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가어(중국어 정체자: 客家話, 간체자: 客家话, 하카어 백화자: Hak-kâ-fa, 병음: Kèjiāhuà) 음역 하카어중국어의 방언으로, 주로 광둥성 동부, 푸젠성 서부, 장시성 남부에서 쓰이지만, 해외의 중국인, 화교도 많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객가어
客家话
사용 국가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필리핀, 인도네시아
사용 지역 광둥성 동부, 푸젠성장시성이 맞닿아 있는 지역
언어 인구 29,937,959[1]
문자 한자
언어 계통 중국티베트어족
 중국어
  객가어
공용어 및 표준
공용어로 쓰는 나라 없음[2]
표준 The Guangdong Provincial Education Department created an official romanisation of Meixian Hakka dialect in 1960, one of four languages receiving this status in Guangdong. It is called Kejiahua Pinyin Fang'an.
언어 부호
ISO 639-3 hak 하카어

하카인은 여러 이민족의 지배를 피해 광둥성으로 남하하였고, 그 당시 중국어의 특징이 잘 보전되어 있다. 그래서 하카어의 한자 발음은 한국어나 일본어 한자 발음과 유사한 면이 있다. 객가어 사용자들이 여러군데 분포해있기 때문에, 주위 언어, 방언에서 영향을 받은 차용어가 많아 지역별로 약간 차이가 있다.

성모 편집

순음 치음 경구개 연구개 성문
파열음 무기음 /p/ /t/ /k/
유기음 /pʰ/ /tʰ/ /kʰ/
파찰음 무기음 /ts/
유기음 /tsʰ/
마찰 /f/ /s/ /h/
비강 /m/ /n/ /ŋ/
접근 /ʋ/ /l/ /j/

분류 편집

투광둥어 편집

쓰촨성, 충칭시 일대의 객가어는 투광둥어(중국어 간체자: 土广东话, 정체자: 土廣東話)로 불린다. 투광둥어 구사자는 청나라 초기 호광전사천이 일던 때 광둥성 일대에서 이민 온 사람들이며, 이들은 투광둥인(중국어 간체자: 土广东人, 정체자: 土廣東人)이라고 불린다.[3]

특징 편집

어음의 특징은 많은 지역에서 성모 s와 sh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 s로 발음한다. 또 옛 입성운미(入聲韻尾) -b[-p], -d[-t], -g[-k]를 보존하고 있으며, 북경어의 성조는 4개인 데 반해 객가어는 6개의 성조를 가지고 있다.

단어 편집

단음절어
객가어 한자 발음 한국어
[ŋin˩] 사람
[ʋɔn˧˩] 그릇
[kɛu˧˩]
[ŋiu˩]
[ʋuk˩]
[tsɔi˥˧]
𠊎 [ŋai˩]
[4] or 𠍲[5] [ki˩] 그 / 그녀 / 그것
다음절어
객가어 한자 발음 한국어
日頭 [ŋit˩ tʰɛu˩]
月光 [ŋiɛt˥ kʷɔŋ˦] 달빛
屋下 [ʋuk˩ kʰa˦]
屋家
電話 [tʰiɛn˥ ʋa˥˧] 전화
學堂 [hɔk˥ tʰɔŋ˩] 학당
筷子 [kʰwai˥˧ tsi˧˩] 젓가락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Ethnologue report
  2. 중화민국(대만)의 공용어에 포함하자는 법안이 제출된 적이 있다. 또한 타이베이 지하철에서 사용되는 네 가지 방송 언어 중 하나이다. 중화민국 정부는 객가어 보존을 위해 객가어 방송을 후원하고 있다.
  3. 黄友良.四川客家人的来源,移入及分布[J].四川师范大学学报,1992,(01),83-91.
  4. p.xxvi 客語拼音字彙, 劉鎮發, 中文大學出版社, ISBN 962-201-750-9
  5. “보관된 사본”. 2014년 7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1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