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의 국가
우크라이나의 영광은 사라지지 않으리(우크라이나어: Ще не вмерла Україна 셰 네 우메를라 우크라이나[*])는 우크라이나의 국가이다.[1][2]
역사편집
1862년 가을에 우크라이나의 민속학자, 시인인 파울로 추빈스키(Pavlo Chubynsky)가 키예프 대학교에 재학 중이던 세르비아 출신 학생들이 중세 세르비아 왕국의 군주인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을 찬양하는 노래를 부르는 모습을 보고 우크라이나 민족주의를 찬양하는 시를 지었다고 전해진다. 추빈스키가 지은 시는 1863년에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를 받고 있던 리비우에서 발간된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잡지인 《메타》(Meta)에 게재되었으며 우크라이나 서부를 중심으로 우크라이나인들 사이에서 널리 전파되었다. 이 때문에 추빈스키는 1862년 10월 20일에 러시아 제국 당국으로부터 일반인들에게 위험한 사상을 퍼뜨린다는 이유로 러시아 제국 아르한겔스크 현으로 추방당하고 만다. 1863년에는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교회 신부였던 미하일로 베르비츠키(Mykhaylo Verbytsky)는 추빈스키가 작사한 시에 맞는 노래를 작곡했다. 그가 작곡한 노래는 1864년 리비우에서 처음 상연되었으며 1865년 추빈스키가 지은 시에 베르비츠키가 작곡한 노래를 붙인 악보가 발간되었다.[3][4]
1917년부터 1921년까지 존재했던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의 국가로 처음 사용되었으며 1918년부터 1919년까지 존재했던 서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 1939년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독립했다가 헝가리의 침공으로 인해 단명한 국가인 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의 국가로도 사용되었다. 1922년 우크라이나에 소련을 구성하던 공화국 가운데 하나인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이 노래는 탄압의 대상이 되었다. 소련을 구성하던 공화국들은 자신만의 국가를 소유할 수 있었지만 소련 당국은 이 노래가 우크라이나 분리주의를 고취시킨다는 이유로 금지곡으로 지정했다.[3][4]
1992년 1월 15일에는 우크라이나의 입법부인 최고 라다에 의해 우크라이나의 국가로 지정되었다. 1996년 6월 28일에 제정된 《우크라이나 헌법》 제20조에서는 "우크라이나의 국가는 베르비츠키가 작곡한 음악을 기준으로 하며 최고 라다 재적 의원 3분의 2(2/3) 이상이 채택한 헌법에 따라 승인한다."라는 조항이 명시되어 있다. 2003년 3월 6일에는 우크라이나의 국가 가사가 제정되었다.[3][4]
우크라이나어 가사편집
원래 가사에는 3절까지 가창하였으나 2003년 3월 6일부터 현재까지 1절만 가창하고 있으며 후렴에는 2번 반복을 한다는 특징이 있다.[5]
현재 가사 (2003년 3월 6일 ~ )편집
키릴문자
|
로마자
|
우크라이나어 독음
|
발음(IPA 표기)
|
Šče ne vmerła Ukrajiny, i słava, i vola, |
셰 네 우메를라 우크라이니 이 슬라바, 이 볼랴, |
[ˈʃt̪ʃɛ n̪ɛ ˈu̯mɛrɫɐ ʊkrɐˈjin̪ɪ ǀ i ˈsɫɑβ̞ɐ ǀ i ˈwɔlʲɐ ‖] |
한국어 해석편집
- 1절
- 우크라이나의 영광과 자유는 사라지지 않으리라.
- 형제들이여, 운명은 그대들에게 미소짓고 있도다.
- 우리의 적들은 아침 태양의 이슬처럼 사라지리라,
- 그리고 우리는 형제의 땅에 자유롭게 살게 되리라.
- 후렴
- 우리의 자유를 위하여 우리의 몸과 영혼을 희생하자,
- 그리고 우리는 카자크의 피를 이어받은 형제임을 보여주리라. (2번 반복)
원래 가사 (1862년 10월 ~ 1991년)편집
키릴문자 | 로마자 | 우크라이나어 독음 | 원래 가사의 한국어 해석 |
---|---|---|---|
Ще не вмерла України ні слава, ні воля. |
Šče ne vmerla Ukrajiny, ni słava, ni vola, |
셰 네 우메를라 우크라이나, 니 슬라바, 니 볼랴, |
우크라이나는 자유도 영광도 사라지지 않으리라. |
각주편집
- ↑ A History of Ukraine: A Land and Its Peoples Magocsi, Paul Robert (2010).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p. 401.
- ↑ https://web.archive.org/web/20050203182206/http://www.cerkwa.net/index1.htm ОТЕЦЬ МИХАЙЛО ВЕРБИЦЬКИЙ (4.03.1815-7.12.1870)] Cerkwa.net.
- ↑ 가 나 다 라 Ukraine] NationalAnthems.info. Kendall, David, 2013.
- ↑ 가 나 다 라 [Ukraine – Shche ne Vmerla Ukraina NationalAnthems.me.
- ↑ Constitution of Ukraine, Article 20.
- ↑ Law of Ukraine "About National Anthem of Ukraine"
- ↑ [Українські народні пісні] Народна творчість (фольклор). 2018.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