng가 이 소리를 낸다.
- 베트남어: ngh와 음절 말에서 ‘u, ô, o’ 뒤에 오지 않는 ng가 이 소리를 낸다.
- 스와힐리어, 코사어: ng'에서 이 소리가 난다.
- 갈리시아어: nh(재통합주의자에서는 mh)가 이 소리를 낸다.
- 피지어: g에서 이 소리가 난다.
- 태국어: ง에서 이 소리가 난다.
- 아삼어: ঙ/ং에서 이 소리가 난다.
이 글은 언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