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
대한민국의 은행사
(외환은행에서 넘어옴)


하나은행(영어: Hana Bank)은 대한민국의 은행이다.
![]() Hana Bank corp. | |
![]() | |
형태 | 주식회사 |
---|---|
산업 분야 | 은행업 |
창립 | 1967년 1월 30일 |
분할 | 신용카드사업부문: 외환카드㈜ (2014년 9월 1일) |
이전 상호 | 한국외환은행 (1967년 1월 30일~1989년 12월), KEB외환은행 (1989년 12월~2015년 8월 31일) |
시장 정보 | 비상장기업 |
국가 | ![]() |
본사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35 |
핵심 인물 | 지성규 (은행장) |
자본금 | 5,359,578,000,000원 (2015년 12월) |
영업이익 | 381,790,000,000원 (2015년) |
순이익 | 433,034,000,000원 (2015년) |
자산총액 | 292,404,099,000,000원 (2015년) |
주요 주주 | 하나금융지주: 100% |
모기업 | 하나금융그룹 |
슬로건 | 모두의 기쁨, 그 하나를 위하여 |
웹사이트 | 하나은행 홈페이지 |
연혁편집
영업점편집
국내 지점(2020년 12월 말)편집
지점 및 출장소: 651개
국외 지점(2017년 6월 말)편집
24개국 153개 글로벌 네트워크
현지법인 11개: 하나은행(중국)유한공사, 인도네시아하나은행, 캐나다하나은행, 독일하나은행, 브라질하나은행, 러시아하나은행, 하나글로벌재무유한공사(홍콩), 하나마이크로파이낸스(미얀마), Hana USA(미국), Hana New York Financial, Hana Los Angeles Financial
지점: 베트남, 일본, 싱가포르,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 파나마, 멕시코, 아랍에미리트, 영국, 체코, 프랑스, 바레인, 네덜란드, 터키, 미국
주요 업무편집
예금, 적금, 가계대출, 기업대출, 신탁, 하나카드, 티머니, 한꿈이카드 교통카드((주)티머니와 공동운영), 국제외환 업무, 방카슈랑스 등
취급 외환편집
고시 통화는 다음과 같다. 괄호 안에 표시된 숫자는 환전이 가능한 화폐 단위를 의미한다.
- 아시아
- 홍콩 달러 (모든 지폐 및 동전)
- 일본 엔 (모든 지폐 및 동전)
- 중국 위안 (1, 2, 5, 10, 20, 50, 100)
- 태국 밧 (20, 50, 100, 500, 1,000)
- 싱가포르 달러 (2, 5, 10, 20, 50, 100, 1,000, 10,000)
- 베트남 동 (2,000, 5,000, 10,000, 20,000, 50,000, 100,000, 200,000, 500,000)
- 타이완 신 타이완 달러 (100, 200, 500, 1,000, 2,000)
- 인도네시아 루피아 (100, 500, 1,000, 2,000, 5,000, 10,000, 20,000, 50,000, 100,000)
- 인도 루피 (1, 2, 5, 10, 20, 50, 100, 500, 1,000)
- 파키스탄 루피 (5, 10, 20, 50, 100, 500, 1,000, 5,000)
- 필리핀 페소 (5, 10, 20, 50, 100, 200, 500, 1,000, 2,000)
- 말레이시아 링깃 (1, 2, 5, 10, 50, 100)
- 브루나이 달러 (1, 5, 10, 20, 25, 50, 100, 500, 1,000, 10,000)
- 방글라데시 타카 (1, 2, 5, 10, 20, 50, 100, 200, 500)
- 몽골 투그릭 (500, 1,000, 5,000, 10,000, 20,000)
- 오세아니아
-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 유럽
- 유로 (모든 지폐 및 동전)
- 영국 파운드 (모든 지폐 및 동전)
- 스위스 프랑 (모든 지폐 및 동전)
- 스웨덴 크로나 (20, 50, 100, 500, 1,000)
- 노르웨이 크로네 (50, 100, 200, 500, 1,000)
- 덴마크 크로네 (50, 100, 200, 500, 1,000)
- 폴란드 즈워티 (10, 20, 50, 100, 200)
- 헝가리 포린트 (200, 500, 1,000, 2,000, 5,000, 10,000, 20,000)
- 러시아 루블 (5, 10, 50, 100, 500, 1,000, 5,000)
- 체코 코루나 (100, 500, 1,000, 5,000)
- 카자흐스탄 텡게 (200, 500, 1,000, 2,000, 5,000, 10,000)
- 터키 리라 (5, 10, 20, 50, 100, 200)
- 중동/아프리카
- 이집트 파운드 (0.25, 0.5, 1,5, 10, 20, 50, 100, 200)
- 이스라엘 셰켈 (1, 5, 10, 20, 50, 100, 200)
- 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 (10, 20, 50, 100, 200)
- 쿠웨이트 디나르 (1/4, 1/2, 1, 5, 10, 20)
- 사우디아라비아 리얄 (1, 5, 10, 50, 100, 200, 500)
-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5, 10, 20, 50, 100, 200, 500)
- 요르단 디나르 (1/2, 1, 5, 10, 20, 50)
- 바레인 디나르 (1/2, 5, 10, 20)
- 오만 리알 (100 Baisa, 200 Baisa, 1/2, 1, 5, 10, 20, 50)
- 카타르 리얄 (1, 5, 10, 50, 100)
다른 외국환은행과는 달리 비고시 통화(네덜란드 휠던을 제외한 통합 이전 지폐들을 포함한 58개국 지폐)를 추심한다. 동전은 추심하지 않으며 국내에서 5%, 해외에서 5% 추가해서 총 10%의 추심 수수료를 제외하고 3주 후에 원화로 찾을 수 있다.
역대 CEO편집
이 문단은 아직 미완성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외환은행장편집
- 홍세표 (1997~1999년) - 공채 / 2021년 별세
하나은행장편집
하나은행장(통합)편집
- 지성규 (현재)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각주편집
- ↑ 당시에도 기업명은 "하나은행"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