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겨루기
《우리말 겨루기》는 매주 월요일 저녁 7시 40분에 방송되는 퀴즈 프로그램이다.
![]() Woorimal Battle | |
장르 | 퀴즈 |
---|---|
방송 국가 | ![]() |
방송 채널 | KBS 1TV |
방송 기간 | 2003년 11월 5일 ~ 현재 |
방송 시간 | 매주 월요일 저녁 7시 40분 |
방송 횟수 | 925회 (2022년 8월 29일 기준) |
기획 | KBS 시사교양본부 |
제작자 | KBS 한국방송 제3영상 이은형 |
연출 | 김정희 |
각본 | 김이슬 김현주 송지연 이지우 한재희 |
진행자 | 박지원(45기) |
출연자 | 이재성(42기) |
해설 | 박형욱 |
음성 | 5채널 돌비 디지털 (디지털) |
자막 |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자막 방송 |
HD 방송 여부 | HD |
전편 | 퍼즐 챔피언 |
외부 링크 | KBS 1TV 우리말 겨루기 홈페이지 |
비고: |
기획 의도편집
슬로건편집
월요일 저녁의 유익한 즐거움
방송 시간편집
방송 채널 | 방송 기간 | 방송 시간 |
---|---|---|
KBS 2TV | 2003년 11월 5일 ~ 2004년 10월 20일 | 매주 수요일 저녁 7시 |
KBS 1TV | 2004년 11월 6일 ~ 2005년 4월 30일 | 매주 토요일 오후 5시 10분 |
2005년 5월 2일 ~ 2014년 12월 29일 | 매주 월요일 저녁 7시 30분 | |
2015년 5월 25일 ~ 2016년 4월 18일 | ||
2015년 1월 4일 ~ 2015년 3월 29일 | 매주 일요일 아침 9시 5분 | |
2015년 4월 12일 ~ 2015년 5월 17일 | 매주 일요일 아침 9시 | |
2016년 4월 25일 ~ 2018년 12월 31일 | 매주 월요일 저녁 7시 35분[1] | |
2019년 1월 7일 ~ 현재 | 매주 월요일 저녁 7시 40분[2] |
진행자편집
대수 | 남성 진행자 | 여성 진행자 | 진행 기간 |
---|---|---|---|
1대 | 정재환(방송인) | 이화선 | 2003년 11월 5일 ~ 2003년 12월 24일 |
2대 | 서민정 | 2004년 1월 7일 ~ 2004년 11월 6일 | |
3대 | 김현욱(26기) | 2004년 11월 13일 ~ 2005년 4월 30일 | |
4대 | 한석준 | 빈칸 | 2005년 5월 2일 ~ 2010년 5월 3일 |
5대 | 빈칸 | 엄지인(33기) | 2010년 5월 10일 ~ 2015년 3월 29일[3] |
2015년 9월 7일 ~ 2022년 3월 7일[4][5] | |||
임시 | 빈칸 | 조수빈 | 2015년 4월 12일 ~ 2015년 8월 31일[6] |
6대 | 빈칸 | 박지원(45기) | 2022년 3월 14일 ~ 현재 |
연도별 참가 방영 목록편집
역대 우리말 달인편집
결방 및 편성 변경 사유편집
- 4월 2일: 낮 1시 50분부터 오후 5시 20분까지 KBS 스포츠 2005 프로야구 개막전(삼성:롯데), 오후 5시 20분 KBS 뉴스(주말), 저녁 5시 30분부터 저녁 6시까지 《중계방송 열린우리당 천당대회》[수화] 편성 관계로 결방.
- 6월 6일: 현충일 특집 관련 KBS 뉴스네트워크(저녁 7시 ~ 7시 25분)(25분 단축편성) 이후 특집다큐 《사랑한다 아들아》 편성 관계로 결방.
- 8월 15일: 광복절 특집 관련 저녁 7시부터 7시 10분까지 KBS 뉴스네트워크의 결방으로 KBS 뉴스는 저녁 7시 10분부터 밤 9시까지 《광복 60년 대토론 미래창조 대한민국(HD)》 편성 관계로 결방.
- 9월 19일: 추석 특집 편성 관계로 결방.
- 3월 1일: 3.1절 특집 편성 관계로 결방.
- 10월 24일: KBS 뉴스 7의 결방으로 일반 KBS 뉴스(저녁 7시 ~ 7시 10분) 편성 이후 《제66주년 UN의 날 기념 KBS 교향악단 특별연주회》(저녁 7시 10분 ~ 8시 25분) 특집 편성 관계로 결방.
- 12월 19일: 북한 김정일(前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 관련 KBS 뉴스특보[수화] 《北 김정일 사망》 저녁 6시부터 밤 8시 30분까지 뉴스속보 관련 편성 관계로 결방.
- 1월 23일: 설날 특집 관련 편성 관계로 결방.
