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통동

영통동(靈通洞)은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행정동이자 법정동이다. 영통구 동쪽에 있는 동이다.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영통1동
靈通1洞
Yeongtong 1(il)-dong
Suwon-yeongtong.png
면적1.65 km2
인구35,575 명(2019.07.31)
인구 밀도21,600 명/km2
세대12,202가구
법정동영통동
통·리·반31통 143반
동주민센터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봉영로1759번길 23
웹사이트영통1동 주민센터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영통2동
靈通2洞
Yeongtong 2(i)-dong
면적1.70 km2
인구26,838 명(2019.07.31)
인구 밀도15,800 명/km2
세대12,901가구
법정동영통동, 신동, 망포동
통·리·반29통 120반
동주민센터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영통로217번길 12
웹사이트영통2동 주민센터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영통3동
靈通3洞
Yeongtong 3(i)-dong
면적1.28 km2
인구32,885 명(2019.07.31)
인구 밀도25,700 명/km2
세대12,809가구
법정동영통동
통·리·반37통 148반
동주민센터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반달로 105
웹사이트영통3동 행정복지센터

개요편집

영통동은 수원시 동남부에 위치한 신흥 개발도시이자 수원 최대의 주거단지이다. 대규모 아파트단지 및 일반주택이 밀집한 주거지와 대규모 상업단지가 공존하는 복합도시이며, 인접한 지역에 경희대학교 캠퍼스가 있어 대학교 관련 인프라가 형성되어 있는 지역이다. 이곳은 원천리천 유역을 따라 이어진 수원군과 용인군의 경계였던 의곡덕동(이의동)·하동·영통리 일원에 있었으나 수원 화성 계획에 따라 수원부 장주면에 속한 지역으로 1899년에 발간된 『수원군 읍지』에 ‘영통(靈通)’이란 명칭으로 확인된다. 1914년 4월 1일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 때 태장면 영통리가 되었다. 1949년 8월 15일 수원시로 승격되면서, 화성군 태장면으로 편제되었다. 1963년 1월 1일 법률 1175호로 태장면과 안룡면의 일부 지역이 수원시로 편입되었고, 태장면안룡면의 나머지를 통합하여 태안면이라고 개명했는데 이때 이 지역이 태안면에 속하게 된다. 1994년 12월 26일 대통령령 제14434호에 의해 일부 지역이 수원시로 편입되었고, 같은 날 수원시 조례 제1931호로 망포리, 신리를 포괄하는 법정동이 되었다.[1]

법정동편집

  • 영통동 (영통 1, 2, 3동)
  • 신동, 망포동 일부 (영통2동)

교육편집

수원시 영통구 사립대학교편집

교통 시설편집

청명역 - 영통역 - 망포역

시설편집

영통1동편집

공원/조경/체육시설편집

  • 공원 (황골, 청명, 해오름, 달래, 달님, 미로, 푸른, 샛별, 반달)
  • 체육공원 (영흥)
  • 어린이공원 (단오, 수정, 으뜸)
  • 자연 (청명산)
  • 체육시설 (영통체육문화센터, 수원체육문화센터)
  • 보호수 (①청명고삼거리, ②느티나무사거리)
  • 육교(큰말육교,느티나무골육교(견우광장,직녀광장))

행정관서편집

상업시설편집

영통2동편집

공원/조경/체육시설편집

  • 공원 (영통중앙,맨발,신나무실,벽적,살구골)
  • 어린이공원 (솔찬,보리수,한울,풀잎,물빛)
  • 생태공원 (방향)
  • 교통공원 (수원어린이)
  • 자연 (독침산,나리키움쉼터)
  • 육교(신나무실육교)

행정관서편집

기타 시설편집

영통3동편집

행정관서편집

  • 영통동우체국
  • 영통도서관

각주편집

  1. 영통동 유래 Archived 2013년 5월 15일 - 웨이백 머신, 2012년 6월 12일 확인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