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그너-에카르트 정리

양자역학에서 위그너-에카르트 정리(Wigner–Eckart theorem)는 텐서 연산자의 행렬 원소에 대한 정리다. 구면 텐서 연산자의 각운동량 고유상태에 대한 기댓값은 각운동량의 전체 크기에만 의존하고, 특정 방향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유진 위그너[1] 칼 에카트(영어: Carl Eckart)[2]가 증명하였다.

전개

편집

3차원 회전군 SO(3)는 (국소적으로) 특수 유니터리 군 SU(2)와 같다. SU(2)의 기약 표현(irreducible representation)은 0,  , 1,  ,등이 있다. (전체 각운동량을 굵은 글씨로 나타낸다.)

기약 표현   개의 성분을 가진다. 임의의 텐서 표현  은 이런 기약 표현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텐서 표현의 기약 분해는 오직  가 정수인 표현  만을 포함하고,  반정수스피너 표현 ( ,   등)을 포함하지 않는다.

SU(2) 표현  를 따라 변환하는 값을  구면 텐서(spherical tensor)라고 하고, 이러한 표현을 따라 변환하는 연산자를  구면 텐서 연산자(spherical tensor operator)라고 한다.

 차 구면 연산자   ( )를 생각하자. 이 구면 연산자의 행렬 성분을, 각운동량 고유 기저   (즉,  ,  을 만족하는 기저)에서 계산하자. 그렇다면 행렬 성분들은 다음과 같은 꼴을 취한다.

 .

여기서    ,  에만 의존하는 값이고,  클렙슈-고르단 계수다. 이 식을 위그너-에카르트 정리라고 한다.

낮은 차수에서의 위그너-에카르트 정리

편집

흔히 다루는 텐서 연산자는  스칼라 연산자나  인 벡터 연산자다. 스칼라 연산자의 경우에는 위그너-에카르트 정리는 단순히

 

이다. (여기서  는 물론 크로네커 델타다.) 벡터 연산자의 경우에는 위그너-에카르트 정리는 다음과 같다.

 

이다. 이 클렙슈-고르단 계수는 다음과 같다.

 

(나머지 계수는 모두 0이다.)

구면 1-텐서로서의 성분  는 벡터로서의 성분   ( )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Wigner, Eugene P. (1931). 《Gruppentheorie und ihre Anwendung auf die Quanten-mechanik der Atomspektren》. Braunschweig: F. Vieweg und Sohn. 
  2. Eckart, Carl (1930). “The Application of Group theory to the Quantum Dynamics of Monatomic Systems”. 《Reviews of Modern Physics2 (3): 305–380. doi:10.1103/RevModPhys.2.305. 

외부 링크

편집