- 8월 13일: KBS 뉴스 7(저녁 7시 ~ 7시 20분)(20분 단축편성) 이후 2012 런던올림픽 특집 관련 《2012 런던올림픽 결산 특집 - 런던 이야기》특집 편성 관계로 결방.
- 9월 3일: KBS 뉴스 7의 결방으로 KBS 뉴스(저녁 7시 ~ 7시 10분) 편성 이후 방송의 날 특집 관련 《방송의 날 특별생방송 우리는 폭력없는 학교를 꿈꾼다》(저녁 7시 10분 ~ 8시 25분) 특집 편성 관계로 결방.
- 9월 17일: 태풍 관련 속보의 KBS 뉴스특보[수화] 《태풍 ‘산바’ 내륙 통과》(저녁 6시 ~ 7시 방송분) 이후 태풍 관련 특집 뉴스 KBS 뉴스 7(저녁 7시 ~ 밤 8시 25분)(뉴스 확대편성)으로 인하여 결방으로 1주일 연기.
- 12월 10일: 대선특집뉴스 관련 KBS 뉴스 7(저녁 7시 ~ 7시 25분)(25분 단축편성) 이후 일일드라마 《힘내요 미스터 김》(26회)(저녁 7시 25분 ~ 8시), 이후 밤 8시부터 밤 10시까지 2012 대선 방송토론[수화], 대선 특집 관련 KBS 뉴스 9(밤 10시 ~ 11시) 특집 관련 편성 관계로 결방.
- 4월 21일: 세월호 참사로 인한 사회적 시국을 고려하여 KBS 뉴스특보 [수화] 편성 이후 특집 KBS 뉴스 7(저녁 7시 ~ 밤 8시 25분)(뉴스 확대편성)으로 인하여 결방.
- 10월 13일: 재방송으로 인하여 대체 편성 관계로 결방.
- 4월 5일: 2015 11회 대구국제마라톤대회(오전 8시 ~ 11시) 중계방송 편성 관계로 결방.
- 7월 27일: 메르스로 인한 녹화 취소의 재방송으로 인하여 대체 편성 관계로 결방.
- 6월 6일: 《현충일 특집 우리들의 집》 편성 관계로 결방.
- 8월 8일: 2016 리우올림픽 특집 관련 편성으로 인하여 KBS 대기획 디렉터스컷(재방송) 대체 편성 관계로 결방.
- 8월 15일: 광복절 기획 KBS 스페셜《38회 - 빼앗긴 날들의 기억 - 가와사키 도라지회》(재방송)(8월 15일 재방송분)의 (광복절 특집 관련) 재방송 대체 편성 관계로 2주 연속 결방.
- 7월 24일: 여름 특집 6부작 《그섬에 가고 싶다》 편성 관계로 결방.
- 10월 16일: 공영방송 총파업 관련으로 한글날 특집 편성 관련 인하여 《한글날 특집 헬로우 한국어》(재방송)(10월 9일 재방송분) 특집 편성 관계로 결방.
- 2월 5일: 제5회 IOC 총회 개회식[수화](저녁 7시 30분 ~ 8시 30분) 편성 관계로 결방.
- 8월 20일 ~ 8월 27일: 2018년 아시안 게임 중계방송 관계로 결방.
- 10월 1일: 한국인의 팔도 밥상 국군의 날 특집 2부작 국군의 뿌리를 찾아서(밤 8시 10분 ~ 9시) 연이어 편성 관계로 결방.
- 5월 20일: KBS 스페셜(재방송) 대체 편성 관계로 결방.
- 7월 29일 ~ 8월 5일: KBS의 비상체제로 ‘휴가철을 맞은 혹서기 편성’으로 최대 적자로 재정 위기 상황을 맞아 특선다큐멘터리 특집 편성 관계로 2주 연속 결방.
- 2월 10일: 《아카데미 수상 특집 영화 '기생충' 세계를 매혹하다》 저녁 7시 40분부터 밤 8시 30분까지 특집 편성 관계로 결방.
- 2월 24일 ~ 3월 2일: 코로나 감염 여파로 인하여 《특별생방송 코로나19 함께 이겨냅시다》 코로나 감염 관련 특집 편성 관계로 2주 연속 결방.
- 5월 18일: 《5,18 민주화운동 40주년 특집 임을 위한 노래》 518 특집 관련 편성 관계로 결방.
- 6월 15일: 《6.15 남북공동선언 20주년 특집 개성공단》 특집 편성 관계로 결방.
- 7월 27일: 정전 67주년 및 휴전협정 특집 관련 《정전협정 67주년 특집 UHD 뮤직 다큐멘터리 D선상의 아리아》 특집 편성 관계로 결방.
