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 신씨
한국의 성씨
영산 신씨(靈山 辛氏)는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관향 |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강원도 영월군 |
---|---|
시조 | 신경(辛鏡) |
주요 인물 | 신천, 신예, 신부, 신돈, 신유정, 신빈 신씨, 신인손, 신윤, 신석조, 신영희, 신응시, 신경행, 신경진, 신계영, 소원 신씨, 신석정, 신격호, 신상우, 신춘호, 신준호, 신동주, 신동빈, 신재기, 신건, 신학용, 신기남, 신경민, 신경림, 신정훈 |
인구(2015년) | 187,731명 |
비고 | 영산·영월 신씨 대종회 |
기원편집
시조편집
영산 신씨(靈山 辛氏) 시조 신경(辛鏡)은 송나라 8학사[1]의 일원으로 고려에 동래하고 1138년(인종 16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금자광록대부 문하시랑평장사(金紫光錄大夫 門下侍郞平章事)에 이르렀다고 한다.[2]
포항에 있는 4세 신몽삼의 묘에 영주신지묘라고 되어 있는데, 《신씨성관고(辛氏姓貫考)》에서는 영주(寧州)는 중국에 없고, 우리나라 녕변(寧邊)의 옛 지명이라 하며 신씨가 귀화한 성씨가 아니라고 한다.
영월 신씨(寧越 辛氏) 시조 신시랑(辛侍郞)은 영월 엄씨 시조인 엄림의(嚴林義)와 함께 당나라 파락사(波樂使)로 신라에 동래하였다고 한다.
역사편집
9세손 신천(辛蕆)이 1294년(충렬왕 20년) 과거에 급제하여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에 이르렀고,[3] 신천의 동생 신혁(辛革)은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가 되었다. 신혁의 손자 신예(辛裔)가 충목왕 때 취성부원군(鷲城府院君)에 봉해졌다.[4] 공민왕 때 신예의 동생 신부(辛富)는 취산군(鷲山君)에 봉해지고, 신돈(辛旽)은 영도첨의사사(領都僉議使司)로 집권하여 개혁을 추진했다.[5]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50명, 공신 7명을 배출하였다. 신부의 손자인 신인손(辛引孫)이 세종 때 대제학에 오르고, 신인손의 아들 신석조(辛碩祖)는 세조 때 이조참판을 역임하였다.
분파편집
인물편집
항렬자편집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
口식(植) | 용(容) | 口기(基) | 종(鐘) | 원(源) | 병(柄) | 口환(煥) | 철(喆) | 口현(鉉) | 해(海) | 口치(致) | 석(錫) | 口한(漢) | 목(穆) |
인구편집
- 2000년 영산 신씨 83,798명 + 영월 신씨 67,489명 = 151,287명
- 2015년 영산 신씨 102,521명 + 영월 신씨 84,905명 = 187,426명
- 2020년 영산 신씨 102,631명 + 영월 신씨 85,100명 = 187,731명
각주편집
- ↑ 현풍 곽씨 시조 곽경, 충주 지씨 시조 지경
- ↑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 <63>영산, 영월신씨”. 세계일보. 2013년 12월 10일.
- ↑ 신천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고려사』 권125, 열전38
- ↑ 『고려사』 권132, 열전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