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화 벤잘코늄

화합물
(염화벤잘코늄에서 넘어옴)

염화 벤잘코늄 (Benzalkonium chloride) 또는 염화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 (alkyldimethylbenzylammonium chloride)은 다양한 짝수 알킬 고리의 알킬벤질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혼합물이다.[1] ADBAC라고도 한다. 벤잘코늄 클로라이드는 4차 암모늄 염에 속하는 질소 양이온 계면활성제이다. 염화 벤잘코늄은 살생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그리고 상간 이동 촉매제로 사용된다.

염화 벤잘코늄
이름
별칭
N-Alkyl-N-benzyl-N,N-dimethylammonium chloride; Alkyldimethylbenzylammonium chloride; ADBAC; BC50 BC80;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quats
식별자
ChEBI
ChEMBL
EC 번호
  • 264-151-6
KEGG
RTECS 번호
  • BO3150000
UNII
성질
variable
몰 질량 variable
겉보기 100% is white or yellow powder; gelatinous lumps; Solutions BC50 (50%) & BC80 (80%) are colourless to pale yellow solutions
밀도 0.98 g/cm3
very soluble
약리학
D08AJ01 (WHO)
위험
GHS 그림문자 GHS05: CorrosiveGHS07: HarmfulGHS09: Environmental hazard
신호어 위험
H302, H312, H314, H318, H400, H410
P260, P264, P270, P273, P280, P301+312, P301+330+331, P302+352, P303+361+353, P304+340, P305+351+338, P310, P312, P321, P322, P330, P363, P391, P405, P501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NFPA 704 four-colored diamondFlammability code 0: Will not burn. E.g. waterHealth code 3: Short exposure could cause serious temporary or residual injury. E.g. chlorine gasReactivity code 0: Normally stable, even under fire exposure conditions, and is not reactive with water. E.g. liquid nitrogenSpecial hazards (white): no code
0
3
0
인화점 250 °C (482 °F; 523 K) (if solvent based)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아니오아니오 확인 (관련 정보 예아니오아니오 ?)

특성

편집

염화 벤잘코늄은 에탄올아세톤에 잘 녹는다. 염화 벤잘코늄은 에 잘 용해되지 않지만, 수용액 상태가 다루기 쉬워서 수용액 상태를 선호한다. 용액은 ph 6.5~8이고, 색깔은 무색 또는 옅은 노란색이다. 용액을 흔들면 거품이 많이 나고, 쓴맛이 난다.

용도

편집

염화 벤잘코늄은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사건

편집

염화 벤잘코늄은 과산화수소에탄올 소독제와 다르게 상처 부위에 자극을 주지 않고 소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염화 벤잘코늄은 어린이들 상처의 살균 소독제로 수십년 동안 안전하게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폐로 들어갈 경우에는 지극히 높은 독성을 보이며 2시간 이내에 사망한다고 한다. 결국 2012년에 78명을 사망케 한 가습기 살균제 사건의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2020년, 국내에서 시판된 손 세정제 1200여 종 중 123 종에 염화벤잘코늄이 함유되어 논란이 되었다. 그 중에는 분사형 소독제도 포함되어 있는데, 호흡기에 들어갈 수 있어 특히 위험하다. 식약처에서는 2019년에 이 실태를 인지했음에도 이렇다할 제재 의지를 보이지 않았다.[2]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추가 문헌

편집
  • Bernstein IL: Is the use of benzalkonium chloride as a preservative for nasal formulations a safety concern? J Allergy Clin Immunol 2000 Jan; 105(1 Pt 1): 39-44.
  • Graf P: Adverse effects of benzalkonium chloride on the nasal mucosa: allergic rhinitis and rhinitis medicamentosa. Clin Ther 1999 Oct; 21(10): 1749-55.
  • Graf P, Hallen H, Juto JE: Benzalkonium chloride in a decongestant nasal spray aggravates rhinitis medicamentosa in healthy volunteers. Clin Exp Allergy 1995 May; 25(5): 395-400.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