- 3월 1일: 삼일절 특집 관련 KBS 뉴스 7(저녁 7시 ~ 7시 20분)(20분 단축 편성) 이후 저녁 7시 30분부터 밤 8시 20분까지 10분 앞당겨 편성 이후 KBS 뉴스특보[수화] 《강원 ‘대설특보’… 내일까지 최대 50cm 이상 폭설》특집 뉴스 편성으로 10분(밤 8시 20분 ~ 8시 30분)으로 편성.
- 7월 26일: 2020 도쿄올림픽 중계방송 관계로 결방.
- 8월 23일: 뉴스 특보-태풍 <오마이스>로 인해 저녁 7시 30분부터 밤 8시 20분까지 10분 앞당겨 편성.
- 12월 13일: 긴급진단 유은혜와 정은경에게 묻는다-코로나 19 해법은? 방송 관계로 결방.
타이틀 변천사편집
기수 | 타이틀 | 방송 기간 |
---|---|---|
1기 | 퍼즐 챔피언 (KBS 2TV) |
2003년 6월 25일 ~ 2003년 10월 29일 |
2기 | 우리말 겨루기 | 2003년 11월 5일 ~ 현재 |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KBS 뉴스 7의 5분 확대 편성으로 인해 변경되어 방송 시간이 50분으로 줄었으며, <2017 KBS 공영방송 총파업>의 KBS 파업으로 인해 2017년 9월 25일부터 2018년 2월 12일까지 유지하여 방송되었다.
- ↑ KBS 뉴스 7의 이후 5분 확대 편성으로 인해 변경되어 방송 시간이 50분으로 유지하여 KBS 1TV 일일 드라마가 저녁 8시 30분부터 밤 9시까지 30분의 5분 축소로 변경되었으며, 2021년 11월 22일(886회)부터 같은 해 11월 29일(887회)까지 방송분은 2주 연속 미리보기가 올리지 않았다.
- ↑ 엄지인(33기) 아나운서의 2012년 런던 올림픽 중계방송 진행으로 인해 해당 진행자의 33기 공채 동기생 오언종 아나운서가 3주간 대신 진행하였으며, 2013년 진행 기간 내에 동안에는 전국노래자랑의 6월 30일 방송분 상반기 결선과 12월 29일 방송분의 연말결선 동시에 그 기간 내에 특별진행하였으며,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때는 황정민(19기) 아나운서가 임시로 출산휴가, 출산휴직, 임시 휴직(출산 휴직 포함) 등으로 인해 대신 진행하였다.
- ↑ 엄지인 아나운서의 출산 이후와 휴직 이후 재개하여 다른 임시 진행 대체 이후 복귀하여 오프닝 멘트 시 출산휴가 이후 2015년 가을 개편 1차 편성조정 개편으로 인해 2015년 9월 7일 <582회> 방송분의 이름을 불렀으며, 진행 기간 중에서 같은 해 10월 3일부터 2016년 4월 24일까지 KBS 뉴스 9 여자앵커로 진행하였으며, 2016년 7월 1일부터 2016년 12월 9일까지 아침마당 여자 MC로 진행하였으며, 같은 해 2차 출산 휴가의 둘째 아들 출산과 출산휴직으로 인해 약 4개월간 2016년 12월 26일부터 2017년 4월 10일까지 방송분은 강승화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하였으며, <2017 KBS 공영방송 총파업>의 KBS 파업 관계로 인해 2017년 9월 25일부터 2018년 2월 12일까지 19기 성세정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하였으며, 2020년 1월 6일부터 2020년 1월 13일까지 휴가 출장으로 인해 6일에는 28기 김희수(28기) 아나운서와 13일에는 윤수영(31기)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하고 2020년 12월 14일부터 2021년 1월 11일까지 김선근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하였다.
- ↑ 뉴스팀 기자 (2017년 4월 17일). “‘우리말 겨루기’ 간판 엄지인, 둘째 출산 후 복귀”. topstarnews. 2017년 4월 17일에 확인함.
- ↑ 엄지인 아나운서의 1차 출산 휴가와 휴직으로 인해 약 4개월 넘게 휴직으로 인해 2015년 KBS 1TV의 봄개편 시행과 편성 부분 조정 개편으로 인해 2015년 4월 12일부터 2015년 8월 31일까지 대신 진행하였으나 정식적인 MC가 아니라 임시 MC 31기 공채 전직 아나운서의 임시 진행자였다. 임시 진행 기간 내에 동안에는 KBS 930 뉴스를 같은해 1월 1일부터 6월 26일까지 여자 앵커로 진행했으며, 임시 진행자로써 기수에 포함되지 않았다.
외부 링크편집
KBS 1TV 월요일 프로그램 | ||
이전 | 우리말 겨루기
(MC: 박지원 아나운서) |
다음 |
KBS 뉴스 7(코로나19 통합뉴스룸) | 일일 드라마 (으라차차 내 인생) | |
저녁 7시 | 저녁 7시 40분 | 저녁 8시 30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