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단
오단(吳端, 1592년~1640년)은 조선의 문신이다. 본관은 동복(同福), 자는 여확(汝擴), 호는 동암(東巖)·백암(白巖)이다. 조선 16대 왕 인조(仁祖)의 셋째 아들인 인평대군(麟坪大君)의 장인으로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오단 吳端 | |
---|---|
출생 | 1592년 |
사망 | 1640년 |
성별 | 남성 |
국적 | 조선 |
직업 | 문신 |
상훈 | 영의정 추증 |
다른 뜻에 대해서는 お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생애
편집1618년(광해군 10년)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하고, 1623년(인조 1) 음보(蔭補)로 직장이 되었다.
1624년(인조(仁祖) 2년) 알성문과에 급제하여 전적(典籍)이 되고, 형조와 공조의 좌랑을 거쳐 병조정랑을 역임하였다. 1625년에 교리(校理), 1627년에 정언, 1728년 사헌부 지평(持平), 1735년 수찬(修撰), 1736년 사헌부 장령(掌令) 등 청환(淸宦)을 역임하였다.
1634년에 둘째 딸을 인조의 셋째 아들인 인평대군(麟坪大君)에게 출가시켰다. 1635년 인렬왕후(仁烈王后)가 죽자 빈전도감도청(殯殿都監都廳)이 되어 상례(喪禮)를 치렀다.
1637년 전주부윤을 거쳐 충청감사와 황해도감사를 역임하였다. 왕자의 장인으로서 사후 우의정에 추증되었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