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지로

을지로(乙支路)는 서울특별시 중구 태평로 서울특별시청에서 시작하여 중구 신당동 한양공고 삼거리에 이르는 도로이자 법정동 이름이다. 왕복 6차로 도로이며 총 길이는 3km이다. 또한 이 도로 전체 구간에 서울 지하철 2호선이 지나가고 있고[1] 서울특별시도 제60호선도 지나간다. 시청역에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사이에는 지하 상가가 조성되어 있다.
목차
역사편집
- 조선 시대 : 이곳을 구리개라고 불렀음. 조선 시대의 한성부 남서(南署)의 광통방(廣通坊), 회현방(會賢坊), 훈도방(薰陶坊), 대평방(大平坊), 성명방(誠明坊), 낙선방(樂善坊), 명철방(明哲坊) 지역이다.
- 일제 강점기 : 1914년 일제에 의해 시행된 행정 구역 통폐합(부군면 통폐합)에 따라 각 방(坊) 관할의 동을 병합하여 경성부 황금정 1정목(黃金町一丁目)~7정목(도로명은 황금정통, 黃金町通)으로 나누었다.[2] 1925년 황금정7정목에 동대문운동장(당시 명칭 경성운동장)이 개장하였으며 2008년 철거되었다.
- 1946년 : 일본식 동명(洞名) 정리 사업에 따라 고구려 을지문덕(乙支文德) 장군의 성씨인 을지(乙支)를 따서 개정함.
노선편집
이름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서울광장교차로 | 소공로 (세종대로) |
중구 | 소공동 | |
시청삼거리 | 무교로 | 을지로1가 | ||
을지로1가 을지로입구역 |
남대문로 | |||
을지로2가 | 삼일대로 | 을지로2가 | ||
수표로 | ||||
을지로3가 | ||||
을지로3가 을지로3가역 |
충무로 | |||
세운상가 (삼풍상가·대림상가) |
을지로19길·을지로20길 | 을지로4가 | ||
을지로4가 을지로4가역 |
창경궁로 | |||
을지로5가 | 동호로 | 을지로5가 | ||
을지로6가 중구의회 |
을지로39길 | 을지로6가 |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장충단로 | |||
을지로7가 |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 을지로45길 | |||
한양공고삼거리 | 퇴계로 | 신당동 |
건물편집
- 서울특별시청 을지로별관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23
- 삼성화재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29
- KEB하나은행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35
- SK텔레콤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65
- KEB하나은행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66
- 중소기업은행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79
- 훈련원공원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227
- 국립중앙의료원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245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281
- 한양공업고등학교·한양중학교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299
- 세운상가(대림상가·삼풍상가)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157, 158
교통편집
- 을지로입구역(2호선)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42
- 을지로3가역(2호선, 3호선)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106, 129
- 을지로4가역(2호선, 5호선)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178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2호선, 4호선, 5호선)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279
각주편집
- ↑ 이 때문에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순환선 이름을 을지로 순환선이라고 하기도 하였으나 지금은 그렇게 부르지 않는다.
- ↑ 조선총독부 경기도 고시 제7호(1914년 4월 1일 시행) 참조.
이 글은 도로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